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9독립강습여단 59-та окрема штурмова бригада 59-я отдельная штурмовая бригада 59th Separate Assault Brigade | ||||||
| ||||||
<colbgcolor=#484a01> 창설일 | 2014년 12월 8일 | |||||
소속 | 우크라이나 무인장비군 | |||||
종류 | 기계화보병, 무인장비 | |||||
모토 | До перемоги 승리를 향해 | |||||
수호성인 | 야키우 한주크 | |||||
부대번호 | A1619 | |||||
여단장 | 올렉산드르 사크 대령 | |||||
참전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 |||||
위치 | 우크라이나 빈니차주 하이신 | |||||
웹사이트 | |
1. 개요
우크라이나 무인장비군의 보병 및 무인장비를 운용하는 부대이다.2. 역사
돈바스 전쟁 발발 이후 의용병을 모아 2014년 12월 육군 예하 제59차량화보병여단으로 창설됐다.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당시 여단은 크림반도 인근 국경에 배치되어 있었다. 개전 직후 러시아군은 규모 우위, 신속한 공수군과 기습 요소를 이용해 교전을 회피하고 여단 병력을 소규모로 고립시켜 각개격파하려 시도했다. 당시 여단의 병력이 주둔지를 떠나 황급히 대피한 지 불과 5분여 뒤 러시아 공수군의 병력이 현장에 도착했을 정도로 상황이 급박했으며, 당시 여단장의 빠른 판단으로 전차대대 등으로 돌파구를 확보해 고립될 위기에서 벗어났다. 국경에서 후퇴한 이후로는 미콜라이우주와 헤르손주에서 전투에 참여했다.
2022년 11월 헤르손의 해방 이후에는 피스키 주변에 배치됐고, 바흐무트에 로베르트 브로우디가 이끄는 드론 부대가 배치됐다. 이후 2023년 여름부터 피스키와 페르보마이스케, 아우디이우카, 크라스노호리우카 등에 투입되며 인력 부족, 여단장 교체 후 지휘부의 혼선 등이 겹치며 러시아군에게 패퇴했다.
2025년 여단장 교체 등 부대개편을 거쳐 제59돌격여단으로 개편, 무인장비군 소속으로 이전하며 보병대대와 드론 부대를 운용하는 혼성 부대가 됐다.
3. 편제
- 여단본부
- 제2소총대대
- 제3소총대대
- 제1무인항공대대
- 제2무인항공대대
- 제10돌격대대
- 제11돌격대대
- 제108돌격대대(제67기계화여단으로부터 충원)
- 쉬크발 대대(형벌부대)
- 전차대대
- 여단 포병단
- 방공대대
- 공병대대
- 정비대대
- 군수지원대대
- 정찰중대
- 지원대대
- 신호중대
- 레이더중대
- 의무중대
- CBRN 방호중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