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0 18:49:00

이스라엘-아르메니아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
중화권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아프리카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쿠르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다자관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이스라엘·팔레스타인·아랍권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이란·이스라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
중화권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유럽 · 아메리카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다자관계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파일:조지아 국기.svg
캅카스 3국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튀르키예·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


1. 개요2. 역사적 관계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이스라엘아르메니아는 대대로 사이가 소원한 관계이다.

2. 역사적 관계

이스라엘과 아르메니아는 역사적으로 갈등이 존재했다. 아르메니아인유대인은 전통적으로 생업 분야가 겹치기 때문에 사이가 안 좋았던 것도 있고 아르메니아인들이 성경에 나오는 노아가 아르메니아인이라고 주장하면서 종교, 역사적 갈등도 깊다. 근세까지는 아르메니아인들이 페르시아와 아나톨리아 일대에서 유대인들을 압도하였으나 아르메니아 대학살 및 세계 경제가 서구권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오늘날에는 아르메니아인들의 입지가 비교적 더 약해졌다.

이스라엘 건국 이후 예루살렘 구시가지 내 아르메니아 쿼터에 거주하던 아르메니아 사도교회 신도 상당수가 추방당했다. 현재도 아르메니아는 자국군 연료를 이스라엘과 갈등이 큰 이란이 책임져 주는 만큼 서로 사이가 좋아질 수 없다. 아르메니아와 이스라엘이 사이가 워낙 나쁘다보니 적의 적은 나의 친구라는 논리로 아제르바이잔이 이스라엘과 친교 관계를 강화하는 지경이다. 게다가 터키랑도 일단 외교관계가 있는 이스라엘이 이러다보니 홀로코스트를 당한 피해자가 많은 이스라엘이 아르메니아인 대학살에 대하여 침묵한다.

아르메니아는 2020년 아제르바이잔과 전쟁에서 참패하여 1994년 2만명이 넘는 자국민 피를 흘려가며 얻어낸 카라바흐 영토 70% 가까운 곳을 겨우 달포 동안 벌어진 전쟁으로 싸그리 잃어버렸다. 그 원인 중 하나가 터키와 이스라엘이 강력하게 아제르바이잔에게 무기를 수출하고 심지어 서로 훈련도 하는 군사적 우방국이 되어 버렸기 때문이었다. 덕분에 아르메니아에선 터키와 이스라엘에 대한 반발과 증오가 강해졌다. 거꾸로 아제르바이잔에서는 수도 바쿠 곳곳에서 이스라엘 깃발을 흔들며 환호하는 아제르바이잔인들이 있을 정도로 이스라엘과 관계가 무척 좋아졌다.

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