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8 20:02:25

이승모(수능강사)


파일:대성학원.jpg
대성학원 재수종합반의 강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D1D1D,#e2e2e2
국어 수학 영어 사회탐구 과학탐구 한국사
고광수 강호길 고연승 생활과 윤리 물리학 조인
김젬마 권녹영 구자연 이가흠 고재근
김한솔 권유민 김지후 정수환 김덕근
류성훈 권현석 류지수 조정호 김훈
류재민 김경한 심우철 윤리와 사상 박남진
백환 김도혁 아이린 임현철 방인혁
송시복 김범준 조승헌 정수환 화학
유대종 김성순 지윤경 한국지리 우승석
유병하 김용진 최은정 권재혁 이수진
윤권철 류성준 현지연 전성오 이준권
윤민 박시현 세계지리 최홍석
윤성영 박원기 박동수 생명과학
은미예 백종석 위성희 김태영
이승모 손승연 동아시아사 박의선
이승우 송준석 고진범 손윤희
이영일 신민우 김효진 임환
이정수 신현식 세계사 정석준
이정일 유명환 박건호 정수민
이창훈 은종찬 전병훈 정윤제
이태인 이상훈 경제 홍준용
정미영 이성원 이예섭 지구과학
정석민 이승열 정치와 법 김진영
정우성 이정환 박상영 김태형
차해나 이종완 최여름 박태훈
한승 이현수 사회·문화 안민형
홍지운 장만수 이형수 양길봉
정병호 정지만 엄기은
정병훈 홍재영 이남철
정석원 이정준
정세영 이훈섭
조보관
조재훈
주예지
최병규
하성철
홍동선
황지용
황지현
}}}}}}}}}}}} ||

파일:logo_dugak_202105.png
두각의 수능 단과 강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D1D1D,#e2e2e2
국어+강대K 수학+강대K 영어+강대K 사회탐구 과학탐구+강대K 한국사
김승리 강호길 김대순 생활과 윤리+강대K 물리학 안현준
유대종 권현석 션티 박정식 방인혁
이승모 김범준 이영수 임정환 화학
이정수 손승연 사회·문화+강대K 장성문
정석민 신민우 박정식 생명과학
이감 모의고사[*] 이정환 임정환 김태영
정병호 정치와 법 정석준
정병훈 최여름 정수민
정상모 지구과학
김진영
양길봉
이훈식

[*] 이감 모의고사 시행반
}}}}}}}}}}}} ||


1년 / 함께 / 가능한 것들
이승모
파일:국어강사 이승모.jpg
<colbgcolor=#ffee00><colcolor=#00128f> 출생 <colbgcolor=#ffffff,#191919>1988년 ([age(1988-08-21)]세)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MBTI ENTJ
신체 176cm / 체중 82kg
학력 동국대학교 (국어교육과)[1]
소속 강남대성학원
두각 학원
주식회사 SAY
이승모 국어 연구소
출강 학원 대치 두각
대전 비전21
Orbi by 매시브 대치
매시브 중계
두각 S2
강남대성기숙 의대관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2]
2025년 수업 시간표
<colbgcolor=#ffffff,#6b4226> <colbgcolor=#ffffff,#6b4226> 오전
09:00~12:00
<colbgcolor=#ffffff,#6b4226> 오후
14:00~17:00
<colbgcolor=#ffffff,#6b4226> 저녁
18:30~21:30
대치 두각 (언매 특강)
(1/6 개강, 6주 과정)
대치 두각
(12/31 개강)
중계 매시브[3]
(12/27 개강)
대치 두각
(12/28 개강)
대치 두각
(12/28 개강)
대치 매시브 (오르비)
(12/28 개강)
대전 비전 21
(12/29 개강)
대전 비전 21
(12/29 개강)
대전 비전21[4]
(12/29 개강)
1. 개요2. 수업 진행
2.1. 커리큘럼2.2. 어록
3. 여담

[clearfix]

1. 개요

2026 이승모 국어 오리엔테이션

캡션
“매일매일 관성이 아닌 정성으로,
저는 국어를 가르치는 이승모입니다.”
대한민국의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영역을 가르치는 학원 강사다. Orbi by 매시브 대치, 두각, 강남대성 등 에서 현장 강의를 진행 중이다.

