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1 08:45:05

양수련

<colbgcolor=#77aa22><colcolor=#FFFFFF> 양수련
Yang Soo Ryon
생일 9월 12일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직업 소설가, 시나리오 작가
학력 충남여자고등학교(졸업)
충남대학교(국어국문학 학사)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영상시나리오학 석사)
수상 2018년 한국추리문학상 신예상
2022년 아르코 문학나눔 우수소설 선정
MBTI INFJ_A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특징3. 작품목록
3.1. 장편소설3.2. 비소설3.3. 공저3.4. 관련활동
4. 수상내역5. 인터뷰
5.1. 영상매체5.2. 활자매체
6. 여담

1. 개요

대한민국소설가, 시나리오 작가, 2013년 미스터리 단편 <14시 30분의 도둑>을 한국추리작가협회 계간지 <계간 미스터리> 여름호에 발표하면서 추리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조선시대 양반가의 평생도, 한국의 도깨비 등 한국적인 소재의 작품과 사회의 약자를 주인공으로 한 작품을 주로 썼다. 추리소설뿐 아니라 스릴러, SF, 드라마, 미스터리 호러물, 동화 등 다양한 분야의 필력을 갖고 있다.

2. 특징

잡지기자와 편집자 생활을 하다가 작가의 길로 들어섰다. 시나리오를 쓰다가 미스터리 작가가 되었으며 현재는 다양한 문학 분야에서 창작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소설 및 시나리오 분야에선 '양수련'으로 활동하며, 아동물과 관련하여서는 '양시명'이란 이름을 쓰기도 한다.<옐로우 큐의 살아있는 지도 박물관(2019)>, <옐로우 큐의 살아있는 경제 박물관(2019)> 등이 '양시명'으로 출간됐다.

작가의 스릴러 단편 <주홍 돔집>, <+알파가 나타났다>, <소리사이>, <야, 놀자!> 등과 장편 <커피유령과 바리스타 탐정>, <리아 가족>, <해피 벌쓰데이>는 윌라에서 성우들의 목소리로 녹음된 오디오북으로 즐길 수 있다. <그리고 예외는 없다(2014)>와 <호텔마마(2015)> 단편소설은 KBS 제2라디오 <라디오 독서실> 라디오 드라마로 제작 방송되었다.

3. 작품목록

3.1. 장편소설

2012년 <용화에서 숨바꼭질하다> 전자책
2015년 소설집 <호텔마마> 리디북스
2019년 <은둔 여행자> 네이버 오디오클립
2018년 <커피유령과 바리스타 탐정> 책과나무
2020년 <바리스타 탐정 마환> 몽실북스
2022년 <리아 가족> 책과나무
2022년 <인간의 죽음을 동경한 나의 도깨비, 홍제> 북오션
2024년 <해피 벌쓰데이>[1] 책과나무

3.2. 비소설

2002년 <시나리오 맛보기> 홀리즘
2007년 <시나리오 Oh!시나리오> 북스토리
2008년 <시나리오초보작법>[2] 월인
2020년 에세이 <혼자는 천직입니다만> 북오션
2021년 <장르소설 입문자를 위한 글쓰기(공저)> 북오션

3.3. 공저

2013년 단편 <현관 앞, 방문객> 수록_ <지옥문을 여는 방법> 청어람
2014년 단편 <그리고 예외는 없다> 수록_ <잃어버린 밤> 청어람
2015년 단편 <호텔마마> 수록_ <1973년 여름, 베를린의 안개> 황금펜클럽
2016년 단편 <타인의 눈> 수록_ <마릴린 먼로의 입술> 황금펜클럽
2017년 단편 <크리스마스의 주검> 수록_ <리벤지 바이 블러드> 황금펜클럽
2018년 단편 <멈출 수 없어> 수록_ <어른은 권력이다> 황금펜클럽
2018년 단편 <탐정축제에서 생긴 일> 수록_ <굿바이 마이 달링, 독거미 여인의 키스>[3] 도서출판 바람꽃
2021년 단편 <소리사이> 수록_ <위층집>[4] 북오션
2021년 단편 <야, 놀자!> 수록_ <혼숨> 북오션
2022년 단편 <올빼미 펠릿> 수록_ <방과후 복수활동> 북오션

3.4. 관련활동

2003년 모바일영화 <마이 굿 파트너> 원작 각본
2006년 단편영화 <버스를 타다> 각본
2014년 <집배원 김우정> 우체국 사보_소설연재 디지털포스트지
2015년 <계간 미스터리> 봄호_ <그는 왜 나를 궁지로 몰았을까> 단편 게재
2015년 <계간 미스터리> 가을호_ <일촉즉발> 단편 게재
2015년 <계간 미스터리> 겨울호_ <어떤 인터뷰> 단편 게재
2016년 <계간 미스터리> 봄호_ <어떤 킬러> 단편 게재
2020년 <쉰의 낱말 산책> 연재 서울시50플러스포털

4. 수상내역

* 한국시나리오작가협회 주최 영상작가교육원 창작상 수상(2000년)
* SK텔레콤 모바일영화 시나리오공모 대상(2002년)
* 제7회 대한민국영상대전 우수상 <버스를 타다> 각본 참여(2006년)
* 제2회 추계시나리오공모전 우수상(2006년)
* 한국추리문학상 신예상(2018년)
* 아르코 문학나눔 우수소설 선정 <리아 가족>(2022년)

5. 인터뷰

5.1. 영상매체

[위례동행 - 오늘을 듣다 내일을 보다] 02:《바리스타 탐정 마환》양수련 작가 송파위례도서관
이구용의 소설파는 남자 양수련 작가 인터뷰
은평구평생학습관 10주년 기념 양수련 작가 인터뷰

5.2. 활자매체

대한민국 정책지 <위클리 공감>[5]표지인물[6] 및 양수련 작가 인터뷰

6. 여담

집필 활동 외에 은평구평생학습관 에서 2010년부터 2016년까지 글쓰기 강좌를 진행한 한편, 한성대 애니메이션학과, 동국대 여행작가아카데미, 한국추리작가협회 여름추리소설학교, 시나리오작가협회, 서울시 찾아가는 평생학습, 부천문화센터, 이천청소년센터, 중고등학교 등지에서 특강 강사를 역임했다.

은평구립 우리장애인복지관과 서울시 50플러스 서부캠퍼스, 아름다운 가게 등지에서 유튜브 채널 진행자 및 이주여성을 위한 한글교육 등등의 봉사활동을 했다. 50플러스 서대문센터에서 사회공헌 활동을 하기도 했다.


[1] 2025년 3월, 태국의 한 출판사와 번역 출간계약을 맺었다.[2] <시나리오 맛보기>의 개정판이다.[3] 한국의 추리마을 '고한'을 배경으로 한 한국 추리작가들의 추리소설집이다.[4] 작가 4인의 층간소음을 주제로 한 단편집으로 태국에 번역 출간되었다.[5] 현재는 K-공감으로 제호가 바뀌었다.[6] 2017년 2월20일자 발행.제392호 표지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