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2025년 시행되는 프로여자국수전에 대한 문서. 올해로 여자국수전은 30번째 대회를 맞이한다.2. 전기대회
제29기 하림배 프로여자국수전3. 예선
예선 대진표4. 본선
- 전기 시드: 김채영(전기 우승), 스미레(전기 준우승), 최정, 조승아(이상 전기 4강)
- 후원사 시드: 김은지
- 예선 통과자: 오유진, 조혜연, 오정아, 유주현, 박소율, 김경은, 정유진, 김다영, 이민진, 김주아, 전유진
제30기 하림배 프로여자국수전 본선 대진표 | ||||||
16강 | <colbgcolor=#dcdcdc,#383b40> | 8강 | <colbgcolor=#dcdcdc,#383b40> | 4강 | <colbgcolor=#dcdcdc,#383b40> | 결승 |
오유진 | ➡ | 오유진 | ➡ | 오유진 | ➡ | - (-) |
- | ||||||
- | ➡ | - | ||||
김채영 | ||||||
- | ➡ | 김은지 | ➡ | 김은지 | ||
김은지 | ||||||
- | ➡ | - | ||||
조승아 | ||||||
박소율 | ➡ | - | ➡ | - | ➡ | 최 정 (-) |
- | ||||||
스미레 | ➡ | 스미레 | ||||
- | ||||||
최 정 | ➡ | 최 정 | ➡ | 최 정 | ||
- | ||||||
김경은 | ➡ | - | ||||
- |
4.1. 16강
일차 | 일정 (13시 개시) | 흑번 | 백번 | 결과 |
1국 | 2025년 7월 28일 | 김은지 | 유주현 | 149수 흑 불계승 |
2국 | 2025년 7월 29일 | 김주아 | 오유진 | 154수 백 불계승 |
3국 | 박소율 | 정유진 | 201수 흑 불계승 | |
4국 | 2025년 8월 1일 | 최 정 | 전유진 | 169수 흑 불계승 |
5국 | 2025년 8월 5일 | 조혜연 | 스미레 | 194수 백 불계승 |
6국 | 김채영 | 이민진 | 279수 흑 불계승 | |
7국 | 조승아 | 김다영 | 251수 흑 불계승 | |
8국 | 김경은 | 오정아 | 203수 흑 불계승 |
- 28일 열린 대국에서 김은지가 유주현을 제압하고 8강에 올랐고, 29일 대국에서는 여자바둑리그 부안팀 동료인 오유진과 박소율이 각각 김주아와 정유진을 꺾고 8강에 진출했다.
- 이번 대회 첫 방송 대국이 진행된 8월 1일 대국에서는 최정이 전유진을 상대로 대마를 잡는 압승으로 8강에 진출했다.
- 8월 5일 방송 대국으로 열린 스미레와 조혜연의 대국에서는 전기 준우승자 스미레가 대마를 잡고 역전승을 거뒀으며, 전기 우승자 김채영도 이민진에게 승리하며 8강에 진출했다. 조승아와 김경은도 각각 김다영과 오정아를 꺾고 8강에 합류했다.
4.2. 8강
일차 | 일정 (13시 개시) | 흑번 | 백번 | 결과 |
1국 | 2025년 9월 15일 | 스미레 | 박소율 | 221수 흑 불계승 |
2국 | 2025년 9월 16일 | 최 정 | 김경은 | 165수 흑 불계승 |
3국 | 2025년 9월 23일 | 김채영 | 오유진 | 170수 백 불계승 |
4국 | 2025년 9월 24일 | 조승아 | 김은지 | 176수 백 불계승 |
- 8강 1경기에서는 스미레가 박소율과 시종 엎치락뒤치락난타전을 벌인 끝에 중앙에서 상대의 돌을 괴롭히며 큰 이득을 본 뒤 패를 통해 바둑을 정리해나가며 승리했다.
- 8강 2경기에서는 최정이 김경은을 사대로 팽팽했던 초반을 지나 좌상 공방에서 단숨에 승기를 잡으며 주도권을 잡은 뒤 격차를 벌려나가 승리했다.
- 오유진과 김채영의 여자국수전 역대 우승자 간의 대결이 벌어진 8강 3경기에서는 오유진이 초반 상변 전투에서부터 큰 득점을 올린 뒤 판을 안정적으로 이끌어나간 끝에 마지막엔 대마를 잡고 완승을 거두며 전기 우승자 김채영을 탈락시키고 4강에 진출했다.
- 마지막 8강 4경기인 김은지와 조승아의 대결에서는 계속해서 팽팽한 승부로 가다가 조승아가 우세를 잡아가는 분위기였으나 중앙에서 조승아의 갑작스런 무리수를 틈타 김은지가 좋은 판단력을 보이며 우세를 잡은 후 하변에서 정확한 수읽기로 수를 내며 승리를 가져갔다.[1]
- 8강전 결과 (2025년 9월 기준 랭킹 순) 여자랭킹 1~4위인 김은지, 최정, 오유진, 스미레가 모두 4강에 올랐으며, 이 네 선수는 4강 진출자에게 주어지는 차기(31기) 여자국수전 본선시드를 확보하게 됐다.
4.3. 4강
일차 | 일정 (13시 개시) | 흑번 | 백번 | 결과 |
1국 | 2025년 10월 13일 | 최 정 | 스미레 | 351수 흑 1집반승 |
2국 | 2025년 10월 17일 | - | - | -수 -승 |
- 4강 1경기에서는 최정이 전기 준우승자 스미레와 엎치락뒤치락하는 치열한 대국 끝에 승리하며 결승에 진출했다. 최정의 중앙 대마가 공격당하는 장면이 있었으나 스미레가 공격 과정에서 실수가 나오며 최정이 위기를 넘겼고, 이후 쌍방 실수가 오가며 치열한 승부가 계속되다가 결국 최정이 끝내기에서 미세하게 우세를 잡아내며 계가 결과 백 1집, 흑 9집으로 덤 6집반을 제해도 흑을 잡은 최정이 1집반을 남기며 결승에 진출했고 타이틀 재탈환을 노리게 됐다.
4.4. 결승
제30기 하림배 프로여자국수전 결승 3번기 | ||||||||
최정 | 0 | 0 | 미정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일차 | 일정 | 흑번 | 백번 | 결과 | |||
1국 | 2025년 -월 -일 | - | - | -수 -승 | ||||
2국 | 2025년 -월 -일 | - | - | -수 -승 | ||||
3국 | 2025년 -월 -일 | - | - | -수 -승 | ||||
우승 | -(-) | }}} |
[1] 참고로 이날 결과로 조승아는 김은지 상대 16연패(...)에 빠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