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08 10:40:15

엘더스크롤: 레전드

엘더스크롤 레전드에서 넘어옴
파일:엘더 스크롤 로고.svg
{{{#!wiki style="word-break: keep-normal; 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메인 시리즈
본편 DLC / 확장팩 리마스터
파일:엘더스크롤: 아레나 로고.png - -
파일:엘더스크롤 2: 대거폴 로고.png - -
파일:엘더스크롤 3: 모로윈드 로고.png 파일:엘더스크롤 3: 모로윈드 - 트라이뷰널 로고.png 파일:엘더스크롤 3: 모로윈드 - 블러드문 로고.png -
파일:오블리비언 로고.png 파일: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 - 나이츠 오브 나인 로고.png 파일: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 - 쉬버링 아일즈 로고.png - 파일:오블리비언 리마스터드 로고 다크.png파일:오블리비언 리마스터드 로고.png
파일: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 로고.png 파일:스카이림 던가드 로고.jpg 파일:스카이림 허스파이어 로고.jpg 파일:스카이림 드래곤본 로고.png 파일:TESV_SSE.jpg파일:TESV_SSE.jpg
파일:TESVI_logo_transparentbg-06.png - -
||<-3><tablebordercolor=#000000><tablewidth=100%><tablebgcolor=#000000> 개별 문서가 존재하는 에디션 ||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 애니버서리 에디션 · 스카이림 VR
기타 시리즈
MMORPG 파일:08048a9c5630ccb67789a198f35d30ec.png
모로윈드 서머셋 엘스웨어 그레이무어 블랙우드 하이 아일
네크롬
스핀 오프 파일:An_elder_scroll_legend_Battlespire_logo.png 파일:redguard_logo.png
파일:The Elder Scrolls Legend.png -
모바일 게임 파일:SH-Title_Image.png 파일:The_Elder_Scrolls_Travels_-_Shadowkey.webp 파일:Dawnstar-Title_Image.png 파일:The-Elder-Scrolls-Travels-Oblivion.png [[엘더스크롤: 블레이드|
파일:The-Elder-Scrolls-Blades-Logo.png
]]
파일:CastlesLogo.webp

||<-2><tablebordercolor=#000000><tablewidth=100%><tablebgcolor=#000000> 미디어 믹스 ||
소설 나락의 도시 · 영혼의 군주
}}} }}} ||

엘더스크롤: 레전드
The Elder Scrolls: Legends
파일:5953f8535f0f980f0cfd680b888f01c5.jpg
<colbgcolor=#271D13><colcolor=#DFC89F>개발 다이어 울프 디지털
스파키팬츠 스튜디오
유통 베데스다 소프트웍스
Gaea
플랫폼 Android | iOS | 베데스다 넷[서비스중지] | Steam
Xbox One | PlayStation 4
Nintendo Switch
출시일 2017년 6월 27일
서비스 종료 2025년 1월 30일
장르 컬렉터블 카드 게임
엔진 FIFE
(Flexible Isometric Free Engine)
심의등급<colbgcolor=#271D13> ESRB 파일:ESRB Teen.svg ESRB T
PEGI 파일:PEGI 12.svgPEGI 12
GRAC 파일:게관위_12세이용가.svg 12세 이용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아시아

1. 개요2. 시스템
2.1. 특징2.2. 카드의 종류2.3. 키워드2.4. 상태효과2.5. 속성
2.5.1. 힘(Strength)2.5.2. 지능(Intelligence)2.5.3. 의지(Willpower)2.5.4. 민첩(Agility)2.5.5. 인내(Endurance)2.5.6. 복합속성(Dual-attribute)2.5.7. 무속성(Neutral)
3. 게임 모드4. 역사
4.1. 개발 중단4.2. 아시아 서비스 4.3. 서비스 종료
5. 기타

1. 개요

엘더스크롤 시리즈의 세계관을 바탕으로 하는 TCG(CCG). 베데스다 소프트웍스에서 퍼블리싱했으며 모바일 카드 게임을 만든 다이어 울프 디지털(Dire Wolf Digital)에서 외주 개발하였다.
2025년 1월에 서비스를 종료했다.

