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22 17:00:33

Warframe/워프레임/오베론

워프레임 오베론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Warframe/워프레임
파일:워프레임_로고.png파일:워프레임 로고 화이트.png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2px -12px"
{{{#ffffff {{{+1 장비}}}}}}
워프레임 무기 동반자 아크윙 착륙정
K-드라이브 레일잭 네크라메크
{{{#ffffff {{{+1 업그레이드}}}}}}
모드 리벤 모드 아케인 포커스 플렉서스
헬민스
{{{#ffffff {{{+1 기초 플레이 정보}}}}}}
조작 마스터리 랭크 오비터 피해 유형 자원
클랜 소모품 일일 접속 보상
{{{#ffffff {{{+1 미션 관련 정보}}}}}}
미션 퀘스트 보이드 균열 콘클레이브 신디케이트
이벤트 나이트웨이브 보존 낚시 채광
{{{#ffffff {{{+1 등장 적 정보}}}}}}
적 일람 보스 암살자 아이돌론 오브 마더
쿠바 리치 파보스의 자매들 테크노사이트 코다 집정관
{{{#ffffff {{{+1 지역}}}}}}
성계 지도 릴레이 아이돌론 평원 오브 협곡 캠비온 퇴적지
프록시마 두비리 홀바니아
{{{#ffffff {{{+1 세계관}}}}}}
등장인물 진영 조각들 언어 레퀴엠
{{{#ffffff {{{+1 기타}}}}}}
초보자 가이드 게임 용어 문제점 캡처라 미니게임
도전과제 워프레임 마켓 코믹스 사운드트랙 TennoCon
}}}}}}}}} ||
워프레임 목록
(가나다순 정렬)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margin:-5px -10px"
[[Warframe/워프레임/Cyte-09|{{{#!wiki style="margin: -10px -0px; width: calc(100% / 6); max-width: 74.5px; text-align: center; border: none; vertical-align: top; display: inline-block;"
<tablewidth=100%> 파일:warframe_Cyte-09.png
Cyte-09
}}}]][[Warframe/워프레임/가라|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gara.png ||
가라
]][[Warframe/워프레임/가루다|
||<tablewidth=100%><nopad> 파일:가루루루다.png ||
가루다
]][[Warframe/워프레임/가우스|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Gauss.png ||
가우스
]][[Warframe/워프레임/그렌델|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Grendel.png ||
그렌델
]][[Warframe/워프레임/나이더스|
||<tablewidth=100%><nopad>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NidusNewLook.png ||
나이더스
]][[Warframe/워프레임/나타|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nezha.png ||
나타
]][[Warframe/워프레임/네크로스|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nekros.png ||
네크로스
]][[Warframe/워프레임/노바|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nova.png ||
노바
]][[Warframe/워프레임/놋코|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Nokko.png ||
놋코
]][[Warframe/워프레임/닉스|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nyx.png ||
닉스
]][[Warframe/워프레임/다가스|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Portrait_Dagath.png ||
다가스
]][[Warframe/워프레임/단테|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Portrait_Dante.png ||
단테
]][[Warframe/워프레임/라보스|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Lavos.png ||
라보스
]][[Warframe/워프레임/라이노|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rhino.png ||
라이노
]][[Warframe/워프레임/레버넌트|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Portrait_Revenant.png ||
레버넌트
]][[Warframe/워프레임/로키|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loki.png ||
로키
]][[Warframe/워프레임/림보|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limbo.png ||
림보
]][[Warframe/워프레임/매그|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mag.png ||
매그
]][[Warframe/워프레임/메사|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Mesa.png ||
메사
]][[Warframe/워프레임/미라지|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mirage.png ||
미라지
]][[Warframe/워프레임/바루크|
||<tablewidth=100%><nopad> 파일:바루크.png ||
바루크
]][[Warframe/워프레임/바우반|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vauban.png ||
바우반
]][[Warframe/워프레임/발키르|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valkyr.png ||
발키르
]][[Warframe/워프레임/밴쉬|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banshee.png ||
밴쉬
]][[Warframe/워프레임/보루나|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voruna.png ||
보루나
]][[Warframe/워프레임/볼트|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volt.png ||
볼트
]][[Warframe/워프레임/새린|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saryn.png ||
새린
]][[Warframe/워프레임/세바고스|
||<tablewidth=100%><nopad> 파일:sevagoth.png ||
세바고스
]][[Warframe/워프레임/스티아낙스|
||<tablewidth=100%><nopad> 파일:styanax.png ||
스티아낙스
]][[Warframe/워프레임/시트린|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citrine.png ||
시트린
]][[Warframe/워프레임/아틀라스|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atlas.png ||
아틀라스
]][[Warframe/워프레임/애쉬|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ash.png ||
애쉬
]][[Warframe/워프레임/야렐리|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yareli.png ||
야렐리
]][[Warframe/워프레임/엑스칼리버|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excalibur.png ||
엑스칼리버
]][[Warframe/워프레임/엠버|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Ember.png ||
엠버
]][[Warframe/워프레임/오공|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wukong.png ||
오공
]][[Warframe/워프레임/오락시아|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Oraxia.png ||
오락시아
]][[Warframe/워프레임/오베론|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oberon.png ||
오베론
]][[Warframe/워프레임/옥타비아|
||<tablewidth=100%><nopad> 파일:external/n8k6e2y6.ssl.hwcdn.net/27aa96c9d368f26f8a95c5562eddfa29.png ||
옥타비아
]][[Warframe/워프레임/위습|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Portrait_Wisp.png ||
위습
]][[Warframe/워프레임/이나로스|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inaros.png ||
이나로스
]][[Warframe/워프레임/이바라|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ivara.png ||
이바라
]][[Warframe/워프레임/이쿼녹스|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equinox.png ||
이쿼녹스
]][[Warframe/워프레임/자이어|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Portrait_Gyre.png ||
자이어
]][[Warframe/워프레임/자쿠|
||<tablewidth=100%><nopad> 파일:wf_xaku.png ||
자쿠
]][[Warframe/워프레임/제이드|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Jade.png ||
제이드
]][[Warframe/워프레임/제피르|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zephyr.png ||
제피르
]][[Warframe/워프레임/칼리반|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caliban.png ||
칼리반
]][[Warframe/워프레임/코라|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khora.png ||
코라
]][[Warframe/워프레임/코르벡스|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Portrait_Qorvex.png ||
코르벡스
]][[Warframe/워프레임/코우메이|
||<tablewidth=100%><nopad> 파일:koumei_warframe.png ||
코우메이
]][[Warframe/워프레임/쿨레르보|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Portrait_Kullervo.png ||
쿨레르보
]][[Warframe/워프레임/크로마|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chroma.png ||
크로마
]][[Warframe/워프레임/템플|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Temple.png ||
템플
]][[Warframe/워프레임/트리니티|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Trinity.png ||
트리니티
]][[Warframe/워프레임/티타니아|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titania.png ||
티타니아
]][[Warframe/워프레임/프로스트|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frost.png ||
프로스트
]][[Warframe/워프레임/프로티아|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Protea.png ||
프로티아
]][[Warframe/워프레임/하이드로이드|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hydroid.png ||
하이드로이드
]][[Warframe/워프레임/해로우|
||<tablewidth=100%><nopad> 파일:warframe_harrow.png ||
해로우
]][[Warframe/워프레임/힐드린|
||<tablewidth=100%><nopad> 파일:힐드린.png ||
힐드린
]]
}}}||
총 62개 (프라임 48개) • 40 협곡의 심부 기준
}}}}}}}}} ||

