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조지아어|조지아어]]
1. 개요
조지아어의 문법에 관한 내용이다.2. 특징
어순은 자유로우나 대체로 SOV 또는 SVO를 쓰며, 교착어이다. 영어, 프랑스어 같은 다른 유럽의 언어와 다르게 한국어의 조사는 물론 선어말어미나 어말어미와 유사한 개념이 있으며 문법적 성도 없고, 한국어처럼 문장에서 주어나 목적어를 생략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인칭대명사의 경우, 인칭 접사로 주어나 목적어의 인칭 및 수를 알 수 있기에 매우 자주 생략된다.전반적인 문법은 굉장히 복잡한 편으로, 명사 체계도 7종류의 격과 분열 능격 등의 요소 때문에 결코 단순하지 않지만 카르트벨리어족 특유의 스크리브 개념으로 대표되는 동사 체계가 특히 복잡하고, 교착어로썬 드물게 불규칙 활용의 비중이 높다.
자세한 사항은 영어판 위키백과 문서 참조.
2.1. 명사
조지아어의 명사는 문법적 격 일곱 종류(주격, 능격, 여격, 속격, 도구격, 부사격, 호격)를 갖고 있으며 후치사를 붙여 나타낸다. 그 격은 각각 다음과 같다.- 주격(Nominative): 일반적으로 문장의 주어를 나타내는 문법적 격이다. 한국어의 '-이/가'에 해당한다.
- 능격(Ergative): 타동사 아오리스트에서는 능격-절대격 정렬을 요구하며 이때 행동주(타동사 주어)로 능격이 쓰인다. 타동사 아오리스트(부정시제) 한정 '-이/가'인 셈. 다만 일반적인 능격이 쓰이는 언어와 달리 그 쓰임이 한정되어 있어 서술적(მოთხრობითი, motxrobiti)인 격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서술되는 내용의 시점을 말하는 시점으로 끌고 오는 기능이 있어 과거의 시점을 나타내는 경우나 소망 등을 나타내는 부정시제에서 쓰이기도 한다.
- 여격(Dative): 일반적으로 직접 또는 간접 목적어를 나타내며 한국어의 '-을/를', '-에게'에 해당한다. 간접동사의 의미상 주어, 타동사 완료 계열(Perfective series)의 주어로 쓰일 수도 있다.
- 속격(Genitive): 속격은 수식어와의 소유, 부분, 관계 등을 나타내는 문법적 격이다. 한국어의 '-의'에 해당한다.
- 도구격(Instrumental): 도구격은 '방법, 수단' 등을 나타내는 문법적 격이다. 한국어의 '-으로'에 해당한다.
- 부사격(Adverbial): 부사격은 부사구를 만들 때 또는 부사격을 요구하는 후치사와 함께 쓰인다. 형용사 뒤에 부사격 표지가 붙어 부사어로 쓰이기도 한다.
- 호격(Vocative): 특정 대상을 부를 때 사용되는 문법적 격이다. 한국어의 '-야'에 해당한다.
이에 해당하는 후치사를 7가지로 나눌 수 있다. 다만 이렇게 접미사가 붙은 명사에 다시 특정한 격에만 붙는 후치사를 붙일 수 있다는 점이 차이다. 인칭대명사 등에도 이것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ი(-i): -이/가(절대격)
-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는 명사에만 쓰인다. 모음으로 끝나는 명사는 조사를 붙이지 않으면 주어가 됨을 나타낸다.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는 명사는 주격이 사실상 명사원형으로 취급된다. 따라서 외래어 및 외국어 명사도 단어 끝에 -ი를 붙여서 부른다. (ex. Computer → კომპიუტერი, New York → ნიუ-იორკი, 서울 → სეული)
- ლაშა მარიამს წერილს წერს.(Lasha Mariams ts’erils ts’ers.): 라샤가 마리암에게 편지를 쓴다.
- ძაღლი ხორცს ჭამს.(Dzaghli khortss ch'ams.): 개가 고기를 먹는다.
-მა/-მ(-ma/-m): -이/가(능격)
-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면 მა를, 모음으로 끝나면 მ를 쓴다.
- ხათომ წერილს დაწერა.(Khatom ts’erils dats’era.): 카토가 편지를 다 썼다/써버렸다.
- ხათომ წერილს დაწეროს.(Khatom ts’erils dats’eros): 카토는 편지를 써야 한다.
-ს(-s): -을/-에게(여격)
- 예) ხათო წერილს წერს.(Khato ts’erils ts’ers): 카토는 편지를 쓴다.
- 예) მე დედას წერილს ვწერ.(Me dedas ts’erils vts’er.): 나는 어머니에게 편지를 쓴다.
-ის/-ს(-is/-s): -의, -인, -한(속격)
- 어간이 ო(o), უ(u)로 끝나는 명사가 아니면 마지막 자음 뒤에 ის(is)를 붙이고, ო(o), უ(u)로 끝나는 명사에는 ს(s)를 붙인다.
- საქართველოს რესპუბლიკა(Sakartvelos resp’ublik’a): 조지아 공화국
- გველის კბილები(Gvilis k'bilebi): 뱀의 이빨
-ით/-თი(-it/-ti): -로(도구격)
- 어간이 ო(o), უ(u)로 끝나는 명사가 아니면 마지막 자음 뒤에 ით(it)를 붙이고, ო(o), უ(u)로 끝나는 명사에는 თი(ti)를 붙인다.
- ბრძანებით(Brdzanebit): 명령에 따라
- ფანქრით (Pankrit) : 연필로
-ად/-დ(-ad/-d): -하게(부사격)
-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는 명사에는 ად(ad)를, 모음으로 끝나는 명사에는 დ(d)를 붙인다.
-ო(-o): -아(호격)
-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는 명사에만 쓰인다. 높임말로 쓰이지 않는다. 모음으로 끝나는 명사는 격조사를 붙이지 않으면 누군가를 부르는 상황에서 호격이 될 수 있다.
- მეგობრებო! (Megobrebo!) : 친구들아!
기타
-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는 명사는 -ი, -მა, - ს(ა), -ის(ა), -ით(ა), -იდ(ა), -ო을 붙여 격을 나타낸다. 뒤의 괄호친 ა를 붙일지 말지는 자유로운 편이지만 다음 경우에는 항상 ა가 붙는다.
- 불변화사 -ც ('또한'이라는 뜻)가 명사 뒤에 붙을 때
- და(=and)로 열거된 명사구들이 있을 때 da 앞에 있는 명사
- 계사 -ა가 맨 뒤에 붙을 때 (3인칭 단수 형태 არის의 축약형)
- 모음으로 끝나는 단어는 단수 주격을 나타내면 -ი를 붙이지 않는다.
- 또한 단수 호격에서 단음절일 때는 -ო가, 다음절일 때는 -ვ가 붙는다.
- 자음으로 끝나는 단어와 달리 단수 능격에서 -მ가 더 자주 쓰인다.
- -ა, -ე로 끝나는 단어는 대체로 자음으로 끝나는 단어들과 비슷하나, 단수 속격, 도구격에서 맨 뒤 모음이 탈락하고 -ის, -ით가 붙는다.
- -ო, -უ로 끝나는 단어는 전자와 달리 -ო와 -უ가 탈락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단수 여격, 속격, 도구격에 각각 -მ, -ს, -თი가 붙는다.
복수형 접미사는 -ებ-(-eb-)이다.
- 기본적으로 복수형은 다음과 같이 만든다. 복수형 접사 -ებ-(-eb-)에 자음으로 끝나는 명사와 같은 방식으로 명사 어미가 붙는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Nom. | Erg. | Dat. | Gen. | Ins. | Adv. | Voc. |
-ები(-ebi) | -ებმა(-ebma) | -ებს(ა)(-ebs(a)) | -ების(ა)(-ebis(a)) | -ებით(ა)(-ebit(a)) | -ებად(ა)(-ebad(a)) | -ებო(-ebo) |
- -ა(-a)로 끝나는 명사는 -ა가 탈락하고 복수형 어미가 붙는다.[1]
- 어간이 공명음인 ლ, მ, ნ, რ로 끝나고, 어간 마지막 음절의 모음이 ა, ე, ო일 경우, 해당 모음이 탈락한다. 이 현상은 단수 속격에서도 나타난다. [2][3]
데모님 접미사는 사람을 나타낼 경우 -ელ-(-el-), 그 외엔 -ულ-(-ul-), -ურ-(-ur-)를 사용한다.
