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3 23:35:06

요시무라 유키

요시무라 유키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우승 엠블럼 V6.svg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우승 엠블럼 V7.svg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우승 엠블럼 V8.svg
NPB 일본 시리즈
우승반지
2014 2015 2017

보유 기록(NPB)
전 타순 홈런 2009년 6월 17일[1]
전 구단 상대 홈런 2014년 5월 29일[2]

요코하마-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등번호 31번
셰인 바워스
(2002)
<colbgcolor=#009dec> 요시무라 유키
(2003~2012)
아카호리 다이키
(2013~2015)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등번호 6번
타무라 히토시
(2007~2012)
요시무라 유키
(2013~2018)
이마미야 켄타
(2019~)
}}} ||
파일:Y.Yoshimura_YB.jpg
<colbgcolor=#fff><colcolor=#000> 요시무라 유키
吉村裕基 | Yoshimura Yuki
생년월일 1984년 6월 14일 ([age(1984-06-14)]세)
국적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출신지 후쿠오카현 코가시
신체 183cm, 88kg
출신학교 히가시후쿠오카 고교
포지션 외야수, 1루수, 3루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02년 드래프트 5위
소속팀 요코하마 베이스타즈-DeNA 베이스타즈 (2003~2012)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13~2018)

1. 개요2. 선수 경력3. 은퇴 후4. 플레이 스타일5. 연도별 성적6. 여담

[clearfix]

1. 개요

일본의 前 야구 선수.

2. 선수 경력

고교 시절, 1학년 여름 대회부터 5할 타율과 7개의 홈런을 때려내며 존재감을 알렸고 2학년이 되던 해에는 팀의 4번타자이자 1루수로 센바츠에 출전해 8강까지 오른다. 3학년이 되던 해에는 투수로 나서기도 했지만 3학년때는 고시엔 본선 진출을 이루지는 못했다.

3학년 여름이 마무리 된 이후 몇 달 뒤 개최된 2002년 드래프트 회의에서 요코하마 베이스타즈의 5순위 지명을 받았다.[3]

2.1. 요코하마 베이스타즈

입단 이후 3년 동안은 많은 경기에 나서지 못했지만 4년차인 2006년, 시즌 초반부터 맹타를 휘두르며 주전 우익수 자리를 꿰찼다. 41경기가 지난 시점에서 타율 .341 9홈런 27타점을 기록하면서 신인상 경쟁을 이어갔지만 6월 3일 닛폰햄전에서 손가락 골절상을 당하는 바람에 전열에서 이탈했다. 다행히 6월 30일에 복귀한 뒤로도 타격감을 잃지 않으며 3할대 타율을 유지했고 시즌 최종 타율 .311 26홈런을 기록했다. 허나 부상 여파로 인해 규정타석에서는 도달하지 못했으며 신인상도 소요기 에이신에게 돌아갔다.

2007년에는 1루수로 전향하여 시즌을 맞이했다. 이 해에 타율은 전년도보다 떨어졌지만 처음으로 규정타석에 도달했고 총 141경기에 나서 24홈런 85타점을 올렸다. 홈런과 타점 모두 무라타 슈이치에 이은 팀 내 2위 기록.

2008년에는 다시 외야수로 전향, 우익수로 나섰으며 데뷔 처음으로 30홈런을 돌파했으며 1경기 3보살을 기록하는 등 타격과 수비에서 좋은 활약을 펼쳤다. 이 해의 요코하마는 승률이 3할 3푼대로 최악의 성적을 기록했지만 우치카와 세이이치 - 무라타 슈이치 - 요시무라 유키로 이어지는 중심타선 만큼은 타 팀에 밀리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2009년은 데뷔 처음으로 전 경기에 출전했지만 전년도인 2008년에 비해 홈런과 타점이 크게 감소하며 부진했다. 이 해에는 일본프로야구 사상 8번째가 되는 전 타순 홈런을 기록했는데 달성 당시 나이는 불과 24세로 역대 최연소 전 타순 홈런 달성자가 되었다.

허나 2010년 이후로는 부진에 빠지며 주전 자리에서 밀려났다. 2010시즌 초 부진이 장기화 되자 시모조노 타츠야에게 외야 자리를 내 줘야 했으며 2011년에는 개막 이후엔 준수한 활약을 펼쳤지만 5월 이후엔 1할 6푼대의 저조한 타율을 기록하면서 부진했다.

모기업이 바뀐 2012년에도 부진은 이어져 불과 25경기 출전에 그쳤다. 그런 와중에도 5월 5일 주니치전에서 2연타석 홈런을 쳤다.

2.2.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12시즌 종료 후 에지리 신타로, 야마모토 쇼고와 함께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로 트레이드되며 고향팀에 입단하게 되었다.

한편 이 트레이드로 요코하마는 타무라 히토시, 요시카와 테루아키, 카미우치 야스시를 받았다. 타무라는 테라하라 하야토와의 트레이드로 팀을 떠났다가 7년 만에 다시 친정팀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이적 후 첫 해인 2013년에는 시즌 초반에 잠깐 활약하긴 했지만 여전히 부진을 면치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2014년, 대타와 코너 내야 백업으로 좋은 활약을 펼치며 주축 선수들이 부상으로 이탈한 동안 그 자리를 잘 채워주었다. 5월 28일에는 친정팀 요코하마를 상대로 홈런을 때려내며 사상 28번째가 되는 전 구단 홈런을 달성했다. 7월 중순 종아리 부상으로 인해 한동안 이탈하긴 했으나 복귀 후 오릭스와의 1위 싸움에서 중요한 순간마다 타점을 뽑아내며 소프트뱅크의 리그 우승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 이 시즌 대타 성적은 18타수 9안타로 타율 .500을 기록하였다.