2. 수업 진행

시즌 1에 문학과 독서 각각 첨문학과 독짓기가 진행된다.
시즌 2에는 문학과 독서 각각 고민하는 포인트와 밑빠독이 진행된다

시즌 3에는 주간지였던 결승선[5] 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보이는 결승전으로 바뀌며 기존의 결승선 구성이 크게 바뀐다.

시즌 1,2는 위 교재로 한 지문씩 문제풀이 시간을 주고 해설하는 강의와 개념, 문제풀이 방법 등을 설명하고, 시즌 3는 결승전에 수록된 문학 하프모의고사를 응시 후 해설하며 EBS 연계작품들도 같이 수업하신다.

선택 과목 교재로는 화법과 작문 합리화 논리작, 언어와 매체 개이득이 있으며, 수업은 영상으로 지급된다.

매주 노력의 온도가 나가며 웬만하면 본인이 약한 포인트나 갈래를 메꾸는 용도로 쓰라고 말씀하신다.

2.1. 커리큘럼

2026 이승모 국어 커리큘럼
파일:이승모 2026 커리큘럼 1.jpg

2.2. 어록

"아아 [6], 어 얘들아 안녕 잘 지냈니? 잘 지냈어?" (강의실에 들어오고 수업 시작할 때)
"이걸 찍고 나를 보고 있으면 너는 좀 특별한거야 알겠지?" [7]
"반복에 지치지 않는 자가 반드시 성취한다"
"이 모든 것의 의미는 끝나봐야 안다"
"작은파도 때문에 스스로가 바다임을 잊지마라"
“너네가 나랑 얘기라는 걸 할려면~”(문제풀이 후 풀이 시작 시 단골 멘트)
“지금부터 절대 고르면 안되는 3개 말해줄게” [8]
“지금부터 밑에 보면 돌이야 돌”[9]
“지금부터 독해력이 뭔지 보여줄게“
"내가 지금 이 시기에 기출/사설/Leet 풀리고 맞냐 틀리냐 궁금한건 아니고"
"지금부터 열심히 떠들어볼게요~!" (자세한 해설을 시작하며)
“무너지지 말자”
"이 문제 정답률 적어봐. 화작 xx%, 언매 xx%" [10]
"너희 중에 독해력이 좋거나, 배경지식이 있거나, 취향에 맞는 사람들은 이렇게 안 풀어"
"이 문제 감으로 푼사람 손 한번 들어봐. 근데 이거 사실 감으로 풀순 있는 문제야" [11]
"뭉개면 뭉개진다" [12]
“거기 왼쪽 상단에다가 이렇게 적어봐. 최근 수능 스트(st)”
"혹시 니들이 복습이란 걸 한다면~" ('혹시' 다음에 힘빠진 웃음을 한 번 한다)
"자! 맞으면 끄덕! 아니면 도리~"(마이크로 학생들을 가리키며)(주로 학생들이 헷갈릴 만한 선지를 물어본다)

3. 여담



[1] 2008 수능 당시, 언어, 수리, 외국어 영역은 상당히 잘 봤으나 탐구 영역을 못봤다고 한다.[2] 선생님 본인보단 홍보팀장님이 주로 답장을 해주신다. 선생님 연애사 썰을 저기서 풀면 안된다.[3] 19:00 ~ 22:00[4] 19:00 ~ 22:00[5] 교재에도 쓰여 있지만 '결국 승모의 최선'의 줄임말이다. (2026교재부터는 ‘결국 우리는 상승곡선‘으로 변경되었다.) 결승전 또한 '결국 승모의 전부'.[6] 마이크 테스트로 추정된다.[7] 선택비율이 낮은 오답 선지를 설명하며 말한다.[8] 보통 정답과 매력적인 오답 선지를 설명할 때 말한다.[9] 칠판 앞을 보고 수업에 집중하라는 뜻으로 사용한다. 비슷하게 지금부터 밑을 보면 너네 다음생에 이승모 얼굴로 태어난다.라는 말도 한적이 있다고 한다.[10] 고난이도 문제를 해설할 때 말한다.[11] 문학 수업중 감으로 풀 수 있는 선지를 말할 때 쓴다.[12] 수능이 다가올수록 빈도가 높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