- საქართველო(조지아) → ქართველი(조지아인), ქართული(조지아어, 조지아의)
- კორეა(한국) → კორეელი(한국인), კორეული(한국어, 한국의)
- ჯაპონია(일본) → ჯაპონელი(일본인), ჯაპონური(일본어, 일본의)
- ჩინეთი(중국) → ჩინელი(중국인), ჩინური(중국어, 중국의) [4]
2.2. 대명사
2.2.1. 인칭대명사
기본적으로 조지아어의 인칭대명사는 1, 2인칭만 존재하며, 3인칭은 지시대명사를 통해 나타낸다. ის(is)라는 지시대명사는 '그(사람)', '그것'이라는 뜻을 모두 지닌다.단수 | 복수 | |||
1인칭 | 2인칭 | 1인칭 | 2인칭 | |
Nom. | მე | შენ | ჩვენ | თქვენ |
Erg. | მე | შენ | ჩვენ | თქვენ |
Dat. | მე | შენ | ჩვენ | თქვენ |
Gen. | ჩემ- | შენ- | ჩვენ- | თქვენ- |
Ins. | ჩემით | შენით | ჩვენით | თქვენით |
Adv. | ჩემად | შენად | ჩვენად | თქვენად |
Voc. | შენ, შე | თქვენ, თქვე |
조지아어 인칭대명사에서 주격, 능격, 여격은 같은 형태며, 도구격, 부사격은 명사와 마찬가지로 각각 뒤에 -ით, -ად가 붙는다.
2.2.2. 지시대명사
조지아어의 지시대명사는 근칭(proximal), 중칭(medial), 원칭(distal)에 따라 나뉘며, 이는 한국어의 지시대명사 이, 그, 저와 비슷하면서도 다르다. 따로 3인칭에 해당하는 인칭대명사가 없기 때문에 지시대명사가 이 역할도 같이 한다. 한국어의 '이 책', '저 새', 영어의 'this book', 'that bird'처럼 한정사처럼 쓰일 수도 있지만 이때는 지시대명사로 쓰일 때와는 곡용 방식이 다르다.ეს(근칭): 화자와 가까운 거리에 있는 대상을 가리킬 때 사용한다.
ეგ(중칭): 화자로부터의 거리와 청자로부터의 거리가 동일한 대상을 가리킬 때 사용한다. 거리가 동일하다면 한국어에서 '이', '그', '저' 모두를 가리킬 수 있다.
ის/იგი(원칭): 화자와 청자 모두에게 멀거나 이미 언급된 대상을 지칭할 때 쓰인다.
ის는 3인칭 대명사, 지시 대명사로써 쓰일 수 있으나, იგი는 3인칭 인칭대명사로서만 사용된다.
지시대명사의 곡용
Sg. | Pl. | |||||||
prox. | med. | dist. | prox. | med. | dist. | |||
Nom. | ეს | ეგ | იგი | ის | ესენი | ეგენი | იგინი | ისინი |
Erg. | ამან | მაგან | მან | იმას | ამათ | მაგათ | მათ | იმათ |
Dat. | ამას | მაგას | მას | იმას | ამათ | მაგათ | მათ | იმათ |
Gen. | ამის | მაგის | მის | იმის | ამათ | მაგათ | მათ | იმათ |
Ins. | ამით | მაგით | მით | იმით | ||||
Adv. | ამად | მაგად | მად | იმად |
따로 호격형은 존재하지 않는다. 복수에서 능격, 여격, 속격 형태는 각각 같으며, 도구격, 부사격 형태는 존재하지 않는다.
지시대명사는 영어의 this, that과 같은 한정사처럼 쓰일 수도 있으며 이때의 곡용은 더더욱 단순한다.
prox. | med. | dist. | |||
Nom. | others | Nom. | others | Nom. | others |
ეს | ამ | ეგ | მაგ | ის | იმ |
주격 형태는 ეს, ეგ, ის로 원래 형태와 차이가 없으나 능격부터 부사격까지 다른 격들은 각각 ამ, მაგ, იმ으로 그 형태가 다르다. 단복수는 구분하지 않는다. 예) ეს ხე (이 나무) - ეს ხეები (이 나무들)
2.2.3. 소유대명사
앞서 인칭대명사를 소개할 때 1, 2인칭 속격을 ჩემ-, შენ-과 같이 소개했다. 이는 수식받는 명사의 격에 따라 그 형태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한 번 ჩემ-과 შენ-으로 그 예시를 들어보겠다.Nom. | ჩემი მეგობარი(내 친구) | შენი მშობლები(네 부모님) |
Erg. | ჩემმა მეგობარმა | შენმა მშობლებმა |
Dat. | ჩემს მეგობარს(ა) | შენს მშობლებს (ა) |
Gen. | ჩემი მეგობრის(ა) | შენი მშობლების(ა) |
Ins. | ჩემი მეგობრით(ა) | შენი მშობლებით(ა) |
Adv. | ჩემს მეგობრად(ა) | შენს მშვენებად(ა) |
Voc. | ჩემო მეგობარო |
표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식받는 명사의 단복수에 따라 모양이 갈리지 않는다. 위의 표에서 마지막 칸이 비어있는 것은 소유대명사가 2인칭이기 때문이지 복수 호격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은 아니다.
지시대명사의 소유대명사는 이와는 살짝 다르다. 각각 지시대명사 속격형태를 기본형으로 두는 것은 맞으나 밑에서 언급할 '자음으로 끝나는 형용사'처럼 곡용한다. (이는 형용사 목차를 참고하라)
prox. | med. | dist. | |
Sg. | ამისი | მაგისი | (ი)მისი |
Pl. | ამითი | მაგათი | (ი)მითი |
이 역시 피수식어의 단복수 여부에 따라 형태가 달라지지 않는다.
2.2.4. 의문대명사
조지아어의 의문대명사에는 ვინ(누구)과 რა(무엇)가 있다.Nom. | ვინ | რა |
Erg. | ვინ | რამ |
Dat. | ვის(ა) | რას(ა) |
Gen. | ვის(ი) | რის(ი) |
Ins. | რით(ი) | |
Adv. | რად(ა) |
이때 ვინ은 무조건 사람을 지시할 때만 사용되며, 동물 또는 무정물은 რა를 통하여 지시한다.
2.2.5. 관계대명사
조지아어의 관계대명사는 단순히 의문대명사 또는 의문대명사 + 후치사 형태에 -ც를 붙여 사용한다. ვინც(vints)는 '-라는 것'이라는 의미가 있고 რაც(rats)는 '-하는 것'이라는 의미가 된다.Nom. | ვინც | რაც |
Erg. | ვინც | რამაც |
Dat. | ვისაც | რასაც |
Gen. | ვისაც/ვისიც | რისაც/რისიც |
Ins. | რითაც/რითიც | |
Adv. | რადაც |
위의 표와 같이 ვინ(vin, 누구)과 რა(ra, 무엇)에서 파생된 관계대명사는 대명사나 전체 문장을 지시할 때만 쓰이고, 그밖의 경우는 რომელი에 -ც를 붙여 쓰인다. 이때 რომელიც의 რომელი 명사처럼 곡용하므로 ვინც, რაც와는 달리 단복수 구분이 생긴다.
