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28 10:19:21

주노(벽람항로)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이글 유니온 소속 경순양힘}}}에 대한 내용은 [[쥬노(벽람항로)]]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쥬노(벽람항로)#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쥬노(벽람항로)#|]]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글 유니온 소속 경순양힘: }}}[[쥬노(벽람항로)]]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쥬노(벽람항로)#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쥬노(벽람항로)#|]]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주노
HMS Juno
파일:tianhou_dec.png
기본
번호 No.102 등급 RARE
R
세력 파일:황가 로고.png
함종 구축함 일러스트 夢咲楓
원본 함선 J급 구축함 주노 성우 시라카베 사와코
획득 방법
입수 경로 일반해역 드랍[1]
훈장 지원
건조 종류 건조 불가
퇴역 시 획득물
자금: 12, 훈장: 1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파일:AzurLane_KR_Logo.jpg캐릭터
J급 구축함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F00 F46 F53 F61 F72 F85
파일:벽람항로저비스.png 파일:벽람항로주노.png 파일:벽람항로재너스.png 파일:벽람항로재블린.png 파일:벽람항로저지.png 파일:벽람항로주피터.png
저비스 주노 재너스 재블린 저지 주피터
* 윗첨자: 개장 가능한 함선
}}}}}}}}} ||



1. 개요2. 설정3. 성능
3.1. 능력치 / 장비 정보 / 한계 돌파 / 함대 기술3.2. 스킬
4. 스킨
4.1. 조금 맛있는 날
5. 대사6. 애니메이션7. 기타8. 둘러보기

1. 개요

모바일 게임 벽람항로등장인물. 작중 신분은 로열 네이비 소속 구축함이며, 실제 역사 속 영국 소속의 군함 주노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이다.

2. 설정

도시 이름에서 따온 경순양함 주노(벽람항로에서 쥬노)와는 달리 로마 신화의 여신 주노를 어원으로 하고 있다.

3. 성능

보유 스킬이 벨파스트의 연막스킬의 하위호환격인데, 만약 동시에 발동할경우 중첩은 안 되고 높은 쪽 효과만 적용된다. 다만 벨파스트가 가진 방공대미지 감소 효과는 그대로 적용된다. 또한 개막시 한번은 무조건 발동하므로 이동후 운좋게 다른 연막이 깔리면 연막밭을 형성 가능. 문제는 전탄발사 스킬이 제일 쓰레기성능으로 평가되는 전방향 확산형이다. 전탄발사 타이밍이 임의로 가능했다면 놓친 자폭선 잡는데에라도 썼겠지만 시스템상 그러질 못하니 큰 도움이 안된다. 결과적으로 개막에 반드시 발동하는 연막과 디자인보고 취미로 키우는거 말고는 큰 보람을 못 느낄 것이다. 그 개막연막조차 화차식 C급 자매들 풀개장하면 추가돼서 손이 더 가긴 해도 말 그대로 완벽한 상위호환이 탄생해버린다는게 안타까움을 자아낸다.

잠수함 추가에 따라 대잠치가 실장되면서 그나마 애정캐 이외로 쓸곳이 하나 생겼다. 바로 대잠 전용 편성으로 만드는 것.
구축중 대잠치가 높다는 엘드릿지, 매치리스, 머스키티어 정도는 아니지만 구축중에서 상당히 높은 대잠을 갖게 되었다. Z46이나 유키카제에 맞먹고 이 둘에 비해 레어도가 낮아서 연료도 적게 먹는다. 시스템상 장비를 일일이 바꿔다는 것보다 아예 대잠전용팟을 짜놓는게 효율이 좋기 때문에 이때 쓰면 된다. 대잠장비를 달게되면 당연히 내구관련 장비를 못 달게 되는데, 이때 연막스킬이 어느 정도 커버해주는건 덤.

3.1. 능력치 / 장비 정보 / 한계 돌파 / 함대 기술

능력치
(레벨1/호감도50 → 레벨120/호감도100)
내구 248 → 1536 장갑 경(輕) 장전 74 → 201
포격 14 → 76 뇌장 69 → 364 기동 78 → 262
대공 29 → 156 항공 0 명중 71 → 213
대잠 52 → 210 항속 43
행운 40 소모 2 → 8
<colbgcolor=#3871a6> 장비 정보
번호 장비 종류 공격 횟수 (MIN/MAX) 장비 효율 (MIN/MAX)
1 구축함주포 1 / 1 100% / 120%
2 어뢰 1 / 2 135% / 140%
3 대공포 1 / 1 100% / 105%
4 설비 - -
5 설비 - -
한계돌파 효과
{{{#!wiki style="margin: -16px -11px;" 1단계 스킬 습득 - 전탄 발사Ⅰ/ 주포 효율 +5%
2단계 어뢰 발사 수 +1 / 어뢰 탑재량 +1 / 주포 효율 +10%
3단계 전탄 발사 스킬 강화 / 모든 무기 효율 +5% /
설비가 제공하는 기본 스탯 30% 추가 상승
함대 기술
함대 기술점수 획득 돌파MAX Lv.120
4 9 7
함대 추가 능력치 구축함, 미사일 구축함 내구 +1 구축함, 미사일 구축함 대잠 +1 }}}

3.2. 스킬

스킬
연막살포 전투 개시 시 100%, 이후 15초 마다 15(30)% 확률로 5초 동안 지속되는 연막을 살포한다.
  • 연막 범위 내 아군의 회피율이 20(40)% 상승한다.
    동일 종류의 스킬 효과는 중첩되지 않는다.
전탄발사-J급Ⅰ/Ⅱ 자신의 주포로 15(10)회 공격할 때마다 전탄발사(J급Ⅰ/Ⅱ)를 전개한다.