1. 개요2. 능력치3. 제작4. 어빌리티
4.1. 스마이트4.2. 할로우드 그라운드4.3. 리뉴얼4.4. 레코닝
5. 스킨6. 오베론 프라임7. 운용
7.1. 올라운더 빌드
8. 평가9. 기타10. 둘러보기

1. 개요


업데이트 11.5.0으로 추가된 성기사 컨셉의 워프레임. 최초 공개된 라이브 스트림 당시에는 '성기사' 혹은 '드루이드'라고 언급되었으며, 실제로도 팀원 및 아군 보호와 전투 지원에 특화된 캐스터형 워프레임이다.

2. 능력치

오베론
Oberon
<nopad> 파일:warframe_oberon.png 스테이터스 초기치 30랭크
체력 365 465
실드 270 370
에너지 175 225
방어력 385
질주 속도 1.0
오라 극성 파일:워프레임_마두라이.png파일:워프레임_마두라이_화이트.png
극성 파일:워프레임_마두라이.png파일:워프레임_마두라이_화이트.png파일:워프레임_마두라이.png파일:워프레임_마두라이_화이트.png
오베론의 손 아래 치유와 고통이 자유자재로 다루어집니다. 자연의 세계를 다룰 수 있는 그의 힘은 아군을 보조하며, 아군에게는 이익을, 적에게는 위해를 가져다줍니다.

