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30 21:34:50

앙주 리링크/프로그레스/녹의 세계

1. 개요2. 목록
2.1. 실트2.2. 루루나 젠디아2.3. 마유카 사나기2.4. 아인스 엑스아우라2.5. 세나 유니벨2.6. 나쿠루

1. 개요

앙주 리링크의 녹의 세계 프로그레스에 대해 설명한 문서

2. 목록

2.1. 실트

3성 힐러 실트는 힐러 치고 괜찮은 버프능력과 준수한 공격력으로 생각보다 쓰는 사람들이 있다. 방어 버프가 있긴 하지만 힐러다보니 프로그레스 자체의 방어력이 높지 않아서 생존성은 높지 않다.

장점: 단순한 힐러 외의 용도로 쓸 수 있음
단점: 뭔가 어정쩡한 효과 범위, 의외로 낮은 생존률
요약: 공격이 가능한 방어 지원형 힐러

2.2. 루루나 젠디아

2성 디펜더 루루나는 모든 스펙과 익시드가 방어에 몰빵되어 있다. LP2짜리 공격은 무효화를 걷어내는 용도 이외로 쓰긴 어렵지만 행단위 방업 익시드가 둘이고 이 중 하나는 체력회복이 같이 있다. 익시드의 성능도 준수해서 보통 맨앞 혹은 중앙에 배치해서 버티기를 담당한다. 2024년 2월에 배포된 반주년 기념 3성 소라(한정)나 루루나 로얄 메이드가 사실상 루루나를 대체할 정도로 성능이 좋지만 여전히 통상 가챠슬롯에서 뽑을 수 있는 프로그레스 중에서는 루루나를 대체할 디펜더가 많진 않다.[1]

최근 들어 다중공격 익시드가 등장하면서 2성 루루나가 전투불능이 되는 시기가 빨라졌다. DEF 버프 중에 받는 대미지가 큰 것도 있겠지만 다중공격으로 버프가 순식간에 날아가는 것이 더 크다. 다시말해 3회 DEF 버프로 버거운 일이 많아졌다.

장점: 모나지 않는 가드 성능
단점: 익시드 인플레이션 이후 다소 떨어진 중요도
요약: 디펜더에 충실한 프로그레스
3성 디펜더 루루나(로얄 메이드)는 운영법이 살짝 다르다. LP 7짜리는 그 값을 할정도로 방어 보정수치가 높고 횟수가 많지만 LP 3짜리는 방어 수치가 높은 대신에 횟수가 2로 낮다. 공격익시드는 2성 루루나와 마찬가지로 무효화를 걷어내는 수준이지만 LP 10짜리 익시드 링크에 도발에 전체 방업 53(추가 LP비례 200%까지), 3회가 걸려 있다. 나머지는 개인 방업이지만 도발이 있어서 특별한 공격 우선순위가 걸린 게 아니라면 우선적으로 공격을 받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전작의 적의 세계와 비슷한 감각으로 운영하면 된다. 단점은 디펜더 프로그레스는 육성치가 높아야 하는데 한정 프로그레스라 레어도 육성속도가 미친 듯이 느려서 버프 및 디퍼프 지원형 프로그레스에 비해 실전투입이 애매하다는 점이다.

2.3. 마유카 사나기

3성 한정 프로그레스로 나온 로열 메이드 마유카 사나기는 능력치가 꽤 사기적이라 자주 보인다.

2.4. 아인스 엑스아우라

1성 피니셔 아인스는 익시드 링크를 포함한 모든 익시드가 다 체력을 깎는다. 체력 반비례 버프 적용이면 모르겠으나 그것도 없다. 그래서 체력회복 보유자가 없으면 그냥 물몸이다. 대 AI전에서는 이런 문제 때문에 CPU 한정으로 체력회복 익시드가 들어갔다.

2.5. 세나 유니벨

2성 스트라이커 세나 유니벨은 딱히 쓸만한 익시드가 보이지 않던 런칭 초기에는 꽤 유용하게 쓰였다. 행단위 공업/체력회복이 있고 익시드 링크를 포함한 나머지는 모두 개인공격이다. 이러한 점 때문에 루루나와 같은 행에 배치하면 체력이 거의 깎이지 않던 시절이 있었다. 대미지는 나쁘지 않다는 장점도 있지만 다중 공격이 불가능 해 다중 공격을 갖춘 프로그레스면 해결될 일을 해결하지 못하고 전투가 망하는 일도 있다. 그래서 익시드 인플레가 생긴 요즘에는 거의 안쓰인다. 특징은 아래와 같다.
다만 일부 이벤트 퀘스트의 경우 적이 하나만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대미지가 잘 나오는 세나가 도움이 되기도 한다. LP 대비 대미지가 잘 뽑히기 때문.

장점: 입문기의 깡패
단점: 광역공격이 대세가 된 요즘에는 PvP대전에서 힘을 쓸 수 없음, 낮은 DEF 수치
초코메이드 세나 유니벨은 특유의 버프 때문인지 제법 보인다. 비슷한 시기에 나온 아쿠에리아 초코 메이드보다 더 많이 보인다. 이쪽은 공격에 더 집중된 느낌이다.

2.6. 나쿠루

3성 스트라이커 나쿠루는 가드다운, 공격력 높은 프로그레스를 우선적으로 노리는 익시드 링크가 특징이다. 통상 프로그레스 치고는 상대가 보유하면 짜증을 일으킨다. 스펙은 공격과 방어에 올인되어 있는데 체력이 너무 적다. 그렇다고 물몸은 아닌 것이 방어가 스트라이커 치고는 꽤 높아서 배치만 잘해도 잘 안죽기 때문이다.

익시드 구성은 뤼미에르까지는 아니지만 살짝 지원형 느낌도 나는데 뤼미에르보다 훨씬 많이 쓰이는 이유는 DEF가 훨씬 높아서 생존력이 끝내주게 좋고 ACE 능력을 발동하면 나쿠루가 생존한 상태에서 아군이 전투불능이 될 때마다 ATK가 올라가기 때문이다. 익시드를 써도 공격력에 영향을 주는데 ACE 능력이 겹치면 깡패가 돼서 돌아온다.
메이드 버전은 약간 쓰임이 다르다. 뤼미에르 세이란 래빗를 뒤집은 느낌도 있다. 밀드레드와 비슷한 시기에 등장했는데 묘하게 익시드가 트릭스터스러워서 밀드레드 만큼은 아니지만 유저대전에서 가끔 보인다.


[1] 아마네가 있긴 하지만 체력회복 범위가 자신의 열이고 방어 횟수가 3이 아닌 2다. 나이아는 방어력은 많이 올려주지만 체력 회복이 없고 횟수가 3이라 금방 뚫리는 것은 똑같다. 실트와 히메가미노미코토는 힐과 DEF 버프가 겹쳤지만 역시 횟수가 3이다. 강한 공격을 퍼붓는 프로그레스가 많아진 2024년 5월부터는 DEF 버프 횟수가 3을 초과하는 프로스레스가 없으면 유저대전에서 방어로 버티는 효과를 만끽하기 어렵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