Sg. | Pl. | |
Nom. | რომელიც | რომლებიც |
Erg. | რომელმაც | რომლებმაც |
Dat. | რომელსაც | რომლებსაც |
Gen. | რომლისაც | რომლებისაც |
Ins. | რომლითაც | რომლებითაც |
Adv. | რომლადაც | რომლებადაც |
2.2.6. 부정칭 대명사
2.2.7. 부정대명사
2.3. 형용사
명사를 수식(Attributive)할 때 형용사는 -ი로 끝나는지, 다른 모음으로 끝나는지에 따라 그 활용 방식이 다르다. -ი로 끝나는 형용사는 아래와 같은 형태로 활용하여 피수식어의 격과 맞춘다.დიდი 큰, სახლი 집
Nom. | დიდი სახლი |
Erg. | დიდმა სახლმა |
Dat. | დიდ სახლს |
Gen. | დიდი სახლის |
Ins. | დიდი სახლით |
Adv. | დიდ სახლად |
Voc. | დიდო სახლო |
-ი 외의 모음으로 끝나는 형용사는 격에 따라 그 형태가 변하지 않는다.
형용사는 명사(Substantive)로 쓰일 수도 있는데 이때는 명사와 같은 방식으로 접사를 활용한다.
예) ავადმყოფი 아픈
ექიმი | აძლევს | ავადმყოფს | წყალს |
ექიმ-ი | აძლევ-ს | ავადმყოფ-ს | წყალ-ს |
의사-NOM. | 주다-3SG. | 아픈 이-DAT. | 물-DAT. |
의사가 환자에게 물을 준다. |
ექიმი | აძლევს | ავადმყოფ | ბიჭს | წყალს |
ექიმ-ი | აძლევ-ს | ავადმყოფ | ბიჭ-ს | წყალ-ს |
의사-NOM. | 주다-3SG. | 아픈.ATTR.DAT. | 소년-DAT. | 물-DAT. |
의사가 아픈 소년에게 물을 준다. |
첫번째 문장에서는 형용사 ავადმყოფი이 명사로서 쓰였기 때문에 여격 조사를 사용한 반면 두번째 문장에서는 'ბიჭი'를 수식하기 때문에 원래 방식대로 활용하였다.
2.4. 동사
2.4.1. 동사의 종류
조지아어의 동사는 요구되는 필수 논항과 해당 논항에 어떤 격이 오느냐에 따라 네 가지로 나뉜다.1. 타동사(Transitive verbs)
타동사는 기본적으로 주어와 직접 목적어를 필요로 하며, Screeve 계열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격을 요구한다.
주어 | 직접목적어 | 간접목적어 | |
현재, 미래 | Nom. | Dat. | Dat. |
아오리스트 | Erg. | Nom. | Dat. |
완료 | Dat. | Nom. | -tvis |
2. 자동사(Intransitive verbs)
자동사는 타동사와 달리 항상 주어로 주격을 받으며, 직접목적어를 취하지 않는다.
3. 중간동사(Medial verbs)
중간 동사는 자동사와 유사하지만, 격을 받는 방식이 타동사와 같다.
4. 간접동사(Indirect verbs)
간접동사는 의미상 주어가 여격으로 나타나고, 목적어가 주격으로 나타나는 동사를 뜻한다. 간접동사는 여격인 주어를 m표지와, 목적어인 주격을 v표지와 일치시킨다.
예) აქვს '(무정물을) 가지다'의 현재 3인칭 단수
მე | მაქვს | ვაშლს |
მე | მ-აქვ-ს | ვაშლ-ს |
1SG.DAT. | 1SG.-가지다-3SG. | 사과-DAT.SG. |
나는 사과를 갖고 있다. |
2.4.2. 시제, 상, 서법 활용
조지아어 동사의 시제, 상, 서법은 시리즈(Series)와 스크리브(Screeve)라 불리는 구조에 따라 특정 접사를 덧붙이고 빼는 식으로 활용된다.스크리브는 시제, 상, 서법이 한데 묶인 각 동사 활용형을 뜻한다. მწკრივი(Mts'k'rivi, 항렬)의 발음이 영어식으로 변형된 표현으로, 조지아어를 비롯한 카르트벨리어족 언어 문법의 고유 용어이다.
시리즈는 각 스크리브를 묶는 분류로, 현재형과 미래형 계통의 시리즈 I, 아오리스트 계통의 시리즈 II, 완료형 계통의 시리즈 III의 세 종류로 나뉜다.
직설법 | 과거 | 가정법 | ||
시리즈 I | 현재 | 현재 직설법 | 미완료 | 현재 가정법 |
미래 | 미래 직설법 | 조건법 | 미래 가정법 | |
시리즈 II | 아오리스트 | 아오리스트 | 기원법 | |
시리즈 III | 완료 | 현재완료 | 과거완료 | 완료 가정법 |
- 시리즈 I
- 현재
- 현재 직설법
- ვთამაშობ. 난 논다.
- 미완료
- წერდა. 그는 (글, 편지 등을) 쓰고 있었다. (아직도 쓰고 있다.) / 그는 쓰곤 했다.
- ვხატავდი. 난 그리고 있었다. (지금도 그리고 있다.) / 난 그리곤 했다.
- მიყვარდი. 널 사랑했어. [5]
- 현재 가정법
- კარგი იქნებოდა ლამაზად რომ ვწერდე. 글자를 예쁘게 쓸 수 있으면 좋을텐데.
- 미래
- 미래 직설법
- სახლში წავალ. 집에 갈 거야.
- 조건법
- ფული თუ არ დავკარგო, ეს რესტორანში ვისადილობდი. 돈을 안 잃어버렸더라면, 이 식당에서 점심을 먹었을 거야.
- 미래 가정법
- წიგნი რომელიც მინდა წავიკითხავდე. 내가 읽고 싶은 책.
- 시리즈 II
- 아오리스트
기본적으로 과거시제이나, 동작이 일어난 시간이 순간적이고 확정적인, 어느 고정된 한 시점이고 행위가 완료되었다는 뉘앙스를 가진다. - შევჭამე. 다 먹었어요.
- 기원법
- ეს დრო დავამთავრო. 이 시간이 끝났으면 좋겠다. / 이 시간을 끝내야 한다.
- ეს შეჭამე! 이거나 먹어라!
- ნუ დაიმალო! 숨지 마라!
- ბანკი გავძარცოთ. 은행을 털자.
- 시리즈 III
- 현재완료
화자가 목격하지 못한 행위를 나타낸다. - დედაჩემს საჩუქარი უყიდია. 엄마가 선물을 산 것 같다.
- 과거완료
- ეს კოშკს აეშენებინათ. 그들은 이 탑을 지었었다.
- 완료 가정법
- ახალ წელს სათბო და სიყვარული მოეტანოს. 새해가 따뜻함과 사랑을 가져오기를 바랍니다.
현재에 일어나고 있는 동작을 단순하게 나타내는 시제로, 가장 기본적인 시제이다.
완료되지 않았거나 지속되고 있는 과거의 동작과 상태, 습관적으로 하던 과거의 동작을 나타낸다. 시리즈 II가 존재하지 않는 동사의 과거(아오리스트)형을 나타내는 데도 쓰인다.
일어나지 않을 것 같은 현재의 동작 및 그에 대한 소망을 나타낸다. 관계절에도 쓰이며 이 쪽이 일반적인 활용법이다.
미래에 일어날 동작을 나타낸다.
과거에 발생했거나, 특정 조건에서 현재 발생할 수 있는 동작을 나타내며, '만약'이라는 뜻을 가진 접속사 'თუ'와 함께 쓰인다.
일어나지 않을 것 같은 미래의 동작 및 그에 대한 소망, 잠정적으로 가정된 가상의 행동을 나타낸다. 종속절에도 쓰이며 이 쪽이 일반적인 활용법이다.
행위를 이루는 것에 대한 바람, 행위를 해야하는 것에 대한 의무를 나타내며, 조건법 스크리브와 함께 가정문을 이루기도 한다.
시리즈 II의 두 스크리브는 명령문으로 쓰이기도 한다.
아오리스트는 일반 명령문, 기원법은 부정 명령문 및 제안(~하자)의 의미로 쓰인다.
다른 사건들보다 먼저 일어난 행위, 먼 과거에 일어난 행위를 나타낸다.
현대어에선 사라지고 있는 스크리브로, 과거완료로 대체되어가고 있다. 주로 어떠한 바람(소원)을 나타내는데 쓰인다.