3. 제작

설계도
파일:warframe_neuroptics.png
1
파일:warframe_chassis.png
1
파일:warframe_systems.png
1
파일:warframe_orokin_cell.png
1
파일:warframe_credits_L.png
25,000
설계도 획득 상점 가격 파일:Warframe_Credits.png 30,000
완제품 획득 상점 가격 파일:Warframe_Platinum.png 325
파일:warframe_neuroptics.png 뉴로옵틱스
파일:warframe_alloy_plate.png
150
파일:warframe_control_module.png
1
파일:warframe_polymer_bundle.png
150
파일:warframe_circuits.png
500
파일:warframe_credits_L.png
15,000
설계도 획득 지구 프록시마[1]
파일:warframe_chassis.png 섀시
파일:warframe_gallium.png
1
파일:warframe_polymer_bundle.png
1,000
파일:warframe_rubedo.png
300
파일:warframe_credits_L.png
15,000
설계도 획득 토성 프록시마
파일:warframe_systems.png 시스템
파일:warframe_orokin_cell.png
1
파일:warframe_gallium.png
1
파일:warframe_polymer_bundle.png
500
파일:warframe_alloy_plate.png
220
파일:warframe_credits_L.png
15,000
설계도 획득 지구 프록시마

오베론의 부품 설계도는 레일잭 그리니어 프록시마에서 관심지점 보상이나 미션 완료 보너스로 획득할 수 있으며, 설계도는 상점에서 판매하고 있다. 이전에는 모든 엑시무스가 처치 시 부품 설계도들을 드랍했었으나, U29.10: 데이모스의 심장 업데이트를 기점으로 드랍처가 변경되었다.

4. 어빌리티


아군 보호에 특화된 성기사다운 패시브. 버프 부여는 오베론 본인과 분대원, 그리고 동반자와 방어 대상들에게도 적용된다. 현재 쌓인 스택 수는 사슴의 뿔이 솟아난 방패가 캐릭터의 주변을 감도는 시각 효과를 통해 알 수 있다. 방패는 피해를 막아내기 전까지는 무한히 지속되며, 스택이 쌓인 상태에서 공격이 들어오면 그 피해를 차단하고 0.25초간 무적을 부여한다.

4.1. 스마이트

Smite
적의 내부에 치명적인 에너지를 집중시켜, 강한 피해를 입히고 오버가드를 비롯한 모든 방어를 제거합니다. 목표물 근처에 있는 적들 역시 일부의 피해를 입게 됩니다.

발동키: 1
<colbgcolor=lightgray,#353535> 소비 에너지 25
영향을 주는 모드 어빌리티 거리(사거리, 폭발 범위)
어빌리티 위력(피해)
랭크 0 1 2 3
기본 피해(파일:warframe_radiation.png파일:warframe_radiation_white.png방사능) 150 200 300 500
대상 체력 비례 피해 20% 25% 30% 35%
광역 체력 비례 피해 10%
폭발 범위 4m 5m 5m 6m
사거리(시전 범위) 20m 30m 40m 50m

대상이 된 적 하나를 대폭 약화시킴과 동시에 큰 피해를 가하는 어빌리티. 어느 정도의 범위 딜링기 역할도 수행할 수 있으나 이 어빌리티의 진가는 방어력 제거와 오버가드 철거로, 위력과 효율 수치에 관계없이 스마이트의 대상으로 지정된 적은 방어력과 오버가드를 완전히 제거당하기 때문에 엑시무스나 튼튼한 엘리트 몹들을 대상으로 시전하는 것이 유리하다. 적들의 오버가드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고티어 미션으로 갈 수록 빛을 발하는 어빌리티로, 스마이트 자체의 퍼뎀에는 75%의 제한이 있지만 바이러스 상태이상이나 로어와 같이 피해량을 증가시킬 수단을 챙긴다면 즉사기로도 사용할 수 있다.

개조 스마이트 인퓨전(Smite Infusion) 길게 눌러 시전할 시 15m의 범위 내 모든 아군들의 공격에 40초 동안 100%의 추가 방사능 피해를 부여합니다. 스틸 메리디안
뉴 로카
영향을 주는 모드 어빌리티 지속 시간(지속 시간)
어빌리티 위력(피해 증가율)
* 아군에게 40초 동안 100%의 파일:warframe_radiation.png파일:warframe_radiation_white.png방사능 추가 피해를 부여합니다.
* 파일:warframe_radiation.png파일:warframe_radiation_white.png방사능 추가 피해는 속성 모드와 같은 방식으로 적용됩니다.

