퉁구스어족 Tungusic Languages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2px" | 북퉁구스어파 | 네기달어 · 오로첸어(어룬춘어) · 어웡키어 · 에벤어 · 오로치어 · 우데게어) |
남퉁구스어파 -남서퉁구스어(여진어군)- | 여진어† · 만주어 · 시버어 | |
남퉁구스어파-남동퉁구스어(나나이어군)- | 나나이어 · 울치어 · 윌타어 | |
| }}}}}}}}} |
1. 개요
오로첸어는 오르촌족의 언어이다. 오로첸어는 문자가 없는 언어이다.2. 사용 지역
오로첸어는 중국 만주에 거주하는 오르촌족들을 중심으로 사용되고 있다. 오로첸어는 만주 지역에서 사용되는 퉁구스어족의 언어이지만, 화자수가 많지 않다보니 소멸위기에 처해 있다.3. 문법과 어휘
오로첸어는 퉁구스어족에 속한 언어로 만주어, 어웡키어(에벤키어), 나나이어 등의 다른 퉁구스어족의 언어와 매우 가깝다. 위 영상에서도 알 수 있듯, 수사는 만주어 수사와 정말 비슷하다.문법적으로 오로첸어도 주어 + 목적어 + 서술어의 특징을 나타내며 한국어와 문법적으로 가까운 언어이다. 그리고 오로첸어도 어휘에서 다른 퉁구스어족의 언어와 비슷한 어휘가 많으며 현대에 들어서면서 만주어, 몽골어, 중국어에서 차용한 어휘도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