4. 스킨

4.1. 조금 맛있는 날

파일:1024px-JunoFestival.png
획득경로 스킨 소개 #
"중앵의 축재, 재미있어요! 지휘관, 아카시 씨의 타코야키는 어떠세요? 매우 맛있다고 들었어요?"



2019년 8월 17일 공개된 스킨. 게임 내에는 다른 유카타 스킨들보다 일주일 빨리 추가되었다. 미니게임을 클리어하면 받을 수 있는 스탬프를 14개 모으면 얻을 수 있다.

희한하게도 스킨인데 일러상에서 다른 캐릭터인 아카시가 대놓고 그려져 있다는 것이 특징. 보통 다른 캐릭터는 어디 달고 다니는 데포르메 인형 같은 모습으로 그려지는 것과는 대조적이다.[2] 여담으로 아카시가 파는 타코야키 가격이 50다이아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보면 50 뒤에 0이 하나 더 흐릿하게 쓰여있는 것이 보인다. 표정도 악덕상인이 바가지 씌우려는 기색이 역력하다. 동작 그만 밑장 빼기냐

5. 대사

6. 애니메이션

6.1. 아주르 레인 THE ANIMATION

6화의 식당에서 동명함과 함께 밥을 먹으며 등장하였다. 눈깜빡할 사이의 모습이었지만 팬들은 애니 등장 및 커플링에 환호했다.

사실 1화에서 웨일즈와 클리브랜드가 등장하는 초반 장면에 쥬노와 함께 나오는 게 먼저이기는 하다.

7. 기타

성능은 평범한 구축함이지만 경순양함 쥬노와 헷갈려서 키우는 경우가 번번하다. 성우까지 달려있고 입수난이도가 훨씬 쉽기 때문에 더더욱 헷갈리는 편. 환장하게도 둘 다 같은 사람이 그렸다. 이전엔 '성우가 없는 쪽이 연습전 쥬노'라고 구분하기도 했지만 2018년 1월 경순 쥬노에게도 성우가 배정되면서 이것도 옛말이 되었다.

같은 J급 구축함이라서 주인공함 재블린과 복장이 많이 비슷하다. 머리의 왕관 비슷한 장식도. 자매함이니까 당연하다고 볼 수 있겠으나, 로열 소속 함선들은 자매함이 아닌 '클래스메이트'로 엮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3] 재블린과 자매 관계인지는 불명이다.

모티브 때문인지 호감도 대사가 "유노라고도 하지만 질투하지는 않는다고요?" 란게 있는데, 여기에서 볼 수 있듯 질투 속성은 크게 반영되지 않았다. 이에 대해 옆동네의 를 떠올리신 분들도 있으리라. 마침 둘 다 대잠관련에 유용하다는 것도 비슷하고.. 그 대신으로 이쪽의 주노는 각종 대사들로 보건대 지휘관에 대한 의존과 애정이 묘하게 무거운 느낌을 준다. 같은 J급 구축함인 재블린이 지휘관에게 메가데레 하면서도 자신감은 강한 것과는 대조적.

대사를 보면 파스타를 싫어하고 구축함 '저지'와는 친한 사이인 모양이다. 파스타 기믹은 그녀가 이탈리아 항공기의 공격을 받고 침몰했기 때문인 것으로 짐작된다.

게임 서비스 초기부터 존재한 캐릭터로 일러스트도 한번 리뉴얼된 적이 있다.

8. 둘러보기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007FFF,#0060BF><bgcolor=#007FFF,#0060BF>
||<tablealign=center><tablewidth=300><tablebordercolor=#007FFF,#0060BF><tablebgcolor=#007FFF,#0060BF><width=40%>
파일:벽람항로 로고 배경 무색.png
||<width=60%>
벽람항로
함종별 캐릭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함종 함선
<colcolor=#FFF> 구축함 벽람항로/구축함
경순양함 벽람항로/경순양함
중순양함·대형순양함·모니터함 벽람항로/중순양함·대형순양함·모니터함
순양전함·전함·항공전함 벽람항로/순양전함·전함·항공전함
경항공모함·항공모함 벽람항로/항공모함·경항공모함
운송함·공작함 벽람항로/운송함·공작함
범선ㆍ잠수함·잠수항모 벽람항로/범선·잠수함·잠수항모
}}}}}}}}}


[1] 2-1、3-4、5-3、6-2、9-3、10-3、12-1[2] 호놀룰루의 스킨인 '둘만의 밤'에서도 이런 사례가 적용됐다.[3] 대표적으로 퀸엘과 워슾은 실제 역사에선 자매함이지만 벽람에서는 클래스메이트란 설정(인게임은 아니지만 공식 코믹스에서 밝혀졌다)이고, 이 외에도 C클래스 구축함들(시그넷, 크레센트, 코멧)은 복식은 자매함급으로 비슷하나 서로를 자매로 인식하는 대사가 일절 없으며, G급 구축함들(글로우웜, 그렌빌)과 H급 구축함들(하디, 헌터)은 아예 복식마저도 서로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