세드나 감청처럼 랭작용 노드에서 유용하게 쓰이는 개조모드. 개편 전 드라코 랭작에서도 각광받은 바 있다.

4.2. 할로우드 그라운드

Hallowed Ground
오베론 주변의 지면을 성역화하여,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적들에게 방사능 피해를 입힙니다. 또한 안에 있는 오베론과 아군들이 상태 이상 효과에 걸리지 않도록 보호를 부여합니다.

발동키: 2
<colbgcolor=lightgray,#353535> 소비 에너지 50
영향을 주는 모드 어빌리티 지속 시간(지속 시간)
어빌리티 거리(범위)
어빌리티 위력(피해)
랭크 0 1 2 3
범위(반경) 8m 10m 12m 15m
지속 시간 10초 15초 17초 20초
피해(파일:warframe_radiation.png파일:warframe_radiation_white.png방사능) 25 50 75 100

장판형 버프/디버프기. 오베론 본인을 중심으로 초목이 무성한 풀숲을 최대 3개까지 설치할 수 있으며, 범위 내에 들어온 적들은 방사능 피해와 상태이상을 입고 반대로 아군은 상태이상 면역 효과를 제공받는다. 오베론 본인의 경우에는 할로우드 그라운드의 범위 내에서 리뉴얼 어빌리티의 효과로 제공하는 체력 회복 효과가 두배로 증가하기 때문에 적들이 화력이 증가할 때 회복 효과를 부스팅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고, 레코닝 어빌리티는 방사능 상태이상이 중첩될수록 더 강한 위력을 발휘하기 때문에 레코닝을 사용하기 전에 미리 시전해서 데미지를 증가시키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개조 할로우드 이럽션(Hallowed Eruption) 어빌리티 재시전 시 남은 피해 전부와 방사능 상태이상을 부여합니다. 패시브: +200% 할로우드 그라운드 지속시간 스틸 메리디안
뉴 로카
영향을 주는 모드 어빌리티 지속 시간(소멸 피해)
어빌리티 위력(피해)

어빌리티의 작동 특성상 위력 말고도 지속시간을 올려도 대미지가 상승한다. 다만 한 번에 하나의 할로우 그라운드만 깔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를 이용하면 최고의 누커가 탄생한다! 개조 모드를 사용하여 이 스킬을 마구 누른다 하면 딜량이 행성파괴 수준. 위력모딩을 하지 않은 100%의 상태로도 수치상 8000의 대미지를 줄 수 있다.[2]
다만 범위가 그렇게 넓지 않은 것이 흠이지만 맵이 좁은 미션이라면[3] 단점이라 할것이 없다. 에너지도 풀효율이면 관리가 쉽기 때문.

4.3. 리뉴얼

Renewal
오베론과 아군들에게 보너스 방어력을 부여하는 보호의 오라를 생성하고, 아군의 체력을 지속적으로 회복시킵니다. 할로우드 그라운드의 반경 내에 있는 동안 치유량이 두 배로 상승합니다.

발동키: 3
<colbgcolor=lightgray,#353535> 소비 에너지 25
영향을 주는 모드 어빌리티 지속 시간(출혈 둔화)
어빌리티 위력(초당 체력, 기본 회복량, 방어력)
랭크 0 1 2 3
범위 10m 15m 20m 25m
기본 회복량(파장 회복량) 50 75 100 125
초당 체력 15 20 25 40
출혈 둔화 20% 25% 35% 45%
방어력(아이언 리뉴얼) 50%
초당 에너지 3.5

오베론의 아군 지원 능력의 핵심이 되는 어빌리티. 시전시 본인을 포함한 숙련도 범위 내의 아군들에게 방어력 증가와 초당 치유 효과를 부여하며, 이 효과는 에너지가 고갈되거나 직접 어빌리티를 종료할 때까지 유지되어 한번 효과를 적용받은 아군은 오베론이 리뉴얼의 발동을 유지하는 한 오베론 본인의 숙련도 범위를 벗어나더라도 계속해서 리뉴얼의 효과가 적용된다.