2. 시스템

디지털 TCG 영역에서 하스스톤의 성공 이후 출시된 각종 게임들과 마찬가지로 하스스톤을 벤치마킹하여 시스템을 디자인한 게임이다. 기본적인 플레이 방식, 카드 등급 구분, 게임 인터페이스, 덱 에디터 탭 등도 하스스톤과 매우 유사하나, 대신 필드의 기능 세분화, 전체적인 카드의 디자인/재해석이 충분히 가미되어 다소 MTG에 조금 더 유사한 형태를 띈다. 일례로 덱 구성시 카드 속성을 2종 혼합하여 쓸 수 있다는 점은 MTG에서 2개 이상의 원소소스를 사용하는 것과 매우 유사하다. 필드를 이분화하고 룬에 의한 룬드로우 시스템을 적용한 점에서는 기존의 게임들과 차별화를 꾀했다.

카드들의 테마는 엘더스크롤 시리즈의 여러 설정들을 기반으로 하며, 각 종족의 특성을 카드에 반영하려 노력한 점이 보인다. 예를 들어 아르고니안 카드는 독과 암살, 오시머는 돌격과 강인함, 임페리얼은 대규모 군대의 운용, 던머는 강신술 등 각 종족의 개성을 염두에 두고 디자인되어 있다. 싱글 플레이어 컨텐츠는 튜토리얼과 기본적인 카드 수집 기능을 제공하며, 캠페인을 진행하면서 나름대로 흥미로운 이야기가 전개되기 때문에 지루하지 않게 게임 방식을 익히고 쓸만한 카드들을 모을 수 있다.

2.1. 특징

2.2. 카드의 종류

레전드에서는 필드에 소환하는 생물(Creature) 카드, 한 번 발동하고 사라지는 행동(Action) 카드, 여러 번 사용하거나 지속효과로 발동되는 지원(Support) 카드가 있다.

카드들은 플레이 보상으로 주어지는 골드로 상점에서 카드팩을 구매해 까보거나 무작위 보상으로 지급받거나 소울 젬으로 직접 만들 수도 있다. 기본 이야기 모드를 진행하거나 플레이어의 레벨을 올려(최대치는 50이다.) 처음 주어지는 카드를 레벨업 시켜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카드마다 등급은 일반(흰색), 희귀(파랑색), 영웅(보라색), 전설(금색). 단 전설도 다른 등급과 차이없이 같은 이름의 카드를 3장까지 넣을 수 있는데 MTG의 "전설적" 카드의 타입 처럼 게임내 역사상 특정 카드는 고유(Unique) 전설등급이며 카드 위에 진주같은 보석이 박혀있고 덱에 단 한장만 넣을 수 있다.

등급과는 별개로 일반 카드와 프리미엄 카드가 있는데, 프리미엄 카드는 카드를 얻을 때 낮은 확률로 얻거나 더 많은 소울 젬을 들여 만들어야 하며 일러스트에 부가 효과를 넣었다. 더 번쩍번쩍하며, Live2D처럼 간단하게 움직인다. 여타 TCG의 포일(Foil)카드.

2.2.1. 카드 일람

2.3. 키워드

2.4. 상태효과

생물이 기본으로 보유하는 효과는 아니지만 게임 도중 얻게되는 상태효과로 기능하는 능력들을 기술한다

2.5. 속성

힘(Strength), 지능(intelligence), 의지(Willpower), 민첩(agility), 인내(endurance), 복합속성(Dual-attribute), 무속성(Neutral)의 각 7종의 속성이 있다.

