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1-12-20 23:28:06

장말손 유품

1. 개요2. 내용3. 외부 링크4. 보물 제881호

1. 개요

張末孫 遺品. 조선 전기의 명신인 장말손(張末孫, 1431~1486)이 남긴 두 종의 유품. 현재 경상북도 영주시 장씨종택의 후손 장덕필(張悳弼)이 보관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보물 제881호로 지정되어 있다.

2. 내용

조선 세조 시기에 활약한 장말손이 남긴 유물로, 1400년대 중엽에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진 패도 한 자루와 적개공신회맹록(敵愾功臣會盟錄) 족자 1점으로 이루어져 있다.

회맹록은 세조가 이시애의 난을 수습한 신하들을 직접 만나 그 공을 치하하며 그들의 성명과 직위를 모두 기록하게 한 족자(簇子)로, 비단 4폭을 이어 5단으로 구분하였다. 첫단에는 왕의 친필 교서를, 아래 4단에는 1등 10명, 2등 23명, 3등 12명의 공신들과 그 밖의 공을 세운 사람들의 명단과 약력이 모두 기록되었다.

특히 이 이전대까지 국왕들은 2등 공신까지만 높게 쳐주고 3등 이하의 공로자는 포상을 생략하고 그들에 대해 따로 기록하지도 않았으나, 이 때는 3등 이하의 하급 공로자까지 국왕이 일일이 찾아가 치하하였기 때문에, 당시 낮은 계층으로서 활약했던 하급 무관에 대해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패도는 장말손이 1466년에 함경도 회령(會寧)의 전장에서 크게 활약하여 야인들을 물리치자 이에 세조가 그를 직접 찾아와 하사한 도검으로, 칼자루는 은과 금으로 용의 머리가 조각되어 있고, 칼집은 죽피(竹皮)로 만들었으며 양측면에는 상아뼈를, 중앙의 네 군데에는 은으로 모발문(毛髮紋)과 비늘 등을 묘사하여 박아놓았다.

원래는 패도와 함께 옥적(옥피리) 1정(丁)과 은배(은잔) 1쌍을 함께 하사받았고 이 세 가지 신기가 얼마 전까지 모두 전해지고 있었으나, 패도를 뺀 나머지 두 점은 6.25 전쟁 당시 누군가에 의해 도난당해서 지금은 행방을 알 수 없다.

1460년 경 한국에서 국왕의 명으로 만들어진 족자와 도검으로 그 문화재적 가치가 매우 높다.

3. 외부 링크

4. 보물 제881호

조선 세조 때의 명신인 장말손(1431∼1486)의 것으로 패도(佩刀)와 적개공신회맹록이다.

패도는 세조 12년(1466)에 함경도 회령에서 오랑캐를 물리친 공으로 왕으로부터 옥적(옥피리) 1정(丁)과 은배(은잔) 1쌍과 함께 하사받은 것이다. 적개공신회맹록은 세조 13년(1447)에 이시애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적개공신에 임명되어 예종 원년(1469) 3월에 내린 회맹록이다.

특히 이시애의 난을 평정하는데 참가한 인물들을 파악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