방어력 증가 효과는 기존에 보유한 방어력 수치에 추가로 더해서 오베론 본인은 최종 방어력의 1배, 아군들에게는 최종 방어력의 2배가 적용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모든 팀원에게 자신의 방어력의 2배의 추가 방어력을 제공하는 것과 동일하다. 또한 리뉴얼 효과를 받고 할로우 그라운드 위에 올라가면 체력 회복량이 2배로 증가하며, 패시브와 마찬가지로 네크로스의 4번 어빌리티 같은 아군 소환물이나 방어 대상 등에 대해서도 방어력 증가와 체력 회복 효과가 적용되기 때문에[4] 다양한 활약이 가능하다.

토글 유지 중에는 제누릭 포커스나 에너지 사이펀, 에너지 뱀파이어 등에 의한 에너지 회복이 불가능하다. 에너지 오브를 먹으면 회복 가능하며 레이지 모드를 이용한 체력 에너지 회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체력 회복 스킬인 리뉴얼과 레이지는 시너지가 잘 맞아 떨어진다. 체력 피해를 에너지로 전환하고 그 에너지를 이용해 체력을 회복하는 효율이 아주 좋기 때문에 적당히 맞아 주면서 플레이 하면 에너지 걱정 없이 전투할 수 있다. 주의해야 할 점은 리뉴얼을 통한 체력 회복은 그리 빠르지 않기 때문에, 히에카 마스터나 코퍼스 테크같이 순간적인 화력이 높은 녀석들에게 에너지 수급을 시도했다간 순식간에 녹아내릴 수도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설령 퀵싱킹을 넣은 상태라 해도 중저레벨의 미션에서나 통하지 고레벨 미션에선 퀵싱킹으로 소모하는 에너지가 회복력을 뛰어넘기 때문에 무용지물이 된다. 고레벨미션에서 몸빵으로 에너지 수급을 하려거든 일반 잡병들을 상대로 하자.

개조 피닉스 리뉴얼(Phoenix Renewal) 리뉴얼의 효과를 받는 아군이 사망에 이르는 피해를 입을 시, 체력의 50%를 회복되며, 이 효과는 아군마다 60초에 한 번씩에 한해 발동됩니다. 스틸 메리디안
뉴 로카
영향을 주는 모드 어빌리티 위력(회복량)
* 퀵 싱킹 모드는 피닉스 리뉴얼보다 우선권이 있습니다.[5]
* 피닉스 리뉴얼의 효과로 죽음을 피하면 화면 중앙에 '피닉스 리뉴얼'이라는 문구와 함께 3초간 무적시간이 주어집니다. 이 시간은 모드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 그러스트래그 삼총사에게 피해를 입고 출혈상태에 빠질 경우 발동되지 않습니다.
* 피닉스 리뉴얼의 재적용 시간은 쉴드/체력 옆 버프창에서 붉은색 아이콘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베론의 4번째 개조 모드로, 리뉴얼 효과에 오공의 디파이 마이너 버전의 능력을 부여하여 아군의 출혈 상태를 방지해준다. 위력을 200%까지 끌어올리면 체력을 전부 회복할 수 있다. 피닉스 리뉴얼 발동 직후에는 3초의 무적시간이 있기 때문에 위력이 낮아 최대 체력으로 회복을 하지 못했더라도 3초 동안 안전하게 리뉴얼을 통해 어느 정도 치유가 되며, 퀵 싱킹을 장비하고 리뉴얼을 동시에 사용한 상태에서는 퀵 싱킹으로 감당이 가능한 경우에는 퀵 싱킹이 먼저 발동되고 퀵 싱킹으로도 커버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피닉스 리뉴얼이 바로 발동된다. 높은 레벨대의 전투에서 상당히 유용하게 쓸 수 있는 모드.

4.4. 레코닝

Reckoning
적들을 공중으로 띄운 뒤, 신념을 담아 내려찍음으로써 방어력을 제거합니다. 이 어빌리티에 피격당한 적은 오베론에게 추가 방어력을 부여하며, 처치 시 일정 확률로 체력 오브를 생성합니다.

발동키: 4
<colbgcolor=lightgray,#353535> 소비 에너지 100
영향을 주는 모드 어빌리티 거리(범위)
어빌리티 위력(피해, 방어력 감소, 추가 방어력)
어빌리티 지속 시간(추가 방어력 지속 시간)
랭크 0 1 2 3
범위 8m 10m 12m 15m
피해(파일:warframe_radiation.png파일:warframe_radiation_white.png방사능) 6000 6500 7000 7500
방사능 상태이상 당 피해(파일:warframe_radiation.png파일:warframe_radiation_white.png방사능) 450 550 650 750
방어력 감소 10% 20% 30% 60%
적 당 추가 방어력 4 6 8 10
방사능 상태이상 당 추가 방어력 2 3 4 5
체력 구체 드랍 25% 35% 45% 50%

