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04 13:32:13

안드레아 피나몬티


3 도이그 · 5 칸데 · 6 발루키에비츠 · 7 볼파토 · 9 셰디라 · 10 베라르디
VC
· 11 볼로카
12 사탈리노 · 13 투라티 · 14 스켈레루프 · 15 피에라뇰로 · 16 차키 · 17 파스 · 18 마티치 · 19 로마냐
C

20 파데라 · 21 이즈스 · 24 모로 · 25 쿨리발리 · 26 오덴탈 · 35 리파니 · 40 브랑크스 · 42 토르스트베트
44 이안노니 · 45 로리엔테 · 49 무리치 · 77 피에리니 · 80 무하레모비치 · 90 코네 · 99 피나몬티
파일:UEFA EURO ITA.png 파비오 그로소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본래 스쿼드에서 타 팀으로 임대간 선수는 제외되었습니다.
파일:pinamonti2526.webp
US 사수올로 칼초 No. 99
안드레아 피나몬티
Andrea Pinamonti
<colbgcolor=#33b65b><colcolor=#fff> 출생 1999년 5월 19일 ([age(1999-05-19)]세)
트렌티노알토아디제트렌토 현 클레스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탈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88cm / 체중 72kg
포지션 스트라이커
주발 오른발
소속 <colbgcolor=#33b65b><colcolor=#fff> 유스 클레스 칼초
AC 키에보베로나 (2011~2013)
인테르나치오날레 (2013~2018)
선수 인테르나치오날레 (2016~2020)
프로시노네 칼초 (2018~2019 / 임대)
제노아 CFC (2019~2020 / 임대)
제노아 CFC (2020)
인테르나치오날레 (2020~2023)
엠폴리 FC (2021~2022 / 임대)
US 사수올로 칼초 (2022~2023 / 임대)
US 사수올로 칼초 (2023~ )
제노아 CFC (2024~2025 / 임대)
국가대표 1경기 (이탈리아 / 2022~ )
에이전트 하파엘라 피멘타[1]


1. 개요

이탈리아US 사수올로 칼초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스트라이커.[2]

2. 클럽 경력

2.1.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2.1.1. 2016-17 시즌

인테르의 미래라고 평가되는 선수 중 하나이다. 페데리코 보나촐리가 유스시절 각종 기록을 갈아치워놓은 이후 등장해서 엄청난 경기력을 보여주며 "보나촐리보다도 더한 녀석이 있다." 라고 팬들 사이에서 알려지기 시작했다.


그러던 와중에 1군으로 콜업되었다. 2016년 12월 스파르타 프라하와의 유로파 경기에 출전해 1군 데뷔를 했고, 2017년 2월 엠폴리 전에서 교체출전으로 세리에 A에 데뷔했다.

출장이 적은 것은 팀의 주장이자 주포인 마우로 이카르디가 부상 없이 경기를 뛰었기 때문에 체력 안배 이유로밖에 들어가지 못했던 탓이다.

시즌 중 유스로 다시 내려가서 2016-17 시즌 인테르 유스가 프리마베라 우승을 하는데 일조했다.

2.1.2. 2017-18 시즌

다시 한번 1군 엔트리 명단에 들었다. 이번에도 바이스 이카르디 역할을 맡겨볼 모양인듯. 그동안에는 이카르디가 국대에 차출되지 않은 덕분인지 매 시즌 우람튼튼한 면모를 과시했지만 라 알비 셀레스테 감독이 호르헤 삼파올리로 바뀐 이후에는 이카르디도 슬슬 국대에 차출되고 있어서 올 시즌에는 출장시간을 배분받을 가능성이 있다.

