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4d, #000066 20%, #000066 80%, #00004d); color: #F7E017"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제1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찰스 몽크 | 존 영 | 프레더릭 해밀턴템플블랙우드 | 존 캠벨 | |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 헨리 페티피츠모리스 | 프레더릭 스탠리 | 존 해밀턴고든 | 길버트 엘리엇머레이키닌마운드 | |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 앨버트 그레이 | 코넛과 스트래선 공작 아서 왕자 | 빅터 캐번디시 | 줄리언 빙 | |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
| 프리먼 프리먼토마스 | 베레 폰손비 | 존 버컨 | 알렉산더 케임브리지 | |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 해럴드 알렉산더 | 빈센트 매시 | 조르주 바니에르 | 롤랜드 미치너 | |
|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
| 쥘 레제르 | 에드워드 슈라이어 | 잔 소베 | 레이먼 나티신 | |
| 제25대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
| 로메오 르블랑 | 에이드리엔 클라크슨 | 미셸 장 | 데이비드 존스턴 | |
| 제29대 | 제30대 | |||
| 쥘리 파예트 | 메리 사이먼 | |||
| }}}}}}}}}}}} | ||||
| <colcolor=#F7E017> 제10대 캐나다 총독 코넛과 스트래선 공작 아서 왕자 Prince Arthur, Duke of Connaught and Strathearn | |
| | |
| <colbgcolor=#00006b> 이름 | 아서 윌리엄 패트릭 앨버트 (Arthur William Patrick Albert) |
| 출생 | 1850년 5월 1일 |
| 영국 잉글랜드 런던 버킹엄 궁전 | |
| 사망 | 1942년 1월 16일 (향년 91세) |
| 영국 잉글랜드 서리 백샷 파크 | |
| 아버지 |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알베르트 공자 |
| 어머니 | 빅토리아 여왕 |
| 배우자 | 프로이센의 루이제 마르가레테 공주 (1879년 결혼 / 1917년 사망) |
| 자녀 | 마거릿, 아서, 패트리샤 |
| 형제 | 빅토리아, 에드워드 7세, 앨리스, 알프레드, 헬레나, 루이즈, 레오폴드, 베아트리스 |
| 서명 | |
1. 개요
영국의 왕자. 빅토리아 여왕과 앨버트 공의 일곱째이자 3남이다.2. 작위
| 문장 |
- 아서 왕자 전하 His Royal Highness The Prince Arthur (1850년 5월 1일 ~ 1874년 5월 24일)
- 코넛과 스트래선 공작 전하 His Royal Highness The Duke of Connaught and Strathearn (1874년 5월 24일 ~ 1942년 1월 16일)
3. 생애
1850년 5월 1일 버킹엄 궁전에서 태어났다. 이름은 생일이 같은 대부 웰링턴 공작에게서 따왔다. 그의 대부처럼 아서도 평생 군인의 길을 갔다. 같은 해 6월 22일에 세례를 받았으며, 예의바르고 순종적이며 앨버트 공을 닮은 아서는 빅토리아 여왕이 가장 좋아하는 자식이 되었다.형제들처럼 개인 교사에게 교육받다가 16세에 울리치 왕립군사학교에 입학했다.
1851년의 아서 왕자.
4. 가족 관계
4.1. 조상
|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 코넛과 스트래선 공작 아서 왕자 (Prince Arthur, Duke of Connaught and Strathearn) | <colbgcolor=#fff3e4,#331c00>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알베르트 공자 (Prince Albert of Saxe-Coburg and Gotha) | <colbgcolor=#ffffe4,#323300>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 에른스트 1세 (Ernest I, Duke of Saxe-Coburg and Gotha) | |
|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작 프란츠 (Francis, Duke of Saxe-Coburg-Saalfeld) | |||
| 로이스에베르스도르프의 아우구스테 여백작 (Countess Augusta of Reuss-Ebersdorf) | |||
| 작센고타알텐부르크의 루이제 공녀 (Princess Louise of Saxe-Gotha-Altenburg) | |||
| 작센고타알텐부르크 공작 아우구스트 (Augustus, Duke of Saxe-Gotha-Altenburg) | |||
| 메클렌부르크슈베린의 루이제 샤를로테 여공작 (Duchess Louise Charlotte of Mecklenburg-Schwerin) | |||
| 빅토리아 여왕 (Victoria) | |||
| 켄트와 스트래선 공작 에드워드 왕자 (Prince Edward, Duke of Kent and Strathearn) | |||
| 조지 3세 (George III) | |||
|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샤를로테 공녀 (Princess Charlotte of Mecklenburg-Strelitz) | |||
| 작센코부르크잘펠트의 빅토리아 공녀 (Princess Victoria of Saxe-Coburg and Saalfeld) | |||
| 작센코부르크잘펠트 공작 프란츠 (Francis, Duke of Saxe-Coburg-Saalfeld) | |||
| 로이스에베르스도르프의 아우구스테 여백작 (Countess Augusta of Reuss-Ebersdorf) |
4.2. 자녀
|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 / 자녀 |
| 1녀 | 스웨덴의 왕세자비 마르가레타 (Margaret, Crown Princess of Sweden) | 1882년 1월 15일 | 1920년 5월 1일 | 구스타프 6세 아돌프 슬하 4남 1녀[1] |
| 1남 | 코넛의 아서 공자 (Prince Arthur of Connaught) | 1883년 1월 13일 | 1939년 9월 12일 | 제2대 파이프 여공작 알렉산드라 공주[2] 슬하 1남 |
| 2녀 | 레이디 패트리샤 램지 (Lady Patricia Ramsay) | 1886년 3월 17일 | 1974년 1월 12일 | 알렉산더 램지 경 슬하 1남 |
작은딸 패트리샤를 제외하고 나머지 두 자녀들은 본인보다 일찍 세상을 떠났다.
5. 여담
- 그의 사후 손자인 알라스테어가 작위를 계승했으나, 캐나다에서의 군 복무 중 요절하여 그의 직계는 단절되었다.[3]
[1] 베스테르보텐 공작 구스타프 아돌프 세습 왕자, 비스보리 백작 시그바르드, 덴마크의 왕비 잉리드, 비스보리 백작 칼 요한 등[2] 프린세스 로열 루이즈의 딸이자 에드워드 7세의 외손녀로 아서 본인의 오촌 조카다.[3] 알리스테어의 죽음으로 알라스테어가 추정상속인이었던 파이프 공작위는 알라스테어의 외사촌에게 승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