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4 23:36:16

여주자영농업고등학교

여주농업고등학교에서 넘어옴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파일:여주시파란배경.png 경기도 여주시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경기관광고등학교 대신고등학교 세종고등학교 여강고등학교 여주고등학교
여주자영농업고등학교 여주제일고등학교 이포고등학교 점동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colbgcolor=#00A74F> 여주자영농업고등학교
Yeoju Self-Management Agricultural High School
파일:여주자영농고_로고.png
개교 1945년
유형 특성화고등학교
성별 남녀공학
형태 공립
교장 송달용
교감 구은광
학생 수 398명[기준]
교직원 수 73명[기준]
교훈 근면 성실한 영농인이 되자
교화 개나리
교목 은행나무
관할 교육청 경기도교육청
주소 경기도 여주시 세종대왕면 농도원1길 78-1
홈페이지 파일:리로스쿨 아이콘.svg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학과4. 시설5. 학업6. 출신 인물7. 여담

[clearfix]

1. 개요

경기도 여주시 세종대왕면 농도원1길 78-1에 위치한 농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2. 역사

1945년 3월 31일, 여주공립농업학교 (4년제)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여주농업고등학교가 된 것은 1951년의 일이며, 현재 이름은 1984년에 개칭된 것이다.
초대 교장은 박영목 교장. [3] 현재는 19대 이성덕 교장.[4]
1984년 개칭되며 특수목적고등학교로 지정되었던 역사가 있으나 옛날 일. 지금은 그냥 농업계 특성화고등학교.

전 교육부 장관이자 전 서울시 교육감 문용린의 모교.

3. 학과

2022학년도 신입생부터 학과 이름이 바뀌었다.

4. 시설

30만 평이라는 넓은 부지가 자랑. 전국 모든 고등학교중 가장 큰 편이라고 자부한다. 여주농업전문학교 학생들도 사용한다.

대표적인 포장으로는
채소포 (원예 채소 작물 재배용 밭), 영농포 (영농과제실습용 밭), 조경포 (조경기능사 실기 및 조경수목 생산용 비닐하우스), 초화포 (원예 화훼 재배용 노지 및 온실), 답작포 (논), 과수원(사과, 배 등을 재배) 등이 있다.

그외 축산 계통으로는
마사, 우사(한우 및 젖소), 무창돈사(돼지 - 관행적 돈사, 공장식 축사), 무창계사(산란계 - 관행적 양계장, 공장식 축사), 육계사(육계 - 평사로 되어있다), 자연양계사, 자연양돈사, 견사, 과제실습장(염소, 닭 등의 중소가축) 등이 있다.

과거 양록실습장(사슴)이 있었으나 구제역으로 살처분한 후 2018년 현재 방목장으로 사용하며 한우 2마리를 방목하고 있다.

고등학교 건물은 3층이다. 1층은 사랑방, 통합지원반, 남•여교사 화장실, 본교무실, 스튜디오, 방송실, 행정실, 교장실, 보건실, 교장실, 교육정보부 교무실, 멀티미디어실이 있고 2층은 1학년 1~2반, 2학년 1~2반, 3학년 1,2반과 5반이 있고 남•여 화장실, 안전인권생활부 교무실, 위클래스, 상담실이 있다. 3층에는 1학년 3~5반, 2학년 3~5반, 3학년 3~4반, 남•여 화장실, 교감실이 있다.

기숙사는 여자의 경우 농심관 이라는 이름의 4층짜리 건물[5]을 사용하고, 남자의 경우 북성관이라는 3층짜리 건물을 사용한다. 2018년 기숙사 리모델링 이후 농심관 과 북성관 3층사이가 이어졌고 이어진 공간에 독서실이 생겼다.북성관 1층에 기숙사 컴퓨터실이 있다.[6]

학교가 정말 산에 있고 (학교앞의 언덕이 농고산맥[7]이라 카더라), 중심가에 위치해 있지도 않은지라 교내 복지시설로 헬스장과 노래방이 있다.
현재 헬스장과 노래방은 코로나19로 인해 일시적으로 사용이 금지되었다. [8]

학교에 [여농상회]매점이 있다.[9]

5. 학업

경기도의 농업고등학교지만 전국단위 모집이다. 여주뿐만이 아니라 서울, 부산등지에서도 입학한다. 드물게 제주도에서 입학하는 학생도 있다.

