잭 토마스 안드라카 Jack Thomas Andraka | |
생년월일 | 1997년 1월 8일 |
출신 | 미국 메릴랜드 주 |
출신학교 | 스탠퍼드 대학교 |
신체정보 | 180cm |
수상 | 고든 무어 상(2012), 제퍼슨 상(2014),지멘스 위 캔 체인지 더 월드 챌린지 일등 상(2014) |
1. 개요
15살 나이에 췌장암의 조기 발견을 위한 연구를 했던 인물.2. 일생
메릴렌드 교외에서 태어난 안드라카는 어릴때부터 과학에 재능이 있었고 큰 관심을 보였다. 항상 궁금한 것이 있으면 질문을 계속 했다. 그중 제일 좋아했던 인물은 이웃집 아저씨인 테드 삼촌. 이런 성격이 훗날 잭 안드라카를 만든것 같다. 게다가 어릴적 라이벌이였던 잭의 형도 지능이 만만치 않았다. 어릴적 부모님께서 두 형제간에 두뇌싸움을 많이시키셨는데 항상 형이 압승했다고 한다.과학 경진 대회도 휩쓸었는데 설명하는 것을 매우 좋아하는
이런 학생이 췌장암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한건 그의 정신적 지주인 테드 삼촌이 췌장암으로 돌아가신 뒤다.
왜 60년이나 된 췌장암 진단법을 아직까지 쓰고 있는지 의문이 생긴 안드라카는 그 뒤로 끊임없이 오직 췌장암연구에만 몰두 해 결국 그의 호기심과 의문은 혈중 메소텔린 농도를 측정하는 췌장암 초기 진단법 '옴 미터' 를 개발하게 된다. 그때 잭의 나이 15세이다. 그에 얽힌 이야기는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었다.
현재 연구소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연구중이라고 SNS에 올라왔다.
3. 논란
안드라카가 개발한 내용은 동료 평가를 거치지 않은 저널에 게재되었으며, 이로 인해 많은 전문가들이 실현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포보스 30" 리스트에서 배제되었다 #. 또한, 제안한 카본 나노튜브 기반 센서와 거의 유사한 방법이 3~4년 전 다른 연구 그룹에 의해 이미 제안되었다. #1 #2.안드라카는 2012년 본인의 발명물을 해외특허출원(PCT) 하려고 시도하였으나, 특허 가능성 판단을 위한 예비조사는 발명 단계 부족 및 두 건의 선행 특허의 발견으로 종결되었고, 후속 특허가 PCT 산하 특허청 및 유럽 특허청에 제출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