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6-12 08:20:32

어드미랄렌급 구축함

파일:네덜란드 선수기.svg 제2차 세계 대전의 네덜란드 왕립 해군 함정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86722> 잠수함 즈바르디스흐급, 제이혼트, 돌페인, K XIV급, K XI급, K VIII급, K V급, O 21급, O 19급, O 16, O 12급, O 9급
어뢰정MTB418급, MTB222급, MTB202급, TM4급, TM51급
구잠함퀸 빌헬미나
포함판 킨스베르헌, 플로레스급, 브리니오급
해방함더 제번 프로빈시엔, 코닝긴 레헨테스급, 야콥 반 헤임스케르크
초계함아렌트급, 메럴, 포말하우트, 헤마, 시리우스, 에리다누스
호위함요한 마우리츠 판나사우
구축함판 할런급, 헤라르트 칼런뷔르흐급, 어드미랄렌급
순양함트롬프급, 더라위터르, 자바급, 홀란트급
순양전함프로젝트 1047 순양전함
전함1913년 네덜란드 전함 제안안
호위항공모함하딜라급
기뢰전함다우어 아우커스급, 노틸러스
기타폴스테르 수상기 모함
※ 윗첨자R: 퇴역 함선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파일:HNLMS_Evertsen_SLV_Green.jpg
Admiralen-class destroyer Evertsen
1. 개요2. 소개3. 실전
3.1. 제2차 세계 대전
4. 문제점5. 목록6. 제원7. 매체

1. 개요

어드미랄렌급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네덜란드 해군구축함이다.

2. 소개

어드미랄렌급은 조기퇴역한 울프급 구축함을 대체하기 위해 건조된 구축함들이다. 영국 해군D38 앰버스케이드D39 아마존을 기반으로 설계됐다.

총 8척이 건조되었고, 배치 1과 2로 나누어 건조되었으며, 전부 제2차 세계 대전 도중 손실되었다.[1] 배치 1은 보포스제 120mm 함포를 탑재하였으나 배치 2는 구경이 같은 네덜란드제 HIH Siderius 포를 얹었다는 차이점이 있다.

3. 실전

3.1. 제2차 세계 대전

1940년 독일이 네덜란드를 침공할 당시 5번함 반 갈렌을 제외한 모든 어드미랄렌급은 카를 도어만 제독 휘하의 네덜란드 동양함대에 배속되어 있었다. 반 갈렌은 운이 없게도 하필이면 독일이 침공하기 이틀 전이었던 5월 8일 네덜란드로 귀환한 상태였고, 결국 네덜란드 침공 중 로테르담에서 독일군이 점령한 비행장을 함포 사격으로 파괴하라는 명령을 받고 이동하던 도중 독일 공군의 공습을 받고 격침되었다.

나머지 7척은 급히 본토로 귀환을 시도했으나 네덜란드 본토가 빠르게 무너지면서 결국 다시 동양함대의 주둔지인 인도네시아로 돌아갔다. 이후 1941년 말 일본 제국남방작전이 시작되자 남은 어드미랄렌급은 일본 해군과 교전했다.

이후 1번함 반 겐트는 1942년 2월 15일 좌초되었고, 결국 자침 처분되었다. 이후 연합군 해군 최악의 졸전이라 불리는 자바 해전에서 무려 4척[2] 의 어드미랄렌급이 격침당했고, 7번함 방커트는 도크에서 일본군의 공습을 받아 전손처분을 받고 전후까지 수리되지 못했으며, 8번함 반 네스는 블리퉁 섬으로 이동하던 도중 항공모함 류조 소속 함재기들의 공습을 받고 격침되었다.

4. 문제점

배치 2 소속 어드미랄렌급에는 40mm 빅커스 대공포가 탑재됐는데, 각도를 높이면 오작동 및 고장이 발생했다. 그래서 1km 이상의 표적에 대해선 75mm HIH Siderius 대공포 의존도가 높았다. 1939년에 이르러서야 함포 문제가 간신히 해결되었으나 대공포는 여전히 문제가 많았다. 게다가 설상가상으로 얼마 안 가 독일이 네덜란드를 침공하면서 대공포 문제는 끝까지 해결되지 못했다.

이 외에도 수상기를 운용했으나 함에 캐터펄트를 탑재하지 않아서 매번 일일이 크레인으로 바다에 내린 다음 이륙시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5. 목록

함명 완공 취역 최후
Batch I
De Ruyter → Van Ghent 1926년 1928년 1942년 좌초 후 자침
Evertsen 1942년 후부키급 구축함 무라쿠모와 시라쿠모의 공격으로 격침
Kortenaer 1927년 1942년 묘코급 중순양함 하구로의 공격으로 격침
Piet Hein 1942년 아사시오급 구축함 아사시오의 공격으로 침몰
Batch II
Van Galen 1928년 1929년 1940년 독일 군용기에 의해 침몰
Witte de With 1930년 1942년 일본군의 공습으로 격침
Banckert 1929년 1942년 일본군의 공습으로 격침 후 인양, 1949년 표적함으로 격침
Van Nes 1930년 1931년 1942년 류조의 함재기들에게 공습당해 격침

6. 제원

어드미랄렌급 구축함
De Admiralen Klasse torpedobootjager
이전 함급 울프급
다음 함급 제라드 칼렌버그급
건조 기간 1926~1930년
운용 기간 1928~1942년
표준 배수량 1,316t
만재 배수량 1,640t
전장 98m
전폭 9.53m
흘수 2.97m
추진 장치 3 × 야로우 보일러(31,000마력)
2 × 파슨스 기어 터빈
최고 속력 36노트(약 67km/h)
항속 거리 15노트(약 28km/h)에서 5,900km 정도
탑승 인원 129 → 120명
함재기 1 × Van Berkel W-A
1번째 그룹 무장 4 × 120mm No.4 보포스 함포
2 × 75mm No.6 대공포
4 × 12.7m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2 × 3연장 533mm 어뢰 발사관
2번째 그룹 무장 4 × 120mm No.5 HIH Siderius 함포
1 × 75mm No.7/8 HIH Siderius 대공포
4 × 40mm No.1 빅커스 대공포
4 × 12.7m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2 × 3연장 533mm 어뢰 발사관

7. 매체



[1] 7번함 방커트는 이후 인양된 뒤 표적함으로 다시 가라앉았다.[2] 2번함 에베르첸, 3번함 코르테나르, 4번함 피트 하인, 5번함 비테 드 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