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4 13:24:42

엄익근


성명 엄익근(嚴益根)
이명 엄인석(王仁石)
생몰 1890년 10월 8일 ~ 1950년 2월 29일
출생지 평안남도 용강군 용월면 송암리
사망지 서울특별시
추서 건국훈장 애국장

1. 개요2. 생애3. 후손

1. 개요

한국의 독립운동가.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2. 생애

엄익근은 1890년 10월 8일 평안남도 용강군 용월면 송암리에서 태어났다. 그는 일찍이 중국으로 망명해 청년전지공작대에 가입했다가 1940년 광복군의 창설과 함께 광복군 제 5지대에 편성되었으며, 의무대 군의관으로서 왕인석(王仁石)이라는 이명을 갖고 활동하였다. 1942년 4월 광복군 제5지대가 해체되고 제2지대로 편입됨에 따라 광복군 제2지대의 군의관으로서 광복을 맞이할 때까지 활동했다. 광복 후 서울로 귀국했고, 1950년 2월 29일에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82년 엄익근에게 건국포장을 추서했고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했다.

3. 후손

엄익근은 중국으로 망명하기 전 윤을남(1894~1943)과 결혼하여 아들 엄윤희(1916~1987)를 두었다. 이후 중국으로 망명한 그는 독립군 동료였던 송영집(1910~1984)과 결혼했으며, 엄윤희는 1943년 일본군의 강제 징집을 피해 중국 헤이룽장성으로 망명했다. 엄익근은 광복 후 송영집과 함께 귀국해 서울에 안착했지만, 엄윤희는 귀국하지 못했다. 엄윤희의 아들이자 엄익근의 손자인 엄근학씨는 1998년 한국에 들어와 불법 체류 생활을 하면서 2004년부터 법무부에 '국적 회복 신청서'를 제출했지만 국가보훈처가 중국 쪽 호적서류를 믿지 않으면서 곤경에 처했다.#

이후 엄근학 씨는 서울에서 친자 여부를 증명하기 위해 2년간 조사한 끝에 증빙서류를 찾아낼 수 있었고, 2006년 12월 21일 법무부로부터 국적 회복을 승인받고 서울 용산구청장이 발행한 주민등록증을 취득했다. 현재 그는 공사장에서 철근 기술자로 일하고 있다고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