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역명을 두고 논란이 있었던 역들이다.2. 대학교 역명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역 관련 정보/대학교 역명#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역 관련 정보/대학교 역명#|]][[역 관련 정보/대학교 역명#|]]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경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교통#s-4.1|4.1]]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교통#|]][[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교통#|]]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지명을 거부한 경우
신도시에서는 호수공원역명을 많이 선호한다. 장자호수공원역, 검단호수공원역 같은 경우에는 기존 지명이 애매한 감이 있어서 선정될 수 있었지만 누가봐도 기존 지명을 사용하는 것이 명백한 구래역은 호수공원역이 선정되지 않았다.검단신도시의 경우, 검단호수공원 외에도 기존의 법정동을 역명으로 사용하기 애매한 경우가 많아서 행정동을 사용하거나 경계에 있고 기존 지명이 마음에 안 든다는 이유로 인천원당역을 거부하고 검단중앙역을 지지한 결과, 검단중앙역이라는 역명이 가진 단점을 보완해 신검단중앙역으로 지정한 사례가 있다. 그러나 이 또한 역명 핌피라는 비난이 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