또한 아오리스트 계열 스크리브의 부정형은 앞으로도 해당 행위가 일어나지 않을 것의 뉘앙스를 품지만, 완료 계열 스크리브의 부정형은 단순히 부정의 의미만 가진다.
- ის ანიმე არ ვნახე. 그 애니를 안 봤다. (앞으로도 안 볼 거다.)
- ის ანიმე არ მინახავს. 그 애니를 안 봤다.
2.4.3. 동사의 구조
조지아어의 동사는 수많은 접사가 붙어 형성되며, 접사가 붙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한국어 동사 체계도 접사의 의미와 붙는 순서가 다르지 이것저것 복잡하게 붙는 건 마찬가지라서 한국인 입장에선 의외로 굴절어들의 동사 활용보다 친숙하다.-3 | 동사 접두사 | Preverb |
-2 | 접두형 인칭 표지 | Prefixial person marker |
-1 | 버전 표지 | Version marker |
0 | 어간 | Verb root |
+1 | 수동 표지 | Passive marker |
+2 | 주제 접미사 | thematic suffix |
+3 | 사동 표지 | Causitive marker |
+4 | 미완료 표지 | Imperfective marker |
+5 | 접미형 인칭 표지 | Suffixial person marker |
+6 | 조동사 | Auxiliary verb |
+7 | 복수 표지 | Plural marker |
2.4.3.1. 동사 접두사(Preverb)
Preverb는 동사 내에서 인칭 접두사 앞에 위치하여, 방향성 등의 특정 뉘앙스를 더해주거나 아예 새로운 뜻으로 만들어준다.ა-, ამო- | 위쪽으로 |
ჩა-, ჩამო- | 아래쪽으로, 안쪽으로 |
და- | 습관적으로, 아래로 |
მი- | 저쪽으로 |
მო- | 이쪽으로 |
მიმო- | 뒤로, 앞으로 |
შე-, შემო- | 안쪽으로, შემო-의 경우 '우연히', '누구 또는 무언가 주위에'의 의미도 가진다. |
გა-, გამო- | 바깥쪽으로 |
წა-, წამო- | 누군가 또는 무언가로부터 |
გადა-, გადმო- | 이겨내어, 건너로 |
다음은 Preverb로 의미가 바뀌는 예시이다.
- მივდივარ: 나 가고 있어. /მოვდივარ: 나 오고 있어.
- დაწერა: (글자 등을) 적다 /გამოწერა: 구독하다
또한 Preverb는 시제 활용에도 쓰이는데, 현재 계열 외 시리즈를 나타낼 수 있다.
- ვაშენებ: 나는 짓는다. → ავაშენებ: 나는 지을 것이다.
2.4.3.2. 인칭 표지
조지아어 역시 인칭에 따라 동사가 활용되나, 주어와만 일치시키는 독일어, 러시아어 등과는 달리 목적어와도 일치시킨다. 이때 주어의 인칭을 나타내는 표지를 v표지, 목적어의 인칭을 나타내는 표지를 m표지라 한다. 이 중 m표지와 v표지가 같이 쓰이는 경우는 접미사인 3인칭 v표지가 쓰일 때뿐이며, 2인칭 m표지만 쓰였을 경우엔 주어가 1인칭, 1인칭 m표지만 쓰였을 경우 주어가 2인칭이 된다.v표지
Sg. | Pl. | |
1인칭 | ვ- | ვ- -თ |
2인칭 | (ხ-) | (ხ-) -თ |
3인칭 | -ს, -ა, -ო | -ნ[6], -ან[7], -ენ, -ნან[8], -ეს[9] |
2인칭에서 ხ-가 붙는 동사는 극히 드물며 [10], 대부분은 별도의 접두사가 붙지 않는다.
m표지
Sg. | Pl. | |
1인칭 | მ- | გვ- |
2인칭 | გ- | გ- -თ |
3인칭 | ჰ-, ს-, ∅- | ჰ-, ს-, ∅- (-თ) |
3인칭에선 간접 목적어의 인칭과 수에 맞추며 자음 გ, კ, ქ, პ, ყ 앞에서는 ჰ-, 자음 დ, ტ, თ, ძ, წ, ც, ჟ, ჭ, ჩ 앞에서는 ს-가 붙으며 그 밖의 자음이나 모음 앞에서, 혹은 간접 목적어를 취하지 않을 땐 접두사가 붙지 않는다.
მას ჰქვია დავითი. 그의 이름은 다비트다.
დავითს სძინავს. 다비트가 잔다.
დავითს აქვს ძაღლი. 다비트가 개를 갖고 있다.
첫번째 예문에서는 ქ 앞이므로 ჰ가 붙었으며 두번째 예문에서는 ძ 앞이므로 ს가 붙었다. 마지막은 모음으로 시작하기 때문에 아무런 접두사가 붙지 않았다.
다음은 v표지와 m표지의 사용 예다.
예) ხედვა 보다, ძაღლი 개
მე ვხედავ ძაღლს. 나는 개를 본다.
მე გხედავ შენ. 나는 너를 본다.
შენ ხედავ ძაღლს. 너는 개를 본다.
ძაღლი გხედავს შენ. 개가 너를 본다.
타동사 및 중간동사의 과거 계열 및 시리즈 III 스크리브, 간접동사, 자동사에선 인칭 접미사 자리에 모음을 쓴다.
- 직설법에선 1인칭과 2인칭 주어(간접동사의 경우는 목적어)에 -ი 또는 -ე, 3인칭 주어에 -ო 또는 -ა
- 가정법에선 모든 인칭 주어(간접동사의 경우는 목적어)에 -ე 또는 -ო, 드물게 -ა
2.4.3.3. 버전
조지아어 동사 어간 앞에는 ო를 제외한 모음이 붙어 기초적인 통사론적 관계를 나타내는데, 이를 버전(Version)이라 한다. 버전의 종류는 주격 버전, 목적격 버전, 중립 버전, 재상격 버전 등이 있다.1. 주격 버전(Subjective Version)
Sbj 버전은 행위가 주어 스스로를 위해 일어났음을 나타내는 표지로, 어간 앞에 -ი-를 붙여 표시한다.
- ი-შენებს. 그는 자신을 위해 짓는다.
2. 목적격 버전(Objective Version)
Obj 버전은 타동사에서 주어가 누구를 위해 행위를 하는지를 나타내는 표지로, 해당 대상이 1, 2인칭일 때는 -ი-, 3인칭일 때는 -უ-를 사용한다.
- უ-შენებს. 그는 그를 위해 짓는다.
- გ-ი-შენებს. 그는 너를 위해 짓는다.
3. 중립 버전(Neutral Version)
Ntr 버전은 행위가 누구를 위해 일어났는지에 대한 정보를 서술하지 않을 때 사용되며, -ა-를 쓰거나 영표지로 표현된다.
- ა-შენებს. 그는 짓는다.
- წერს. 그는 (글을) 쓴다.
4. 재상격 버전(Superessive Version)
Supe 버전은 -ა-를 사용하여 표현하며, 어떤 행위가 어떠한 대상 위에서 벌어짐을 나타낸다.
- ა-წერს. 그가 (... 위에) 쓴다.
그 외에도 인칭 표지와 같은 역할을 하기도 한다.
- უ-ყვარს. 그(녀)는 그것을 사랑한다.
2.4.3.4. 수동 표지
수동 표지는 타동사를 자동사로 바꾸거나 수동태를 나타낸다. 어간 바로 뒤에 -დ를 붙이거나 버전 표지 -ი-를 사용한다.- გააწითლე. 넌 그(녀)를 얼굴 붉히게 만든다. > გაწითლ-დ-ი. 넌 얼굴을 붉힌다.
주어, 직접 목적어와 간접 목적어를 모두 취하는 타동사의 경우 어간 앞에 버전 표지 -ე-를 붙이는 식으로 수동태를 만들 수 있으나, 다소 부자연스러운 표현으로 취급된다.
