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도만두나무 | |
학명 | Glochidion chodoense J.S.LEE & H.T.IM, |
분류 | |
<colbgcolor=#d7ffce,#0f4a02> 역 | 진핵생물역(Eukaryota) |
계 | 식물계(Plantae) |
문 | 현화식물문(Anthophyta) |
강 | 목련강(Magnoliopsida) |
목 | 대극목(Euphorbiales) |
과 | 대극과(Euphorbiaceae) |
속 | 만두나무속(Glochidion) |
종 | 조도만두나무(G. chodoense) |
1. 개요
조도만두나무는 전라남도 조도(鳥島)와 관사도(觀沙島)인근에서 자라는 한반도의 고유종이다. 1994년에 전남대학교 산림과학 교수인 이정석 교수와 임형탁 교수가 발견하여 학계에 보고하였고, 발견 지역이 조도이며, 열매가 만두를 닮아 조도만두나무라는 이름이 붙어졌다. # 낙엽저목(落葉低木)이며 최대 5m까지 자라는 나무로 작은키나무이다. 잎은 타원형 모양으로 8cm정도 하며 잎에 털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현재 약 100개체만 남은 심각한 멸종위기종(CR)이지만 아직 멸종위기상태 평가에 필요한 자료가 없어 대한민국의 멸종위기 야생생물에 포함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