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20 10:16:28

이동훈(교수)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205b, #013d8a, #013d8a, #00205b);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홍순철
제2대
김호근
제3대
이동희
제4대
윤대병
제5대
최동규
제6대
이진설
제7대
이희범
제8대
윤진식
제9대
노준형
제10대
남궁근
제11대
김종호
제12대
이동훈
제13대
김동환
}}}}}}}}} ||

제12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총장
이동훈
李東勳 | Lee Dong Hoon
파일:과기대 이동훈 총장.jpg
<colcolor=#ffffff><colbgcolor=#00387f> 출생 1962년
학력 경기공업개방대학 (기계공학 / 학사)
숭실대학교 (기계공학 / 박사)[1]
현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계자동차공학과 교수
약력 제12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총장
서울테크노파크 이사장[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장[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LINC사업단장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연구산학부총장
전국산학협력단장·연구처장협의회 부회장
한국도시철도학회 회장

1. 개요2. 생애3. 총장 재임기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공학자이자 대학 교수이다. 서울특별시 노원구에 소재한 국립대학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제12대 총장에 재임했으며, 퇴임 이후에는 총장 취임 이전과 같이 기계자동차공학과 교수직을 역임하고 있다.

2. 생애

1987년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전신인 경기공업개방대학을 졸업하고 1993년 숭실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박사 학위 취득 이후 2년 간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기술교육센터에서 근무하였고, 1995년 모교인 서울과학기술대학교(당시 서울산업대학교)의 교수로 임용되었다. 1997년부터 98년까지는 일본 사가대학의 연구교수로 활동하기도 했다.

이후로는 계속 서울과학기술대학교에서만 근무하며 산학협력단장, LINC사업단장, 연구산학부총장 등의 보직을 두루 역임하였고, 2019년 모교인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총장으로 취임했다. 이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첫 동문 출신의 총장 취임이기도 하다.

3. 총장 재임기

이동훈 총장의 재임 기간 중 서울과학기술대학교는 정부주도의 각종 대학평가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음과 동시에 재정지원 사업에도 다수 선정되었고, 인공지능학과, 반도체학과와 같은 첨단학과를 유치하는데 성공했으며, 학생들에게 더 나은 교육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캠퍼스에 잔존한 노후건물들에 대한 리모델링 및 철거 후 신축을 진행하는 등 학교의 질적·양적 성장을 이끌고 있다.

또한, 여타 국립대학에 비해 부족하다고 평가받던 전임교원 확보율을 크게 높이고, 교수들의 연구 지원을 확대하는 등 교육 여건과 퀄리티 향상에 노력한 결과, 중앙일보 대학평가에서 1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이와 같이 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약점으로 지적되던 대외 인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도 아끼지 않고 있다.

이외에도 권위주의적일 것이라는 총장에 대한 통념에서 벗어나 학생들과의 수평적인 소통을 위하여 대담회를 개최하거나 교내 행사에 직접 학교 마스코트 탈 인형을 쓰고 나타나는 등 학생 친화적인 행보를 보이고, 실제 학생들도 총장에 대한 지지도가 매우 높은 편이다.

다만, 설립된 지 몇 년 되지 않은 인재원(고시반)의 성과가 미진하다는 이유로 폐지하는 등 긴 호흡을 가지고 추진해야 하는 사업에 투자를 아끼고 단기적 성과에만 집중했다는 비판 또한 있다.

4. 관련 문서


[1] 한국대학신문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홈페이지에 모두 석사 학위 없이 박사 학위가 바로 기재되어 있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홈페이지에 기재된 박사과정 재학 기간(1989.03 ~ 1993.08)을 통해 보았을 때 석박사 통합과정으로 추정된다.[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총장이 당연직으로 겸임한다. 해당 기관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와 서울특별시가 합작하여 만든 연구시설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캠퍼스 내에 소재한다.[3] 2회에 걸쳐 역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