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안타깝다'의 어원이 되었다는 민간어원 설화에 등장하는 조선 세종 대의 여성.2. 설화
한 가지 설화는, 경상북도 청송에 안탁갑이라는 처녀가 있었고, 임금님에게만 시집을 가겠노라 고집을 부리던 안탁갑은 드디어 세종의 빈이 되었는데, 너무도 안탁갑에게 빠져 있는 임금을 걱정한 신하들이 그를 청파동으로 물리쳤다. 그런 이후 임금의 행차 소식을 들은 안탁갑이 행차의 길목에서 정성스레 만들어 온 미음을 올리고 세종은 이 미음을 단숨에 마셨는데 그때 두 사람의 괴로움을 두고 '세종과 안탁갑이의 사이 같다'고 했다는 것.(출처: 한말연구학회)#[1]또는, 세종시의 연기향토박물관이라는 사립박물관에서 재연공연을 하기도 했던# 설화에서는, 1399년, 현재는 세종시 연동면 합강리에 있는 순흥안씨 마을의 안탁갑(安琸甲)이라는 예쁜 처녀가 커서 왕과 결혼하겠다는 소망을 갖고 한양으로 진출해서, 무언가 왕이 살 것만 같은 대궐에서 대기를 했다. 그러다 깊게 닫혔던 문이 열리는데, 잘생긴 선비라 싫은 건 아니었지만 어릴 적 소망을 이루기 위하여, 가마를 몰고 오겠다는 그 선비의 말을 뿌리치고 몰래 도망간다. 사실 그 선비는 세종대왕이었고, 세종대왕은 갑자기 떠나버린 그 여자의 이름 '안탁갑'을 슬픔에 몸져 누워 애타게 부르니 백성들이 그 말을 듣고 안탁갑으로 말을 하다가 안타깝다란 말이 굳어진 것이라는 얘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