MTG에서 색상 별 특징이 있는 것처럼 힘, 지능, 의지, 민첩, 인내는 각 특성이 있으며 복합속성은 해당되는 두 가지 색의 특징을 혼합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무속성의 경우 특별한 특징은 없지만 선택한 특성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

2.5.1. 힘(Strength)

대표색은 붉은색. 능력은 돌파, 돌진, 부상, 침묵, 역소환이며 다양한 장비카드와 장비시 추가 효과를 받는 생물 카드가 있다. 또한 상대의 룬이 깨지거나 룬이 깨진 갯수에 따라 효과가 발동/버프를 받는 카드가 있으며 광역이나 단일 대상 피해를 주는 생물이나 주문, 공격력이 높은 생물 등 주로 이름과 같이 공격적인 능력을 담당한다. 생물은 우드 엘프, 오크, 노드, 레드가드, 파충류, 럴처, 늑대인간, 임프, 거인, 용, 데이드라있다.

공식설명 : Strength seeks victory through might. You want to attack the enemy head-on, cutting them down before they can use their fancy tricks. Strength actions are ideal for smashing enemies and clearing the way for bruisers.

2.5.2. 지능(Intelligence)

대표색은 파랑. 능력은 최후, 속박, 보호이며 컨트롤 위주의 장비 카드나 장비와 관련된 추가 효과의 생물이 있고 단일 피해나 광역 피해, 생물 희생 주문이 있다. 소환술의 특징으로 아트로나크 생물을 소환 할 수 있으며, 기본 생물은 허약하지만 최후로 추가 효과를 얻거나 소환 시, 또는 장비카드와 효과로 이득을 봐야하는 컨트롤 위주의 능력이다. 생물은 브리튼, 다크 엘프, 레드 가드, 하이 엘프, 잿더미 생물, 네레이드, 와마수, 하피, 사령, 해골, 데이드라가 있다.

공식설명 : When you use Intelligence, you rely on trickery and magic to defeat your foes. The physical strength of Intelligence creatures is almost beside the point – you can always cast a spell, equip a weapon, or conjure an Atronach to even the odds. Intelligence actions are ideal for raining destruction on the battlefield and sculpting long-term plans.

2.5.3. 의지(Willpower)

대표색은 노랑. 능력은 방어, 갈취, 흡수, 이동이며 위니 위주의 작은 토큰 생물을 생산하거나 집단 버프, 생산된 생물 수로 버프를 받거나 추가 효과를 받는 생물/주문, 단일/광역 파괴 주문, 한 턴간 공격력 디버프/버프, 생명력 회복 주문, 생물 버프, 상대 룬이 깨지거나 깨졌으면 추가 효과를 받는 생물 등이 있으며 추가 능력이 없지만 비용 대비 공격력과 체력이 우수하거나 방어 키워드를 가진 생물로 생물을 강제 교환시 이득을 볼 수 있는 생물로 밸런스 형 능력이다. 생물로 노드, 임페리얼, 하이 엘프, 카짓, 늑대, 크와마, 데이드라가 있다.

공식설명 : When you use Willpower, you rely on unity and force of spirit to overcome your foes. Willpower is adept at amassing large armies, erecting strong defenses, and bolstering its forces with magic. Its actions are the best at destroying enemy creatures or bending them to your will.

2.5.4. 민첩(Agility)

대표색은 녹색. 능력은 최후, 치명, 갈취, 돌진, 흡수, 이동, 속박, 은폐, 부상이 있다. 부상입은 생물 파괴/추가 효과, 차선 이동, 속박, 추가 공격, 상대에게 피해를 주고 자신은 회복, 디버프 주문/생물이 있다. 크지는 않지만 적당한 생물로 추가 효과를 지니고 있으며 상대를 단순히 생물이나 피해 주문 등으로 제압하는 것이 아니라 작은 생물로 치명 공격으로 상대의 큰 생물과 교환하거나 불합리한 교환을 속박이나 은폐 또는 차선 이동으로 피하고 갈취와 최후, 부상으로 이득을 보는 필드 전체 보다 생물 위주의 세밀한 컨트롤 위주를 요구하는 특성. 주 생물로 카짓, 아르고니안, 다크 엘프, 우드 엘프, 고블린, 파충류, 차루스, 야수, 럴처, 스프리컨이 있다.