시전 시 오베론의 시야 범위 내 모든 적을 띄운 뒤 방어력을 감소시키고 즉시 바닥에 내려찍어 피해를 입힌다. 박력이 넘치는 사운드가 특징으로 적에게 부여된 방사능 상태이상 중첩에 따라 그 위력이 더욱 증가한다. 스킬 설명에 의하면 전형적인 리버스 그래비티 계열 기술이지만 말 그대로 들어올렸다가 바로 내려찍기 때문에 라이노처럼 적을 공중에 오래 잡아두지는 못한다. 다만 대상이 된 적은 다운되므로 제한적인 CC기능은 있다. 공중이나 슬라이딩 중에도 발동이 가능하다. 이 스킬로 적을 죽일 경우 체력 오브를 드랍한다는 걸 이용해 레이지나 이퀄리브리엄을 장비하는 세팅도 상당히 많다.

보이드의 얼음 바닥이라던가 아크틱 엑시무스의 감속 오라 등으로 인해 오베론에게 둔화 효과가 적용되고 있을 때 레코닝을 사용하면 적들이 떠오르고 바닥에 내려찍힐 때까지의 시간도 늘어난다. 반대로 네츄럴 탈렌트 모드를 착용하면 더 빨리 떨어진다.

이 어빌리티의 진가는 오베론의 다른 어빌리티들과의 연계로, 체력 오브 드랍 확률을 증가시켜 패시브 스택을 쌓을 수도 있고 어빌리티 위력이 167% 이상이라면 1회 시전으로 방어력 100% 감소가 가능해진다. 광역 방어력 감소는 영향을 받은 몹이 처치될 때까지 영구적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위력이 부족하더라도 반복 시전으로 100% 감소가 가능한 것은 덤. 레코닝으로 획득하는 추가 방어력은 아이언 리뉴얼 버프에도 적용되기 때문에 쓰임새가 다양한 것이 특징이다.

개조 할로우드 레코닝(Hallowed Reckoning) 레코닝의 범위가 +40% 증가합니다. 영향을 받는 개별 적들의 3m 범위 내에 들어오는 아군은 보너스 방어력을 얻으며, 적은 초당 300의 피해를 입습니다. 스틸 메리디안
뉴 로카
영향을 주는 모드 어빌리티 거리(범위), 어빌리티 지속 시간(지속 시간)
어빌리티 위력(피해, 방어력 증가)

레코닝에 아이언 리뉴얼로 추가 증가하는 방어력 외에도 보너스 방어력을 제공해주는 개조 모드. 팀원 지원에도 쓸만하지만 방어력으로 적용받는 피해량 감소는 방어력 수치가 어느 정도 수준 이상에서는 효율이 급감하기 때문에, 장비 시 기본적으로 레코닝의 범위와 피해량이 증가하는 점을 이용해서 범위와 위력 위주의 레코닝 세팅에 채용하기도 한다.

5. 스킨

파일:external/img4.wikia.nocookie.net/OberonAltHelmet.png
DE 제작, 오베론의 기본 헬멧의 외형을 변경한다. 이름의 유래는 아프리카와 중동 일대에 서식하는 영양의 일종인 포유류 오릭스로, 실제 오릭스처럼 높이 솟은 뿔이 특징인 헬멧.

파일:external/img2.wikia.nocookie.net/250px-PaladinAltBHelmet.png
DE 제작, 오베론의 기본 헬멧의 외형을 변경한다. 이름의 유래는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 일대에 서식하는 염소의 일종인 마코르염소로, 마코르염소는 파키스탄을 상징하는 국수이기도 하며 실제로 헬멧에도 자세히 보면 염소수염이 묘사되어 있다.

파일:external/img4.wikia.nocookie.net/WarframeAlternateSkinOberon.png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PaladinDeluxe.png
업데이트 18.7에서 아크&브런트, 패리스와 함께 출시된 디럭스 스킨. 단품으로는 165플래티넘, 오베론 페이아크 컬렉션으로는 245플레티넘에 구매할 수 있다. 마치 단풍이 든 나무같은 외형이 오베론의 이미지에 어울리고 멋있어서 유저들이 고평가하는 스킨중 하나다.