2.4.3.5. 주제 접미사
주제 접미사는 어간 뒤에 위치하며, 수동표지가 붙지 않을 때 다음 8가지 주제 접미사 중 하나를 붙여 시리즈 I, III 계열 스크리브를 나타낸다. 어떤 주제 접미사가 붙을지는 대체로 동사 원형을 통해 알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는 일일이 외워야 한다.-ებ-, -ევ-, -ავ-, -ამ-, -ი-, -ობ-, -ოფ-, -Ø-
- ხატ-ავ-ენ 그들이 그린다.
해당 동사에는 주제 접미사 -ავ-가 붙었다.
2.4.3.6. 사동 표지
사동 표지 -ებ, (드물게) -ევ는 '~하게 만들다'라는 의미를 부여하며, 버전 표지 -ა-가 반드시 동반된다.- ჭამ. 너는 먹는다. > ა-ჭმ-ევ. 너는 (그가) 먹게 만든다./ 너는 (그에게) 먹인다.
- ლამაზი 아름답다 > გ-ა-ლამაზ-ებ-ს. 그/그것은 너를 아름답게 만든다.
2.4.3.7. 미완료 표지
미완료 표지 -დ-(타동사), -ოდ-(자동사)는 주제 접미사 뒤에 위치하며, 시리즈 I에서 직설법 외 계통 스크리브를 나타낸다.- ჩვენ მოვრბ-ოდ-ით, მაგრამ ვითვლით წამებს. 우린 달리고 있었지만, 초를 센다.
2.4.3.8. 조동사
조동사는 특정 간접동사의 현재 직설법 스크리브와 시리즈 III, 직접 목적어가 1인칭 또는 2인칭일 때 특정 타동사의 시리즈 III에서 쓰인다. 접미형 인칭 표지 대신 계사 현재형(ვარ, ხარ)을 붙여 목적어의 인칭을 나타낸다.* მიყვარ-ხარ. 난 널 사랑해.
2.4.4. 동사 활용표
위에 쓰여진 설명을 바탕으로 동사 활용을 표로 정리한 것이다.하단의 표는 규칙 활용만을 정리한 것으로, 불규칙 활용하는 동사의 경우 스크리브에 따라 어간의 형태가 변형되거나, 시리즈별로 아예 다른 어간을 쓰는 등의 구조를 띈다.
2.4.4.1. 타동사
გაკეთება (어떤 행동을) 하다- 해당 동사는 시리즈 I, II에서 버전 표지 ა-를 취한다.
- 시리즈 I
- 현재
- 현재 직설법
단수 | 복수 | |
1인칭 | ვ-ა-კეთ-ებ | ვ-ა-კეთ-ებ-თ |
2인칭 | ა-კეთ-ებ | ა-კეთ-ებ-თ |
3인칭 | ა-კეთ-ებ-ს | ა-კეთ-ებ-ენ |
- 미완료
단수 | 복수 | |
1인칭 | ვ-ა-კეთ-ებ-დ-ი | ვ-ა-კეთ-ებ-დ-ი-თ |
2인칭 | ა-კეთ-ებ-დ-ი | ა-კეთ-ებ-დ-ი-თ |
3인칭 | ა-კეთ-ებ-დ-ა | ა-კეთ-ებ-დ-ნენ |
- 현재 가정법
단수 | 복수 | |
1인칭 | ვ-ა-კეთ-ებ-დ-ე | ვ-ა-კეთ-ებ-დ-ე-თ |
2인칭 | ა-კეთ-ებ-დ-ე | ა-კეთ-ებ-დ-ე-თ |
3인칭 | ა-კეთ-ებ-დ-ე-ს | ა-კეთ-ებ-დ-ნენ |
- 미래
- 미래 직설법
단수 | 복수 | |
1인칭 | გა-ვ-ა-კეთ-ებ | გა-ვ-ა-კეთ-ებ-თ |
2인칭 | გა-ა-კეთ-ებ | გა-ა-კეთ-ებ-თ |
3인칭 | გა-ა-კეთ-ებ-ს | გა-ა-კეთ-ებ-ენ |
- 조건법
단수 | 복수 | |
1인칭 | გა-ვ-ა-კეთ-ებ-დ-ი | გა-ვ-ა-კეთ-ებ-დ-ი-თ |
2인칭 | გა-ა-კეთ-ებ-დ-ი | გა-ა-კეთ-ებ-დ-ი-თ |
3인칭 | გა-ა-კეთ-ებ-დ-ა | გა-ა-კეთ-ებ-დ-ნენ |
- 미래 가정법
단수 | 복수 | |
1인칭 | გა-ვ-ა-კეთ-ებ-დ-ე | გა-ვ-ა-კეთ-ებ-დ-ე-თ |
2인칭 | გა-ა-კეთ-ებ-დ-ე | გა-ა-კეთ-ებ-დ-ე-თ |
3인칭 | გა-ა-კეთ-ებ-დ-ე-ს | გა-ა-კეთ-ებ-დ-ნენ |
- 시리즈 II
- 아오리스트
미래 직설법에서 주제 접미사가 탈락하고 -ე, -ა가 붙는다.
단수 | 복수 | |
1인칭 | გა-ვ-ა-კეთ-ე | გა-ვ-ა-კეთ-ე-თ |
2인칭 | გა-ა-კეთ-ე | გა-ა-კეთ-ე-თ |
3인칭 | გა-ა-კეთ-ა | გა-ა-კეთ-ე-ს |
- 기원법
아오리스트에서 주제 접미사가 탈락한 자리에 -ე 대신 -ო가 붙는다.
단수 | 복수 | |
1인칭 | გა-ვ-ა-კეთ-ო | გა-ვ-ა-კეთ-ო-თ |
2인칭 | გა-ა-კეთ-ო | გა-ა-კეთ-ო-თ |
3인칭 | გა-ა-კეთ-ო-ს | გა-ა-კეთ-ო-ნ |
- 시리즈 III
- 현재완료
버전 표지가 1, 2인칭에서 -ი-, 3인칭에서 -უ-가 붙는다.
단수 | 복수 | |
1인칭 | გა-მ-ი-კეთ-ებ-ი-ა | გა-გვ-ი-კეთ-ებ-ი-ა |
2인칭 | გა-გ-ი-კეთ-ებ-ი-ა | გა-გ-ი-კეთ-ებ-ი-ა-თ |
3인칭 | გა-უ-კეთ-ებ-ი-ა | გა-უ-კეთ-ებ-ი-ა-თ |
- 과거완료
현재완료에서 버전 표지가 -ე-로 바뀌고, -ია 사이에 -ნ-이 끼어든다.
단수 | 복수 | |
1인칭 | გა-მ-ე-კეთ-ებ-ი-ნ-ა | გა-გვ-ე-კეთ-ებ-ი-ნ-ა |
2인칭 | გა-გ-ე-კეთ-ებ-ი-ნ-ა | გა-გ-ე-კეთ-ებ-ი-ნ-ა-თ |
3인칭 | გა-ე-კეთ-ებ-ი-ნ-ა | გა-ე-კეთ-ებ-ი-ნ-ა-თ |
- 완료 가정법
과거완료에서 -ნ- 뒤에 -ა 대신 -ოს(1인칭 단, 복수, 2인칭 단수, 3인칭 단수), -ოთ(2인칭 복수, 3인칭 복수)가 붙는다.
단수 | 복수 | |
1인칭 | გა-მ-ე-კეთ-ებ-ი-ნ-ო-ს | გა-გვ-ე-კეთ-ებ-ი-ნ-ო-ს |
2인칭 | გა-გ-ე-კეთ-ებ-ი-ნ-ო-ს | გა-გ-ე-კეთ-ებ-ი-ნ-ო-თ |
3인칭 | გა-ე-კეთ-ებ-ი-ნ-ო-ს | გა-ე-კეთ-ებ-ი-ნ-ო-თ |
2.4.4.2. 자동사
- 시리즈 III을 제외하면 Preverb와 주제 접미사의 활용이 타동사와 똑같다.
