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4 22:36:49

알로이스 리슈카

<colbgcolor=#11457e><colcolor=#fff> 제1체코슬로바키아기갑여단 여단장
알로이스 리슈카
Alois Liška
파일:Alois_Liska.jpg
출생 1895년 11월 20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보헤미아 왕국 자브리치
사망 1977년 2월 7일 (향년 81세)
영국 런던
국적 [[체코슬로바키아|
파일:체코 국기.svg
]] 체코슬로바키아
학력
직업 군인
최종 계급 대장
참전 제1차 세계 대전
러시아 내전
제2차 세계 대전

1. 개요2. 생애
2.1. 전간기2.2. 제2차 세계 대전
3. 참고 문헌

[clearfix]

1. 개요

체코슬로바키아의 군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제1체코슬로바키아기갑여단을 지휘했다.

2. 생애

1895년 자브리치에서 태어났으며 1915년 김나지움을 졸업한 이후 1년동안 복무하기 위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에 입대했고,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1916년 러시아 전선에 파견된 이후 러시아 제국군에 생포된뒤 체코슬로바키아 군단에 포병으로 합류해 여러 전투에 참가하여 1920년 대위로 귀국했다.

2.1. 전간기

전간기 동안에는 제51포병연대에서 복무하며 연대장에 올랐고, 1939년 나치 독일체코슬로바키아보헤미아-모라비아 보호령을 세우자 지하 조직된 국방부의 지역본부 창설을 맡았다. 그러나 게슈타포에 쫓기게 되어 1940년 2월 간신히 프랑스로 탈출한뒤 프랑스 주재 체코슬로바키아군 제1포병연대 연대장에 부임했다.

2.2. 제2차 세계 대전

프랑스 침공으로 다시 영국으로 망명한 이후 군 재정비를 진행했으며 1943년 체코슬로바키아 독립여단 여단장에 부임하고 준장으로 진급했다. 1944년 노르망디 상륙작전 이후 됭케르크를 포위해 독일군의 항복을 받아내는데 성공했고 1945년 조국에 돌아와 프라하 사관학교 교장을 맡았다.

그러나 갈수록 세력이 불려졌던 공산주의자들에 의해 해임을 요구당했으며 결국 1948년 공산주의 정권 집권 이후 런던으로 다시 망명해 체코슬로바키아 군단 망명 공동체 명예회장과 어학원 조직책임자로 일하다가 사망했다.

3.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