6. 오베론 프라임

오베론 프라임
Oberon Prime
<nopad> 파일:warframe_oberon_prime.png 스테이터스 초기치 30랭크
체력 365 375
실드 270 370
에너지 215 265
방어력 450
질주 속도 1.0
마스터리 랭크 8
오라 극성 파일:워프레임_마두라이.png파일:워프레임_마두라이_화이트.png
극성 파일:워프레임_마두라이.png파일:워프레임_마두라이_화이트.png파일:워프레임_마두라이.png파일:워프레임_마두라이_화이트.png파일:워프레임_나라몬.png파일:워프레임_나라몬_화이트.png파일:워프레임_나라몬.png파일:워프레임_나라몬_화이트.png
이 정당한 숲의 보호자와 함께 균형을 수호하세요.
캐나다 현지 시각으로 2017년 5월 30일에 실바 & 이지스 프라임, 시바리스 프라임과 함께 출시 되었다. 성능은 일반형에 비해 에너지 최대치와 방어력이 상승했고 나라몬 극성 2개가 추가되었다. 외형 디자인에 관해서는 평가가 좋지 않은 편으로, 일반형 오베론과는 전혀 다르게 뿔이 S자로 구부러져 있고 발굽까지 있어서 소를 연상시킨다는 말이 있다. 이 때문에 한국 커뮤니티에서는 우()베론이라는 별명이 생겼다. 일반형보다 넓고 커다란 헬멧과 어깨에 덧씌어져있던 갑옷 형태가 사라져 그만큼 체격이 작아 보이기도 한다.

오베론 프라임은 트레일러 영상처럼 할로우 그라운드 사용 시 해당 어빌리티 영역에 풀이 돋아나는 시각 효과가 적용된다.
탐욕과 부정은 그 어떠한 것도 파괴한다. 우리 자신마저도.
우린 미래의 결과에 눈을 뜨지 못하고, 피해만을 후손들에게 전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 태고의 어머니께서 복수를 원하신다면?

잔혹한 가시가, 산업과 폐기물을 내뿜는 궤양을 관통한다.

새로이, 녹색이 드리우는 밝은 대지는
이를 오염시킨 자들의 피와 뼈로써 비옥해진다.

오베론.

7. 운용

7.1. 올라운더 빌드

어디든 무난하게 사용할 수 있는 세팅. 어빌리티 효율 175%와 적당한 수준의 지속을 통해 아군들에게 리뉴얼의 효과를 반영구적으로 제공함으로서 분대의 생존성을 끌어올리고, 어빌리티 위력 170%를 맞춰 할로우 그라운드의 CC능력, 레코닝의 방어력 감소 능력을 활용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또한 할로우 그라운드 같은 아군을 포함한 상태이상 면역 어빌리티는 게임 내에서 흔하지 않은 편이라 테랄리스트 레이드나 방사능 상태이상 출격 등 아군에게 상태이상을 막아줘야 할 상황에서 오베론이 중요한 역할을 맡기도 한다.

이 세팅은 레코닝의 방어력 감소 능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때문에 방어력 100% 감소가 가능해지는 어빌리티 위력 170%를 기준으로 효율, 범위, 지속 순으로 우선시해서 모딩한다. 효율이 낮으면 적들에게 할로우 그라운드 + 2연 레코닝 콤보에 들어가는 에너지가 부담스러울 수 있다. 리뉴얼같은 토글형 스킬은 효율을 175% 이상 적용받는다. 스트림라인, 플리팅 엑스퍼티즈 풀랭크를 사용할 경우 수치상으로 표기는 안되지만 효율이 190%까지 올라가는데 이는 리뉴얼의 초당 소비 에너지에는 영향을 준다. 범위는 스트레치 하나만으로도 운용하는데 큰 지장이 없으며 지속 시간은 나머지 모드칸이 여유 되는대로 챙기는게 좋다. 오베론은 리뉴얼의 회복 효과 덕분에 레이지와의 조합으로 리뉴얼을 유지하면서 스킬을 난사하는게 그리 어렵지 않다. 전투중에는 할로우 그라운드를 자주 사용해서 적들에게 방사능 상태이상을 유발하고 아군과 자신의 상태이상을 방지하는게 생존성 증가에 큰 도움이 된다.