- 거의 모든 자동사는 주제 접미사 -ებ-를 사용하며, 어간에 추가로 표지가 붙는다.
- 접두사: 어간 바로 앞에 ი-가 붙는다.
- 접미사: 어간 바로 뒤에 -დ가 붙는다.
- 표지 없음: 접사가 붙지 않는다.
დაბადება 태어나다
- 해당 동사는 접두사형 자동 표지가 나타나는 동사로, 시리즈 III를 제외한 모든 활용형에서 어간 앞에 ი-가 붙는다.
- 시리즈 I
- 현재
- 현재 직설법
단수 | 복수 | |
1인칭 | ვ-ი-ბად-ებ-ი | ვ-ი-ბად-ებ-ი-თ |
2인칭 | ი-ბად-ებ-ი | ი-ბად-ებ-ი-თ |
3인칭 | ი-ბად-ებ-ა | ი-ბად-ებ-ი-ან |
- 미완료
단수 | 복수 | |
1인칭 | ვ-ი-ბად-ებ-ოდ-ი | ვ-ი-ბად-ებ-ოდ-ი-თ |
2인칭 | ი-ბად-ებ-ოდ-ი | ი-ბად-ებ-ოდ-ი-თ |
3인칭 | ი-ბად-ებ-ოდ-ა | ი-ბად-ებ-ოდ-ნენ |
- 현재 가정법
단수 | 복수 | |
1인칭 | ვ-ი-ბად-ებ-ოდ-ე | ვ-ი-ბად-ებ-ოდ-ე-თ |
2인칭 | ი-ბად-ებ-ოდ-ე | ი-ბად-ებ-ოდ-ე-თ |
3인칭 | ი-ბად-ებ-ოდ-ე-ს | ი-ბად-ებ-ოდ-ნენ |
- 미래
- 미래 직설법
단수 | 복수 | |
1인칭 | და-ვ-ი-ბად-ებ-ი | და-ვ-ი-ბად-ებ-ი-თ |
2인칭 | და-ი-ბად-ებ-ი | და-ი-ბად-ებ-ი-თ |
3인칭 | და-ი-ბად-ებ-ა | და-ი-ბად-ებ-ი-ან |
- 조건법
단수 | 복수 | |
1인칭 | და-ვ-ი-ბად-ებ-ოდ-ი | და-ვ-ი-ბად-ებ-ოდ-ი-თ |
2인칭 | და-ი-ბად-ებ-ოდ-ი | და-ი-ბად-ებ-ოდ-ი-თ |
3인칭 | და-ი-ბად-ებ-ოდ-ა | და-ი-ბად-ებ-ოდ-ნენ |
- 미래 가정법
단수 | 복수 | |
1인칭 | და-ვ-ი-ბად-ებ-ოდ-ე | და-ვ-ი-ბად-ებ-ოდ-ე-თ |
2인칭 | და-ი-ბად-ებ-ოდ-ე | და-ი-ბად-ებ-ოდ-ე-თ |
3인칭 | და-ი-ბად-ებ-ოდ-ე-ს | და-ი-ბად-ებ-ოდ-ნენ |
- 시리즈 II
- 아오리스트
단수 | 복수 | |
1인칭 | და-ვ-ი-ბად-ე | და-ვ-ი-ბად-ე-თ |
2인칭 | და-ი-ბად-ე | და-ი-ბად-ე-თ |
3인칭 | და-ი-ბად-ა | და-ი-ბად-ნენ |
- 기원법
아오리스트에서 주제 접미사가 탈락한 자리에 -ე 대신 -ო가 붙는다.
단수 | 복수 | |
1인칭 | და-ვ-ი-ბად-ო | და-ვ-ი-ბად-ო-თ |
2인칭 | და-ი-ბად-ო | და-ი-ბად-ო-თ |
3인칭 | და-ი-ბად-ო-ს | და-ი-ბად-ო-ნ |
- 시리즈 III
- 현재완료
현재형 계사를 사용하며, 3인칭 계사 არის와 არიან은 각각 ა, ან으로 축약된다.
단수 | 복수 | |
1인칭 | და-ვ-ბად-ებ-ულ-ვარ | და-ვ-ბად-ებ-ულ-ვართ |
2인칭 | და-ბად-ებ-ულ-ხარ | და-ბად-ებ-ულ-ხართ |
3인칭 | და-ბად-ებ-ულ-ა | და-ბად-ებ-ულ-ა-ნ |
- 과거완료
과거형 계사가 사용된다.
단수 | 복수 | |
1인칭 | და-ვ-ბად-ებ-ულ-იყავი | და-ვ-ბად-ებ-ულ-იყავით |
2인칭 | და-ბად-ებ-ულ-იყავი | და-ბად-ებ-ულ-იყავით |
3인칭 | და-ბად-ებ-ულ-იყო | და-ბად-ებ-ულ-იყვნენ |
- 완료 가정법
완료형 계사가 사용된다.
단수 | 복수 | |
1인칭 | და-ვ-ბად-ებ-ულ-იყო | და-ვ-ბად-ებ-ულ-იყოთ |
2인칭 | და-ბად-ებ-ულ-იყო | და-ვ-ბად-ებ-ულ-იყოთ |
3인칭 | და-ბად-ებ-ულ-იყოს | და-ვ-ბად-ებ-ულ-იყონ |
2.4.4.3. 중간동사
동사 활용 방식은 타동사와 거의 똑같다.თამაშობა 놀다
- 시리즈 I
- 현재
- 현재 직설법
단수 | 복수 | |
1인칭 | ვ-თამაშ-ობ | ვ-თამაშ-ობ-თ |
2인칭 | თამაშ-ობ | თამაშ-ობ-თ |
3인칭 | თამაშ-ობ-ს | თამაშ-ობ-ენ |
- 미완료
단수 | 복수 | |
1인칭 | ვ-თამაშ-ობ-დ-ი | ვ-თამაშ-ობ-დ-ი-თ |
2인칭 | თამაშ-ობ-დ-ი | თამაშ-ობ-დ-ი-თ |
3인칭 | თამაშ-ობ-დ-ა | თამაშ-ობ-დ-ნენ |
- 현재 가정법
단수 | 복수 | |
1인칭 | ვ-თამაშ-ობ-დ-ე | ვ-თამაშ-ობ-დ-ე-თ |
2인칭 | თამაშ-ობ-დ-ე | თამაშ-ობ-დ-ე-თ |
3인칭 | თამაშ-ობ-დ-ე-ს | თამაშ-ობ-დ-ნენ |
- 미래
- 미래 직설법
단수 | 복수 | |
1인칭 | ვ-ი-თამაშ-ებ | ვ-ი-თამაშ-ებ-თ |
2인칭 | ი-თამაშ-ებ | ი-თამაშ-ებ-თ |
3인칭 | ი-თამაშ-ებ-ს | ი-თამაშ-ებ-ენ |
- 조건법
단수 | 복수 | |
1인칭 | ვ-ი-თამაშ-ებ-დ-ი | ვ-ი-თამაშ-ებ-დ-ი-თ |
2인칭 | ი-თამაშ-ებ-დ-ი | ი-თამაშ-ებ-დ-ი-თ |
3인칭 | ი-თამაშ-ებ-დ-ა | ი-თამაშ-ებ-დ-ნენ |
- 미래 가정법
단수 | 복수 | |
1인칭 | ვ-ი-თამაშ-ებ-დ-ე | ვ-ი-თამაშ-ებ-დ-ე-თ |
2인칭 | ი-თამაშ-ებ-დ-ე | ი-თამაშ-ებ-დ-ე-თ |
3인칭 | ი-თამაშ-ებ-დ-ე-ს | ი-თამაშ-ებ-დ-ნენ |
- 시리즈 II
- 아오리스트
단수 | 복수 | |
1인칭 | ვ-ი-თამაშ-ე | ვ-ი-თამაშ-ე-თ |
2인칭 | ი-თამაშ-ე | ი-თამაშ-ე-თ |
3인칭 | ი-თამაშ-ა | ი-თამაშ-ეს |
- 기원법
아오리스트에서 주제 접미사가 탈락한 자리에 -ე 대신 -ო가 붙는다.
