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6 14:12:43

양서강 생물 목록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상위 계통에 대한 내용은 사지상강 생물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병합 토론 중
1. 개요2. †분추목(分椎類, Temnospondyli)
2.1. 에돕스상과(Edopoidea)
2.1.1. 에돕스과(Edopidae)2.1.2. 코클레오사우루스과(Cochleosauridae)
2.2. 진분추류(眞分椎類, Eutemnospondyli)
2.2.1. 덴드레르페톤과(Dendrerpetontidae)2.2.2. 라키토미(Rhachitomi)
2.2.2.1. 드비노사우루스아목(Dvinosauria)
2.2.2.1.1. 트리메로라키스과(Trimerorhachidae)2.2.2.1.2. 드비노사우루스상과(Dvinosauroidea)
2.2.2.2. 에리옵스형류(Eryopiformes)
2.2.2.2.1. 림나르키아(Limnarchia)2.2.2.2.2. 에우스켈리아아목(Euskelia)
3. 진양서아강(Lissamphibia)
3.1. †알로카우다타목(Allocaudata)
3.1.1. 알바네르페톤과(Albanerpetontidae)
3.2. 개구리상목(Batrachia)
3.2.1. 도롱뇽류(Caudata)3.2.2. 살리엔티아(Salientia)
3.3. 무족영원목(無足蠑螈目, Gymnophiona)(☠)
3.3.1. 무족영원류(無足蠑螈類, Apoda)
3.3.1.1. 무족영원과(Caeciliidae)3.3.1.2. 키킬라과(Chikilidae)3.3.1.3. 데르모피스과(Dermophiidae)3.3.1.4. 헤르펠레과(Herpelidae)3.3.1.5. 이크티오피스과(Ichthyophiidae)3.3.1.6. 그란디소니아과(Grandisoniidae)3.3.1.7. 리나트레마과(Rhinatrematidae)3.3.1.8. 스콜레코모르푸스과(Scolecomorphidae)3.3.1.9. 시포놉스과(Siphonopidae)3.3.1.10. 티플로넥테스과(Typhlonectidae)

1. 개요

양서강(兩棲綱, Amphibia)은 물과 뭍 양쪽에서 살아가는 생물로, 아가미를 갖고 태어나 유생기에는 물에서 생활하고 성숙하면 뭍에서 폐와 점액질의 피부로 호흡한다.

2. †분추목(分椎類, Temnospondyli)[1]

2.1. 에돕스상과(Edopoidea)

2.1.1. 에돕스과(Edopidae)

2.1.2. 코클레오사우루스과(Cochleosauridae)

2.2. 진분추류(眞分椎類, Eutemnospondyli)

2.2.1. 덴드레르페톤과(Dendrerpetontidae)

2.2.2. 라키토미(Rhachitomi)

2.2.2.1. 드비노사우루스아목(Dvinosauria)
2.2.2.1.1. 트리메로라키스과(Trimerorhachidae)
2.2.2.1.2. 드비노사우루스상과(Dvinosauroidea)
2.2.2.2. 에리옵스형류(Eryopiformes)
2.2.2.2.1. 림나르키아(Limnarchia)
2.2.2.2.2. 에우스켈리아아목(Euskelia)

3. 진양서아강(Lissamphibia)

3.1. †알로카우다타목(Allocaudata)

3.1.1. 알바네르페톤과(Albanerpetontidae)

3.2. 개구리상목(Batrachia)

3.2.1. 도롱뇽류(Caudata)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도롱뇽류 생물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2. 살리엔티아(Salientia)

3.2.2.1. 개구리목(무미목, 無尾目, Anura)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개구리목 생물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무족영원목(無足蠑螈目, Gymnophiona)(☠)

3.3.1. 무족영원류(無足蠑螈類, Apoda)

3.3.1.1. 무족영원과(Caeciliidae)
3.3.1.2. 키킬라과(Chikilidae)
3.3.1.3. 데르모피스과(Dermophiidae)
3.3.1.4. 헤르펠레과(Herpelidae)
3.3.1.5. 이크티오피스과(Ichthyophiidae)
3.3.1.6. 그란디소니아과(Grandisoniidae)
3.3.1.7. 리나트레마과(Rhinatrematidae)
3.3.1.8. 스콜레코모르푸스과(Scolecomorphidae)
3.3.1.9. 시포놉스과(Siphonopidae)
3.3.1.10. 티플로넥테스과(Typhlonectidae)


[1] 현생 양서류가 여기에 속한다는 주장도 있으며 이게 사실이라면 분추목은 멸종된 분류군이 아닌 것이 된다.[2] 악어와 생활사가 비슷했던 양서류로 페름기 기간 동안만 살았다.[3] 정말 아르케고사우루스상과에 속하는지는 불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