피닉스 리뉴얼을 사용할 경우 출격미션, 쿠바 홍수 등의 고레벨대 전투에서 갑작스러운 피해로 뭐에 맞은지 모르게 쓰러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를 어느 정도 보정해주며 오베론 레이지로 에너지 수급을 실패했을 때도 유용하다. 화면 중앙에 '피닉스 리뉴얼'이라는 글자를 보면 유저들은 위험을 느끼고 어떤 적이 자신에게 치명상을 입혔는지 확인하려하고 그 자리를 벗어나려 한다. 레이지를 장착한 오베론의 경우 피닉스 리뉴얼이 발동되면 에너지가 급격히 차오르기 때문에 그 에너지를 이용해 바로 레코닝을 사용해 주변 적들에게 CC기를 넣는 것이 좋다. 키메라 패치에 추가된 부활이 없는 중재에서는 부활을 하는 몇 없는 방법이라 입지가 올랐다. 특히나 위력 보너스 받는 경우 힐과 방어력 보너스가 엄청나게 높아서 파티원이 죽지도 않고 죽어도 부활하는 괴물같은 모습을 보여준다.

8. 평가

아군을 보호하고 치유하는 동시에 적들에게 흉악한 피해를 가할 수 있는 올라운더형 워프레임. 하지만 어빌리티의 낡은 구조 등으로 인해 한동안 찬밥 신세를 면치 못하다가, 협곡의 심부 업데이트와 함께 리워크가 진행되었다. 본래 모든 어빌리티가 다른 워프레임의 하위호환 취급을 받던 독보적 폐급 라인이었으나 리워크를 통해 수치가 개선되고 메타에 맞게 다듬어지자 기존의 다재다능한 어빌리티 세트가 시너지를 발휘하여 어떤 상황에서도 대처할 수 있는 만능형 캐릭터로 자리잡았다.

굳세고 우직하게 생긴 외모에 걸맞게 방어적인 운용에 특화되었지만, 강력한 캐스터나 서포터 역할도 수행 가능하다. 광역 방깎, 상태 이상 면역, 단일 대상 폭딜, 섬멸력, 치유, 무적 등 갖출 것은 다 갖추었고 그 개별적인 성능 또한 중간 이상은 하는 덕분에 어떤 미션에서도 1인분을 못한다는 느낌은 주지 않는다. 특히 스마이트의 성능이 매우 강해졌는데, 위력을 챙기고 헬민스와 상태이상 뿌리개 등으로 대미지를 증폭시킨 뒤 대충 딸깍하면 범위 내의 적들이 죄다 터져나가는 덕분에 어빌리티 딜러 세팅이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굳이 딜세팅을 하지 않더라도 스마이트는 할로우드 그라운드와 함께 방사능 상태이상을 엄청나게 쌓아대기 때문에 대충 에너지 남는 대로 1번을 난사하다가 레코닝을 갈기면 추가 방어력도 든든하게 챙길 수 있다. 대미지와 소비 효율에 몰빵해서 스마이트와 레코닝을 난사하는 형태로 육성해도 좋고 리뉴얼의 회복과 레코닝의 CC 효과 등을 활용하는 만능형으로 가도 나쁘지 않다.

9. 기타

10. 둘러보기

<color#fff> 파일:워프레임 로고 화이트_1.png의 17번째 워프레임
발키르 오베론 제피르

[1] 본래 베일 프록시마였으나 2022년 8월 18일 31.7.2 핫픽스 패치로 변경되었다.[2] 기본 지속시간 분량 4000 + 추가 지속시간 100% 분량 4000.[3] 대표적으로 토성, 세드나 방어[4] 나이더스 4번 어빌리티로 생성된 마고트의 자폭은 방해하지 않는다.[5] 퀵 싱킹: 죽음에 이르는 피해를 받으면 240% 효율로 에너지를 소모.[6] 부식 상태이상은 현재 방어력 25% 감소시키기 때문에 점점 상태이상 효과로 적의 방어력 감소량이 줄어들지만, 레코닝은 기본 방어력을 기준으로 방어력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1000의 방어력을 가진 대상이 할로우 그라운드에 영향 받고 있을 때, 위력 100%의 레코닝을 사용할 때마다 300의 아머를 제거한다.[7] 적 방어력 30% 감소 - 오라, 합연산[8] 5랭크 코로시브 프로젝션을 장착하고 1000의 방어력을 가진 대상이 할로우 그라운드에 영향 받고 있을 때, 위력 100%의 레코닝을 사용할 때마다 5랭크 코로시브 프로젝션 오라 효과로 적의 방어력이 30% 감소되어 700의 방어력이 된 적의 아머를 300씩 제거한다.[9] 옥슘 오스프리, 포리드, 사가스 럭 등[방사능] 10초동안 적의 명중률을 감소시키며 또한 혼란을 불러일으켜 피아 식별을 불가능하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