2.1.3. 2018-19 시즌

2017-18 시즌 세리에 1경기 출장에 그친 피나몬티는 경험을 쌓기 위해 프로시노네 칼초로 한시즌 임대가게 된다.
2.1.3.1. 프로시노네 칼초 (임대)
프로시노네 칼초로 임대간 후 시즌 초반은 벤치에 앉아있는 시간이 많았지만 서서히 출장 시간을 늘려가면서 후반기에는 붙박이 주전으로 출장하게 된다. 프로시노네에서 5골 3도움을 기록하면서 임대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2.1.4. 2019-20 시즌

임대를 마친 피나몬티는 인테르로 복귀하게되고 이후 FIFA U-20 월드컵에 출전하여 대회 4위로 마치는데 큰 공헌을 한다. 프로시노네에서의 괜찮은 임대 생활과 U-20 월드컵에서의 활약, 그리고 인테르의 주포인 이카르디의 이적으로 2019-20 시즌에 어느 정도 출전기회를 잡나 싶었지만 팀이 루카쿠를 데려오면서 이적을 생각하게 된다.
2.1.4.1. 제노아 CFC (임대)
피나몬티는 선임대 의무이적 옵션을 달고 제노아로 떠났고 32경기 5골로 폼에 비해 스탯이 기대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옵션에 따라 완전영입되었다.

2.2.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2기

2.2.1. 2020-21 시즌

2020년 9월 18일, 제노아에 이적한지 약 3개월 만에 인테르에 재영입 되었다.

하지만 루카쿠가 워낙 철강왕적인 모습을 보이는바람에 교체출전말고 경기에 보이지 않는다. 결별이 유력하다. 그래도 35R 교체투입되어 인테르에서의 첫골을 터뜨렸다.

38R 우디네세전에서 선발출장하였다.

2.2.2. 엠폴리 FC (임대)

2021년 8월, 엠폴리로 1시즌 임대를 떠났다. 임대 시즌이 끝난 후, 루카쿠가 떠난 스트라이커 자리에는 피나몬티가 채워질 것으로 보인다.

36라운드까지 35경기 13골 2어시스트를 기록하며, 엠폴리의 공격을 이끌고 있다.특히 AC 밀란, SSC 나폴리, AS 로마, 인테르 등 강팀상대로 골을 기록하며 자신의 능력을 입증하고 있다.

몸값이 1600만 유로까지 상승한 상태이다.

2022년 여름이적시장에서 AC 몬차와 이적설이 나고 있으며, 스카마카의 이적으로 중앙 공격수 공백이 생긴 US 사수올로 칼초와 링크가 뜨고 있다.

2.2.3. US 사수올로 칼초 (임대)

2022년 8월 11일, 의무 이적 옵션이 포함된 임대로 US 사수올로 칼초에 입단했다.# 의무 이적료는 €20M.

하지만, 엠폴리 FC 시절과는 대조적으로, 골 가뭄에 빠지며 부진하고 있다. 팀 또한 그의 부진과 맞물려 강등권과 가까워지며 함께 추락하고 있다.

후반기 들어서는 부활하며 팀은 중위권으로 다시 복귀했다.

2.3. US 사수올로 칼초

2023년 5월, 사수올로로 완전 이적했다. 이적료는 €20M. 이는 사수올로의 레코드 영입이라고 한다.

리그에서 38경기 11골 1도움을 기록하며 시즌을 마쳤다.

2.3.1. 제노아 CFC 2기 (임대)

2024년 8월 17일, 제노아 CFC로 임대 이적했다.
2.3.1.1. 2024-25 시즌
14R 우디네세 칼초전 전반 13분 선제골 및 결승골을 기록해 팀의 2:0 승리를 이끌어 MOM에 선정되었다.

3. 국가대표 경력

2022년 11월 16일 알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친선경기에서 후반 막판에 교체투입되어 1분여를 소화하며 데뷔전을 치렀다.

4. 플레이 스타일

타겟맨 유형의 스트라이커지만, 단순히 피지컬만 활용하는 플레이를 보여주는 타겟맨은 아니다.

유스 시절에서부터 뛰어난 피지컬을 갖추고 있었으며, 피지컬을 이용한 헤더와 경합뿐만 아니라 제법 빠른 주력과 슈팅력 등 다른 공격 지표에서도 준수한 모습을 보인다. 득점을 해야 하는 전방 공격수에게 필요한 능력치를 두루 갖춘 6각형 공격수라는 점에서 에딘 제코와 유사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다만, 문전 앞에서 마무리의 침착함이 떨어진다는 약점이 자주 언급된다. 이는 좋은 포텐셜을 갖춘 유망주로 평가받았을 때부터 언급되었던 약점으로, 유스 레벨에선 피지컬 깡패라 약간의 테크닉만 곁들여도 위협적이었지만, 사실 프로 레벨에서 통할지는 두고 봐야 할 일이다. 엠폴리 FC 임대 중 다방면으로 발전한 모습을 보이며 그 포텐이 점차 발현되는 것을 보여주었다. 특히 강팀들을 상대로 득점포를 터트리며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US 사수올로 칼초에서는 여전히 득점의 기복을 보여주며 중위권의 주전 공격수로는 아직 살짝 부족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5. 여담