단수 | 복수 | |
1인칭 | ვ-ი-თამაშ-ო | ვ-ი-თამაშ-ო-თ |
2인칭 | ი-თამაშ-ო | ი-თამაშ-ო-თ |
3인칭 | ი-თამაშ-ო-ს | ი-თამაშ-ო-ნ |
- 시리즈 III
- 현재완료
버전 표지가 1, 2인칭에서 -ი-, 3인칭에서 -უ-가 붙는다.
단수 | 복수 | |
1인칭 | მ-ი-თამაშ-(ნ-)ი-ა | გვ-ი-თამაშ-(ნ-)ი-ა |
2인칭 | გ-ი-თამაშ-(ნ-)ი-ა | გ-ი-თამაშ-(ნ-)ი-ა-თ |
3인칭 | უ-თამაშ-(ნ-)ი-ა | უ-თამაშ-(ნ-)ი-ა-თ |
- 과거완료
현재완료에서 버전 표지가 -ე-로 바뀌고, -ია에서 ი가 탈락한다.
단수 | 복수 | |
1인칭 | მ-ე-თამაშ-(ნ-)ა | გვ-ე-თამაშ-(ნ-)ა |
2인칭 | გ-ე-თამაშ-(ნ-)ა | გ-ე-თამაშ-(ნ-)ა-თ |
3인칭 | ე-თამაშ-(ნ-)ა | ე-თამაშ-(ნ-)ა-თ |
- 완료 가정법
과거완료에서 -어간 뒤에 -ა 대신 -ოს(1인칭 단, 복수, 2인칭 단수, 3인칭 단수), -ოთ(2인칭 복수, 3인칭 복수)가 붙는다.
단수 | 복수 | |
1인칭 | მ-ე-თამაშ-(ნ-)ო-ს | გვ-ე-თამაშ-(ნ-)ო-ს |
2인칭 | გ-ე-თამაშ-(ნ-)ო-ს | გ-ე-თამაშ-(ნ-)ო-თ |
3인칭 | ე-თამაშ-(ნ-)ო-ს | ე-თამაშ-(ნ-)ო-თ |
2.4.4.4. 간접동사
- 의미상 주어가 여격, 의미상 목적어가 주격을 취하는 특성처럼 간접동사는 m표지가 주어 인칭, v표지가 목적어 인칭을 나타낸다.
- 감정, 감각, 상태 등을 나타내는 동사가 여기 속한다. (ex. -ყავ- ((생물을) 가지다), -ქვ-((무생물을) 가지다), -ყვარ-(사랑하다), -ნდ-(원하다))
- 또한 ე- -ებ 형태를 통해 '~하고 싶은 기분이다. ~할 것 같은 기분이다'라는 뜻을 가진 간접동사를 파생시킬 수 있다. (ex. ცაკვავს (그는 춤춘다.) > ეცეკვება (그는 춤출 것 같은 기분이다.))
-ყვარ- 사랑하다.
하단의 표는 3인칭 단수 목적어를 기준으로 한다.
- 시리즈 I
- 현재
- 현재 직설법
복수 표지 -თ는 3인칭 단수 v표지 -ს보다 우선순위가 높다는 점을 2, 3인칭 복수 활용 시 유의해야 한다.
단수 | 복수 | |
1인칭 | მ-ი-ყვარ-ს | გვ-ი-ყვარ-ს |
2인칭 | გ-ი-ყვარ-ს | გ-ი-ყვარ-თ |
3인칭 | უ-ყვარ-ს | უ-ყვარ-თ |
- 미완료
단수 | 복수 | |
1인칭 | მ-ი-ყვარ-დ-ა | გვ-ი-ყვარ-დ-ა |
2인칭 | გ-ი-ყვარ-დ-ა | გ-ი-ყვარ-დ-ა-თ |
3인칭 | უ-ყვარ-დ-ა | უ-ყვარ-დ-ა-თ |
- 현재 가정법
단수 | 복수 | |
1인칭 | მ-ი-ყვარ-დ-ე-ს | გვ-ი-ყვარ-დ-ე-ს |
2인칭 | გ-ი-ყვარ-დ-ე-ს | გ-ი-ყვარ-დ-ე-თ |
3인칭 | უ-ყვარ-დ-ე-ს | უ-ყვარ-დ-ე-თ |
- 미래
ე- -ებ 형태를 가지고 자동사와 유사하게 활용한다. - 미래 직설법
단수 | 복수 | |
1인칭 | მ-ე-ყვარ-ებ-ა | გვ-ე-ყვარ-ებ-ა |
2인칭 | გ-ე-ყვარ-ებ-ა | გ-ე-ყვარ-ებ-ა-თ |
3인칭 | ე-ყვარ-ებ-ა | ე-ყვარ-ებ-ა-თ |
- 조건법
단수 | 복수 | |
1인칭 | მ-ე-ყვარ-ებ-ოდ-ა | გვ-ე-ყვარ-ებ-ოდ-ა |
2인칭 | გ-ე-ყვარ-ებ-ოდ-ა | გ-ე-ყვარ-ებ-ოდ-ა-თ |
3인칭 | ე-ყვარ-ებ-ოდ-ა | ე-ყვარ-ებ-ოდ-ა-თ |
- 미래 가정법
단수 | 복수 | |
1인칭 | მ-ე-ყვარ-ებ-ოდ-ე-ს | გვ-ე-ყვარ-ებ-ოდ-ე-ს |
2인칭 | გ-ე-ყვარ-ებ-ოდ-ე-ს | გ-ე-ყვარ-ებ-ოდ-ე-თ |
3인칭 | ე-ყვარ-ებ-ოდ-ე-ს | ე-ყვარ-ებ-ოდ-ე-თ |
- 시리즈 II
- 아오리스트
단수 | 복수 | |
1인칭 | შე-მ-ი-ყვარ-დ-ა | შე-გვ-ი-ყვარ-დ-ა |
2인칭 | შე-გ-ი-ყვარ-დ-ა | შე-გ-ი-ყვარ-დ-ა-თ |
3인칭 | შე-უ-ყვარ-დ-ა | შე-უ-ყვარ-დ-ა-თ |
- 기원법
단수 | 복수 | |
1인칭 | შე-მ-ი-ყვარ-დ-ე-ს | შე-გვ-ი-ყვარ-დ-ე-ს |
2인칭 | შე-გ-ი-ყვარ-დ-ე-ს | შე-გ-ი-ყვარ-დ-ე-თ |
3인칭 | შე-უ-ყვარ-დ-ე-ს | შე-უ-ყვარ-დ-ე-თ |
- 시리즈 III
- 현재완료
단수 | 복수 | |
1인칭 | მ-ყვარ-ებ-ი-ა | გვ-ყვარ-ებ-ი-ა |
2인칭 | გ-ყვარ-ებ-ი-ა | გ-ყვარ-ებ-ი-ა-თ |
3인칭 | ჰ-ყვარ-ებ-ი-ა | ჰ-ყვარ-ებ-ი-ა-თ |
- 과거완료
현재완료에서 -ია의 -ი-가 미완료 표지 -ოდ-로 대체된다.,
단수 | 복수 | |
1인칭 | მ-ყვარ-ებ-ოდ-ა | გვ-ყვარ-ებ-ოდ-ა |
2인칭 | გ-ყვარ-ებ-ოდ-ა | გ-ყვარ-ებ-ოდ-ა-თ |
3인칭 | ჰ-ყვარ-ებ-ოდ-ა | ჰ-ყვარ-ებ-ოდ-ა-თ |
- 완료 가정법
과거완료에서 미완료 표지 -ოდ- 뒤에 -ა 대신 -ეს(1인칭 단수, 복수, 2인칭 단수, 3인칭 단수), -ეთ(2인칭 복수, 3인칭 복수)가 붙는다.