닛폰햄과의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도 팀 내 최다인 6타점을 기록하여 클라이맥스 시리즈 MVP에 선정되었다. 팀도 일본시리즈에 올라가 한신을 상대로 4승 1패를 거두며 일본시리즈 우승을 차지. 커리어 첫 우승 반지를 획득했다.

2015, 2016년에는 14년만큼의 활약은 아니었지만 대타 및 백업으로 각각 73, 78경기에 출전하였다.[4] 2017년에는 2개의 홈런을 치긴 했지만 8경기 출전에 그쳤고 결국 2018년, 1군 출전 없이 그 해 시즌 후 전력 외 통고를 받고 방출되었다.

2.3. 방출 이후

2019년, 네덜란드의 야구 리그인 홍크발 호프드클라서 소속의 트윈스 오스터하스타에 입단하여 1년간 활동했다.

2019년 말 다시 일본으로 돌아와 류큐 블루 오션즈에 입단해 1년을 활동했고 2021년 초에는 히노쿠니 샐러맨더즈에 플레잉코치로 입단했다. 2022년에도 현역으로 활동하는 것을 희망했지만 결국 현역 연장을 단념하고 완전히 선수생활을 접었다.

3. 은퇴 후

2022년 2월에 학생야구지도자격을 회복하여 모교인 히가시후쿠오카 고교의 코치로 활동하고 있으며 호크스 주니어 아카데미의 코치도 병행했다.

2023년부터 TBS의 해설위원으로, 2024년부터 스포츠라이브+의 해설위원으로 활동한다.

4. 플레이 스타일


고교 통산 43홈런을 기록한 파워와 투수로 최고 147km/h를 기록한 경험이 있을 만큼 강한 어깨를 보유한 외야수.

단일시즌 34홈런까지 기록할 정도로 장타력이 있는 타자지만 선구안이 좋지 않아 삼진이 상당히 많다. 통산 볼넷이 204개인 반면 삼진은 751개로 볼넷의 3배가 넘는다.

수비의 경우 강한 어깨를 살린 외야에서 두각을 나타냈는데 센트럴 리그 최다 보살을 기록했던 경험이 있다. 주력도 있는 편이라 한 시즌에 13개의 도루를 기록하기도 했다. 허나 통산 35도루를 성공시키는 동안 실패도 25개가 있어 그다지 효율적인 도루를 하진 못했다.

이처럼 파워와 어깨라는 툴을 가지고 있었지만 불과 26살에 찾아온 기량 저하로 인해 누적 스탯을 더 쌓아올리지 못하고 빠르게 주전에서 밀려나 벤치 멤버로 뛰며 은퇴하게 되었다.

여러모로 KBO 리그김상현과 비슷한 점이 많다. 뛰어난 파워와 강한 어깨, 좋지 못한 선구안, 짧은 전성기, 화려한 배트 플립, 임팩트 있는 시즌이나 기록 등 겹치는 부분이 꽤 있다.

5. 연도별 성적

역대 기록(NPB)
<rowcolor=#000> 연도 소속팀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2003 요코하마 6 22 4 1 0 1 3 2 0 2 4 .222 .364 .444 .808
2004 10 13 2 0 0 0 1 1 0 0 5 .154 .154 .154 .308
2005 1군 기록 없음
2006 111 416 123 24 1 26 66 57 5 10 116 .311 .336 .573 .909
2007 141 566 142 21 4 24 85 69 5 30 95 .274 .320 .468 .788
2008 142 574 138 30 4 34 91 69 9 30 135 .260 .313 .525 .837
2009 144 588 131 26 2 16 54 62 13 45 134 .248 .318 .396 .714
2010 49 141 27 4 0 3 11 12 0 5 41 .205 .229 .303 .532
2011 81 245 44 8 1 5 11 25 0 15 59 .200 .272 .314 .586
2012 DeNA 25 72 14 3 0 2 7 4 0 5 22 .209 .264 .343 .607
<rowcolor=#000> 연도 소속팀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2013 소프트뱅크 36 104 18 0 0 5 16 13 1 7 23 .194 .272 .355 .627
2014 64 192 48 11 0 5 29 15 1 24 28 .296 .384 .457 .841
2015 73 151 28 5 2 3 15 12 0 16 36 .217 .325 .357 .681
2016 78 206 37 4 1 5 28 16 1 14 46 .209 .287 .328 .615
2017 8 19 3 0 0 2 2 2 0 1 1 .176 .263 .529 .793
2018 1군 기록 없음
NPB 통산
(16시즌)
968 3309 759 137 15 131 419 359 35 204 751 .253 .311 .440 .751

6. 여담


[1] 역대 8번째[2] 역대 24번째, 전 타순 홈런을 기록한 타자가 전 구단 상대 홈런까지 달성한 것은 역대 최초.[3] 이 해 드래프트에서 고등학교 선배인 무라타 슈이치가 희망 입단 범위 제도를 통해 입단하며 입단 동기가 되었다.[4] 2015년 시즌 종료 후에는 FA 자격까지 취득했다. 다만 FA를 행사하진 않았고 2년 계약에 합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