특성화고등학교의 일반적인 인식과 달리 은근 면학분위기가 잘 조성되어있는 편이다.[10]
경기도 FFK 전진대회와 전국 FFK 전진대회에서 곧잘 우수한 성적을 거둔다. 특히, 도 단위의 대회에서는 상을 휩쓸어버리는 수준.

졸업 후 대학진학은 국내 3대 농업전문대학[11]거점국립대학교[12], 드물게 인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학교[13]가 있다.

정부의 고졸채용정책에 의해 국립공원공단, 한국토지주택공사, 국민건강보험관리공단, 지방·행정안전부 지역인재 9급 공무원[14] 등의 취업문이 열려있다.[15]

전공을 살린 각종 동아리활동이 활성화되어있다.

취타대는 1988년 서울올림픽 개막식에서 연주한 이력이 있다[16].
다양한 창업 동아리와 전공 및 교과 심화학습 동아리가 활성화 되어있다. [17]

6. 출신 인물

7. 여담

프랑스 케트니 농업고교 학생과 교사가 학교를 방문하여 문화 교류 협약을 맺었다. 그래서인지 불어를 공부하는 방과후 학습 프로그램이 있다. 프랑스로 식품계 연수를 다녀오는 학생도 있다.[18]

또한,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3년간의 학교 생활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일본 연수 기회를 주기도 한다.

학교가 넓다보니 학생들은 실습을 위해 교내에서 교내로 버스를 통해 이동한다. 과수원은 버스로 15분~20분정도 가야 갈 수 있다. 걸어가야 되는 상황이 나온다면 정말 최악이다.

2009년 서울대학교에서 실습을 나온 만19세 학생이 트랙터에 치여 사망하였다 https://www.k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38578
[기준] 2023.05[기준] [3] 학교 소회의실에 역대 교장 사진이 붙어있는데, 유일하게 이 사람만 사진이 없다.[4] MBTIINFP이시다.[5] 얼핏 보기에는 3층이다. 실제로는 한 층이 더 있는데, 다른 층과 달리 좁아 독서실로만 사용한다[6] 학교 컴퓨터실과 별개. 학생들이 학습 목적으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여자 기숙사에도 컴퓨터가 있지만 한 층에 2대 뿐. 여학생들은 컴퓨터를 사용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남자 기숙사로 간다.[7] 노력고개라는 별칭도 있다.[8] 2023년 현재도 이용불가[9] 학교 협동조합에서 운영하고, 2023년 빼빼로데이 때는 2+1 행사도 진행하였다.[10] 특성화고등학교, 그것도 농업고등학교 치고는 입학생 평균 내신이 괜찮은 편이다. 정원미달인 경우가 많은 여타 농업고등학교와 다른 점이라 할 수 있겠다.[11] 한국농수산대학, 여주농업경영전문학교, 연암대학교를 말한다. 학벌조장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농업을 가르치는 전문대학이 드물다보니 생긴 말이다.[12] 전남대학교, 부산대학교[13] 건국대학교, 서울대학교, 최근에는 성공회대학교, 가천대학교, 한경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단국대학교 등 건국대, 서울대가 거의 전부였던 수도권 대학 입학이 다양하고 많아지고 있다.[14] 지방직의 경우 경기도, 서울시[15] 공무원이나 공기업 취업을 노리고 입학하는 학생도 있다.[16] 고등학교 정문에 감사패가 있다[17] 동아리는 아니지만 Core라는 농업인양성프로그램이 있다. 농업에 대한 스펙트럼을 넓히고, 농업의 의지를 키워주는 프로그램이다. 매년 면접을 통해 학생을 선발한다. 기존 Core 학생도 예외는 아니다. 뺀질대거나 의지가 없어 2학년때만 활동하다가 3학년때 쫓겨나가듯 하는 학생도 있으니.[18] 문화 교류 협약의 가장 큰 의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