6. 같이 보기

파일:US 사수올로 칼초 로고.svg
US 사수올로 시즌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2025-26 시즌 US 사수올로 칼초 스쿼드
번호 국적 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3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DF 조시 도이그 Josh Doig
5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DF 팔리 칸데 Fali Candé
6 파일:폴란드 국기.svg DF 세바스티안 발루키에비츠 Sebastian Walukiewicz [1]
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MF 크리스티안 볼파토 Cristian Volpato
9 파일:모로코 국기.svg FW 왈리드 셰디라 Walid Cheddira [2]
1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W 도메니코 베라르디 Domenico Berardi 부주장
1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MF 다니엘 볼로카 Daniel Boloca
1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GK 자코모 사탈리노 Giacomo Satalino
1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GK 스테파노 투라티 Stefano Turati
14 파일:덴마크 국기.svg FW 라우르스 스켈레루프 Laurs Skjellerup
1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W 에두아르도 피에라뇰로 Edoardo Pieragnolo
1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GK 조엘레 차키 Gioele Zacchi
17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DF 예퍼슨 파스 Yeferson Paz
18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MF 네마냐 마티치 Nemanja Matić
19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DF 필리포 로마냐 Filippo Romagna 주장
20 파일:감비아 국기.svg FW 알리우 파데라 Alieu Fadera [3]
21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DF 제이 이즈스 Jay Idzes
2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MF 루카 모로 Luca Moro
25 파일:말리 국기.svg DF 워요 쿨리발리 Woyo Coulibaly [4]
26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DF 카스 오덴탈 Cas Odenthal
3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MF 루카 리파니 Luca Lipani
40 파일:벨기에 국기.svg MF 아스터르 브랑크스 Aster Vranckx [5]
42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MF 크리스티안 토르스트베트 Kristian Thorstvedt
4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MF 에두아르도 이안노니 Edoardo Iannoni
45 파일:프랑스 국기.svg FW 아르망 로리엔테 Armand Lauriente
49 파일:코소보 국기.svg GK 아랴네트 무리치 Arijanet Murić [6]
7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W 니콜라스 피에리니 Nichoas Pierini
80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DF 타리크 무하레모비치 Tarik Muharemović
90 파일:캐나다 국기.svg MF 이스마엘 코네 Ismaël Koné [7]
99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W 안드레아 피나몬티 Andrea Pinamonti
<colbgcolor=#006839> 구단 정보
회장: 카를로 로시 / 감독: 파비오 그로소 / 구장: 마페이 스타디움
출처: 공식 홈페이지,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9월 18일
*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수정할 때는 여기도 같이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1] 토리노 FC에서 임대[2] SSC 나폴리에서 임대[3] 코모 1907에서 임대[4] 레스터 시티 FC에서 임대[5] VfL 볼프스부르크에서 임대[6] 입스위치 타운 FC에서 임대[7]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에서 임대

}}}}}}}}} ||

[1] 미노 라이올라의 오른팔로 라이올라의 에이전시에서 변호사를 맡았으며 라이올라의 사망 후 피멘타가 후계자가 되면서 라이올라의 고객들을 넘겨받았다.[2] 이탈리아 청대에서 임팩트 있는 모습을 보여주어서 이탈리아 내에서는 전국구로 기대받고 있다.[3] U-15시절 루마니아 팀을 상대로 해트트릭을 터트리면서 크게 화제가 된 바 있다. 이후에도 연령별로 국대를 거치면서 꾸준히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기도 하고. 2016년에 열린 17세 이하 유로피언 챔피언스 리그에 이탈리아 대표로 나서서 1골 2어시를 기록한 바 있다. 성적이 나빠보이지만 팀이 조별 예선 탈락이라 3경기밖에 치르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