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2 01:27:28

아미아(어류)

아미아속)
Bowfin
파일:아미아.jpg
학명 Amia
Linnaeus, 1766
<colbgcolor=#fc6>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조기어강(Actinopterygii)
아미아목(Amiiformes)
아미아과(Amiidae)
아미아속(Amia)

보우핀 A. calva
아이스팟보우핀 A. ocellatus

1. 개요2. 특징3. 생태
3.1. 먹이3.2. 번식
4. 기타

[clearfix]

1. 개요

아미아과의 어류. 트라이아스기에 처음 등장한 전골어하강 중에서 유일하게 현존하는 속이기 때문에 살아있는 화석이라고 인식되기도 한다.

과게에는 보우핀(A. calva) 1종만이 현존한다고 알려져 있었으나, 최근에 2종으로 재분류되어 대부분의 현생하는 보우핀은 신종인 아이스팟보우핀(A. ocellatus)으로 재분류되고 모식종의 분포는 매우 제한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2. 특징

2종 모두가 1m 약간 넘어가는, 가물치와 비슷한 체급이다.

머리 바로 뒤부터 꼬리지느러미 바로 앞까지 하나의 긴 등지느러미가 자라나는데, 여기에서 보우핀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 일반적으로 헤엄칠 떼는 이 등지느러미의 물결치는 움직임만으로 앞으로 나아가며 매우 기민한 움직임이 가능하다. 그러나 사냥하거나 놀라 도망칠 때에는 몸 전체를 구부리며 폭발적으로 가속할 수 있다.

꼬리지느러미 부근에 있는 안상반의 유뮤로 암수를 구분하는데 수컷은 다 성장한 이후에도 안상반이 있으나 암컷은 사라지게 된다. 또한 봄과 초여름의 수컷은 가슴지느러미, 투명도가 높은 물에서는 아래턱과 입 안까지 선명한 형광빛 녹색을 띄어 색으로도 구분할 수 있다.

3. 생태

종에 따라 분포에 차이가 있는데, 재분류 이후 보우핀은 미국 동남부에서 애팔래치아 산맥의 동쪽에 위치한 수계들과 플로리다로 분포가 한정된다. 반면 아이스팟보우핀은 북미에서 가장 넗게 분포하는 어종 중 하나이며, 캐나다 남부의 오대호 지역과 세인트로렌스 강, 챔플레인 호부터 미국 동북부와 동부 배부분, 미네소타부터 루이지아나까지 미시시피 강 수계의 모든 지역, 남쪽으로는 텍사스까지 분포한다. 2종 모두 강이나 호수에서 비교적 얕고 수초가 무성한 곳에서 서식하며, 특히 얕으면서도 조금 더 깊은 수심에 인접해 있는 장소들을 좋아한다.

아가미 외에도 로 공기를 호흡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수온 상승으로 용존산소량이 저하된 한여름의 무더위에서도 사냥을 활발하게 한다. 온대기후에서도 많이 서식하는 아이스팟보우핀의 경우 가을에는 활동성이 하락하며, 겨울에는 수심이 가장 얕고 수초가 가장 무성하며 그나마 수온이 가장 높은 연안으로 이동해 월동한다. 특히 얼음구멍이 있어 폐호흡이 가능한 곳을 선호한다.

3.1. 먹이

포식성이며, 주로 다른 어류가재를 사냥한다. 매복형 포식자이며 조용한 움직임으로 먹잇감에 가깝게 접근한 뒤 순식간에 덮친다.

10cm 이하의 치어들은 주로 수생곤충이나 소형 갑각류를 먹는다.

3.2. 번식

산란기는 4월~6월로, 수컷은 수초대 사이에 바닥을 파내고 수초를 뜯어내어 둥지를 형성한다. 암컷은 약 2000~5000개의 알을 산란하며 수컷은 알을 수정시킨 후 보호한다. 치어들이 부화한 이후에도 수컷은 치어 떼를 따라다니며 1~2개월간 더 보호한다.

4. 기타

최근까지는, 그리고 불행하게도 많은 장소에서는 현재진행형으로도 “잡어“로 분류되고, 나아가 생태계 교란종이라고 잘못 알려져 아무 이유도 없는 학살을 당해 매년 수십만마리 단위로 인간에게 죽어나가는 종들이기도 하다. 2010년대가 되어서야 북미 낚시인들 사이에 인식개선이 일어나기 시작하여 이들이 북미 자생종이며 생태계에 아무런 피해를 끼치지 않는다는 사실이 점차 알려지게 되었고, 현재는 뒤늦게마나 여러 낚시 커뮤니티에서 대상어로서 가치가 높다고 재평가되고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