단수 | 복수 | |
1인칭 | მ-ყვარ-ებ-ოდ-ე-ს | გვ-ყვარ-ებ-ოდ-ე-ს |
2인칭 | გ-ყვარ-ებ-ოდ-ე-ს | გ-ყვარ-ებ-ოდ-ე-თ |
3인칭 | ჰ-ყვარ-ებ-ოდ-ე-ს | ჰ-ყვარ-ებ-ოდ-ე-თ |
2.5. 후치사
조지아어의 후치사(Postposition)는 특정한 격을 요구하며, 명사와 붙여쓰는 후치사와 명사의 띄어쓰는 후치사로 나뉜다. 한국어의 조사도 'Postposition'으로 불린다.2.5.1. 붙여쓰는 후치사
후치사 | 요구하는 격 | 뜻 |
-ვით | 주격[11], 여격[12] | ...처럼 |
-ში | 여격[A] | ... 안 |
-თან | 여격[A] | ...에, ...와 함께[15] |
-ზე | 여격[A] | ... 위에, ...에 대해[17] |
-თვის | 속격 | ...를 위해 |
-გან | 속격 | ...에게서 |
-კენ | 속격 | ...를 향해 |
-დან | 도구격[18] | ..로부터 |
-მდე | 부사격[19] | ...까지 |
2.5.2. 띄어쓰는 후치사
다음 후치사들은 모두 속격을 요구하며, 명사와 띄어쓴다.후치사 | 뜻 |
გამო | ...때문에 |
გარდა | ...를 빼고 |
შესახებ | ...에 대해 |
მიერ | ...에 의해 |
გარეშე[20] | ... 없이 |
შემდეგ | (시간) ... 후 |
გვერდით | ... 옆 |
წინ[21] | ...전, 앞 |
წინააღმდეგ | ...에 반대하여, 대항하여 |
უკან | (장소) ... 뒤 |
ქვეშ | ... 아래 |
დროს | ...하는 동안 |
2.6. 부사
형용사에 부사표지를 붙여서 부사어로 만들 수 있다. 예) კირგი > კირგ-ად2.6.1. 부정부사
조지아어는 부정부사 არ를 동사 앞에 붙여 부정문을 만든다.- მე გორში მივდივარ. 나는 고리에 간다.
- მე გორში არ მივდივარ. 나는 고리에 가지않는다.
행위의 가능 여부에 대한 부정(~할 수 없다)에는 부정부사 ვერ를, 부정형 명령문(~하지 마)에는 부정부사 ნუ를 쓴다.
- ვხედავ. 난 본다.
- ვერ ვხედავ. 난 볼 수 없다.
- ნერვიულობ. 넌 긴장한다.
- ნუ ნერვიულობ! 긴장하지 마!
'더 이상 ~하지 않는다'라는 의미의 부정문을 만들 땐 위에 언급된 세 부정부사에 접미사 -ღარ를 붙인다.
- არ > აღარ ~하지 않다 > 더 이상 ~하지 않는다
- ვერ > ვეღარ ~할 수 없다 > 더 이상 ~할 수 없다.
- ნუ > ნუღარ ~하지 마 > 더 이상 ~하지 마
- მძულხარ. 널 싫어해.
- აღარ მძულხარ. 널 더 이상 싫어하지 않아.
- აქ ვარ. 난 여기 있어.
- ვეღარ აქ ვარ. 난 더 이상 여기 있을 수 없어.
- ვითომ ჩემს მიმართ მეგობრულად ხარ. 넌 내게 친한 척 한다.
- ნუღარ ვითომ ჩემს მიმართ მეგობრულად ხარ. 더는 나한테 친한 척 하지 마.
2.7. 수사
2.7.1. 기수사
조지아의 수사는 10진법과 20진법이 혼합된 형태로 다소 복잡하다.1 | ერთი | 6 | ექვსი |
2 | ორი | 7 | შვიდი |
3 | სამი | 8 | რვა |
4 | ოთხი | 9 | ცხრა |
5 | ხუთი | 10 | ათი |
이후 11부터 19를 만들 때는 თ- + 1의 자리 숫자 (-ი는 탈락) + -მეტი와 같이 만든다.
11 | თერთმეტი | 16 | თეკვსმეტი |
12 | თორმეტი | 17 | ჩვიდმეტი |
13 | ცამეტი | 18 | თვრამეტი |
14 | თოთხმეტი | 19 | ცხრამეტი |
15 | თხუთმეტი | 20 | ოცი |
이때 13, 17, 19는 각각 თ + ს = ც, თ + შ = ჩ, თ + ც = ც와 같은 형태다. 또한 სამ-의 მ과 მეტი의 მ이 겹치므로 두 მ 중 하나가 떨어져 나갔다. 8은 რვა지만 18에서는 რ과 ვ 순서가 바뀌어 თვრამეტი가 된다.
21부터는 다소 복잡해진다. 21부터 100까지는 20진법이 사용되는데, 먼저 21부터 39까지는 ოც-და[22] -( )와 같은 방식으로 쓴다.
예) 24 ოც-და-ოთხი, 33 ოც-და-ცამეტი
즉 20+4, 20+13과같이 쓰이는 것이다.
40, 60, 80은 각각 2x20, 3x20, 4x20이므로 각각 ორ-მ-ოც-( ), სა
2.7.2. 서수사
조지아어의 서수사는 첫번째를 뜻하는 პირველი를 제외하고 모두 간단한 규칙을 따른다. 기본적으로 접환사 მე- -ე가 붙으며 기수사 끝에 붙는 모음이 떨어지고 그 자리에 -ე가 붙는다. 다음은 2부터 9까지를 서수사로 쓴 것이다2. მე-ორ-ე, 3. მე-სამ-ე, 4. მე-ოთხ-ე, 5. მე-ხუთ-ე, 6. მე-ექვს-ე, 7. მე-შვიდ-ე, 8. მე-რვ-ე, 9. მე-ცხრ-ექვს
다만 ოცდაცამეტი와 같이 და가 쓰인 경우는 მე-가 და 뒤에 온다
33. ოცდამეცამეტე
[1] Ex.) ძმა(dzma)(형제) → ძმები(dzmebi)(형제들)[2] Ex.)ჩანგალი(changali)(포크) → ჩანგლები(changlebi)(포크들), მეგობარი(megobari)(친구) → ბეგობრის(megobris)(친구의)[3] 단, 이 조건에 해당하는 명사라고 무조건 이 모음 탈락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Ex.)კომპიუტერი(k'omp'iut'eri)(컴퓨터) → კომპიუტერები(k'omp'iut'erebi)(컴퓨터들) 또한, -ა로 끝나는 명사 중에도 이 모음 탈락 현상이 나타나는 명사가 존재한다. Ex.) ქვეყანა(kveqana)(나라) → ქვეყნები(kveqnebi)(나라들)[4] სა- -ო, -ეთი, -ია는 지명을 나타내는 접사이다.[5] 아오리스트 형태인 შეყვარდება는 '~와 사랑에 빠지다'라는 의미의 파생동사이기 때문에 과거형은 미완료 스크리브로 나타낸다.[6] ო 뒤[7] -ი 뒤[8] დ 뒤[9] 아오리스트[10] 대표적으로 계사 არის가 있다. მე ვ-არ, შენ ხ-არ, ჩვენ ვ-არ-თ, თქვენ ხ-არ-თ[11] 자음으로 끝나는 명사[12] 모음으로 끝나는 명사[A] 다만 격표지 -ს는 탈락한다[A] [15] -თან ერთად[A] [17] შესახებ이라는 후치사와 같은 뜻이나 좀 덜 공식적인(less formal) 표현이다[18] 다만 격표지 -თ는 탈락한다[19] 다만 격표지 -დ는 탈락한다[20] უ- -ოდ 형태로 쓰이기도 한다. 예) უჩვენიოდ 우리 없이[21] 다음 사례에서는 명사와 붙여쓰며, 속격 표지 -ის는 탈락한다. თვალწინ 눈 앞, ცხვირწინ 코 앞[22] და는 조지아어로 '그리고'라는 뜻이다.[23] 13과 마찬가지로 მ이 중복되므로 하나가 떨어져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