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 |||
絶 | 纓 | 之 | 宴 |
끊을 절 | 갓끈 영 | 어조사 지 | 잔치 연 |
1. 개요
초장왕의 고사. 절영지회, 절영의 연회라고도 한다.춘추시대 때 초나라의 장왕이 전쟁에서 이긴 기념으로 문무백관을 모아 성대한 연회를 했다. 한창 즐기고 있는데 바람이 불어서 등불이 다 꺼졌다. 그래도 다들 꽤 취해서 그러려니하고 놀고 있는데 왕의 애첩이 비명을 지르더니 장왕에게 가서 '누군가가 어둠을 틈타 저의 가슴을 만지고 희롱했습니다. 제가 그 남자의 갓끈을 뜯어 표시를 해두었으니 등불을 켜고 갓끈이 없는 자를 잡아주세요' 라고 호소했다. 그러자 장왕이 다들 격식차리지 말고 편하게 즐기자며 모두 갓끈을 풀게 한 뒤에 등불을 켜서 결국 범인은 찾아내지 못한 채 연회가 끝났다. 왕의 후궁을 추행 했으니 범인이 밝혀졌으면 목이 달아날 정도의 큰 일이었고, 왕의 위엄에 흠을 주는 큰 사건이었지만 장왕은 술자리에 후궁을 부른 자신의 경솔함 때문이라고 범인을 용서한다. 몇년뒤에 진나라와 초나라가 전쟁을 했는데 초나라가 져서 장왕도 목숨이 위태로운 상황에 처했을 때 한 장수가 목숨을 걸고 피투성이가 된 채로 장왕을 구했다. 그때 장왕이 묻기를 '내가 그대에게 특별히 잘해준 일이 없는데 어찌하여 죽음을 재촉하며 싸웠는가?'하자 그 장수가 3년 전 폐하의 애첩을 희롱했던 남자는 자기였으며 그때 장왕의 은덕이 아니었다면 이미 죽은 목숨이었기에 이후로는 목숨을 바쳐 은혜에 보답하려 했다는 말을 남기고 숨을 거두었다.[1] |
2. 그 외
동주열국지에서는 초장왕의 애첩을 희롱한 장수의 이름이 당교(唐狡)라고 나오는데, 장수 자체는 실존하는 인물이지만 이 일화의 실제 장수는 누구인지 알려지지 않았다.삼국지연의에선 동탁이 초선 때문에 여포와 사이가 틀어지자 이를 걱정한 이유가 위 고사를 예로 들며 초선을 여포에게 내주라고 건의하는 장면이 있다.
최근 들어 여성의 인권에 관한 논의가 많아지면서 여성을 성추행한 부하를 용서한 이야기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이 의견에 대해 기원전 6~7세기 경의 일화이므로 현대에 잣대로 비판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는 반박이 대부분이다. 애초에 이 얘기는 2500년도 더 전의 이야기이고, 당대의 일화나 가치관을 현대에 논박하면 사실 끝도 없다. 여성 인권이 문제가 아니라 이 시기의 사서를 읽으면 현대적 시각에서 볼 때 암살과 학살, 반목과 배신, 계책과 암투, 잔인한 형벌과 연좌제 등 수많은 문제가 있기 때문. 이렇게 따지면 당장 팽성 전투 패배 후 자식을 마차에서 던지려들고 광무 대치에서 붙잡은 부모를 삶아버린다고 협박하는 항우에게 아버지 유태공을 삶은 국을 나눠 달라고 뻗댄 한 고제 유방은 천하의 가정파탄범이자 아동학대범에 불효자이며, 삼국지연의의 유비가 조조군에 쫓기다 조운이 구해 온 아두(유선)를 땅바닥에 던져버린 것 역시 명백한 아동학대에 폭행이다.
하나의 고사에 시대에 따라 의견이 달라지는 경우는 자주 있다. 특히 이 시기의 윤리관이 현재와 다르다 보니 생기는 일로, 공자에게는 인하다고 평가받은 송 양공도 현대에는 사람을 삶아 죽인게 뭐가 인하냐고 생각하는 사람이 대다수인 것을 생각해 보면... 개인이 해당 얘기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갖는지는 자유지만, 타인 의견을 무분별하게 비난하는 건 지양해야 할 것이다.
이 고사의 원래 의미는 아랫사람을 대할 때 처벌보다는 용서가 더 좋을 수 있다[2][3], 군주가 부하와 취할 정도로 술을 마시면 안된다 등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1] 판본에 따라서는 그 장수가 생존하는 경우가 있으며 초장왕이 나중에 벼슬을 내리겠다고 하자 거절하고 초야에 묻혀서 살았다는 이야기도 있다.[2] 특히 초장왕은 후궁을 데려온 본인의 잘못이 더 크다며 이를 불문에 붙였는데, 공은 자신에게 돌리고 허물은 부하에게 돌린 이들의 끝을 생각하면 허물을 자신에게 돌린 초장왕의 처신이 더 현명했음을 알 수 있다.[3] 원앙(전한)이나 이여송 역시 비슷한 일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