공식설명 : Agility creatures prefer to avoid fair fights, using poison and precision to take down larger foes or cover and movement abilities to sneak past them entirely.

2.5.5. 인내(Endurance)

대표색은 보라색. 능력은 방어, 보호, 재생, 치명, 침묵, 흡수, 최후이다. 주문이 적은 대신 좋은 능력이나 능력치의 생물이 많다. 그래서인지 매지카 펌프가 가능한 특성이며 최대 매지카가 특정 수치 이상이면 버프를 받거나 발동하는 카드가 있고 장비나 버프 중에 공격력보다 체력을 올려주거나 재생능력을 주고 체력이 월등이 높은 생물이 주로 있어 상대의 생물들은 높은 체력과 방어로 교환하고 중후반을 필드를 잡는 특성. 주문은 생물 회복, 침묵. 생물은 아르고니안, 브리튼, 임페리얼, 오크, 사령, 해골, 트롤, 거미, 거인, 용, 매머드, 뱀파이어가 있다.

공식설명 : Endurance will overwhelm your enemy with sheer indomitability. It boasts the biggest creatures in Tamriel with everything from relentless hordes of undead to massive giants and trolls. And with strong guards, potent healing actions, and the ability to increase its Magicka, Endurance has the tools to ensure its monsters come out to play.

2.5.6. 복합속성(Dual-attribute)

힘(Strength), 지능(Intelligence), 의지(Willpower), 민첩(Agility), 인내(Endurance), 중 2가지를 선택하면 그 색에 맞는 특정 카드들, 하지만 MTG처럼 3가지 이상 선택할 수 없다. 따라서 5가지 속성을 2가지씩 조합한 10종류가 존재한다. 속성 이름은 엘더 스크롤에서 직업군으로 불린다. 확장팩 "모로윈드의 가문들" 에서 5가지의 인접 3속성이 생겼다. 속성 이름은 모로윈드의 유명한 가문들 이름을 사용한다.

2.5.7. 무속성(Neutral)

대표색은 회색. 이쪽은 공용 카드 계통이므로 전체적으로 일관된 특색이 없다. 뭐든 가능하지만 원 특성에 비해 매지카(비용) 대비 효율이 좀 떨어진다. 역시 MTG의 무색이라고 보면 된다. 무색만의 생물 타입은 드웨머, 드레그, 리치맨이 있다. 17년 11월 31일 태엽 도시로의 귀환(Return to Clockwork City)이 발매되면서 잡역부(Factotum) 타입의 생물군이 추가되었다.

3. 게임 모드

일반전, 등급전, 연습전, 이야기 모드, 솔로 투기장, 대전 투기장의 6가지 게임 방식이 존재한다.

4. 역사

4.1. 개발 중단

2019년 12월에 개발 중단을 알렸다.# 서버는 닫지 않고 유지하지만, 추가 확장팩 발매 등의 업데이트는 없을 거라고 한다.

4.2. 아시아 서비스

2020년 1월 아시아 서버 사전예약을 받았다.# 퍼블리셔는 가이아 모바일로 과거에 도탑전기를 퍼블리싱한 전력이 있고, 현재 이터널 라이트, 영원한 7일의 도시 등을 서비스하고 있는 회사다.

2020년 3월 12일 정식 오픈하였지만, 1년도 채 되지 않은 2020년 10월에 28일에 서비스 종료를 선언했고, 2020년 12월 31일에 아시아 서버는 폐쇄되었다.

4.3. 서비스 종료

2025년 1월 30일에 서비스를 종료한다고 공지했다. #

5. 기타



[서비스중지] [2] 엄밀히 말해서 배틀스파이어는 '엘더스크롤 레전드'가 본 제목이고 '배틀스파이어'가 부제다. '엘더스크롤'이 본제고 '레전드'가 부제인 해당 작품과는 제목부터가 차이나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