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31 05:36:54

중기왕 드보크 자크

중기왕 드보크 자크
파일:DigvorzhakKingofHeavyIndustry-JP-Anime-ZX-NC.png
바위를 부수는 강철의 팔! 나와라, 이몸의 몬스터 엑시즈! 「중기왕 드보크 자크」!
岩をも砕く鋼鉄の腕! いでよ、オレ様のモンスターエクシーズ!「重機王ドボク・ザーク」!

-유희왕 ZEXAL유아츠 쇼베-
1. 개요2. 설명
2.1. 원작2.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2.2.1. 수록 팩 일람

1. 개요

유희왕의 엑시즈 몬스터 카드.

2. 설명

2.1. 원작

파일:DigvorzhakKingofHeavyIndustry-JP-Anime-ZX.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 명칭=중기왕 드보크 잭,
일어판 명칭=<ruby>重機王<rp>(</rp><rt>じゅうきおう</rt><rp>)</rp></ruby>ドボク・ザーク,
영어판 명칭=Digvorzhak\, King of Heavy Industry,
레벨=5, 속성=땅, 종족=기계족, 공격력=3200, 수비력=2000,
소재=레벨 5 몬스터 × 3,
효과1=1턴에 1번\,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상대의 덱 위에서 카드를 3장 묘지에 보낸다. 이 효과로 묘지에 보낸 카드 중 몬스터 카드가 있었을 경우\, 그 수만큼 상대 필드 위의 몬스터를 파괴한다.)]

유희왕 ZEXAL에서 유아츠 쇼베츠쿠모 유마와의 듀얼 중 사용. 엑시즈 소환 직후 자신의 효과로 유마의 덱을 갈아서 2장의 몬스터[1]가 나오자 유마의 가가가 매지션, 프리 프리스트를 파괴했다. 그대로 직접 공격에 들어갔지만 유마가 발동한 작은 저항의 효과로 프리 프리스트의 공격력만큼 공격력이 깎이면서 듀얼을 끝내는 데에는 실패했다.[2]

그래도 유마의 LP를 100까지 깎아냈지만, 주변의 공사장을 지켜보던 아스트랄의 조언으로 깨달음을 얻은 유마가 거대한 파워 또한 작은 부품에서 비롯된다라고 반박하면서 발동한 미니멈 거츠에 의해 공격력이 0이 되면서 공격력 300의 크리볼트에 의해 공격당하며 파괴된다. 그리고 쇼베는 미니멈 거츠의 효과로 드보크 잭의 공격력인 3200의 데미지를 받아서 패배했다. 작중에서 쇼베가 강조한 '파워'를 내세운 에이스 몬스터였지만, 유마의 말대로 자랑하던 파워가 독이 된 셈이다.

효과명은 '마운틴 크러셔(マウンテンクラッシャー / Mountain Crusher)', 공격명은 '얼티미트 버킷휠(アルティメット・バケットホイール / Ultimate Bucket Wheel)'.

카드명의 '도보쿠(土木)'는 '토목'을 뜻하며, '드보크 자크'이라는 이름은 '안토닌 드보르자크'의 패러디로 보인다. 영어판 명칭에서는 땅 판다는 의미의 dig를 갖다붙여놨다.

2.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파일:attachment/중기왕 드보크 잭/Digvorzhak.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 명칭=중기왕 드보크 자크,
일어판 명칭=<ruby>重機王<rp>(</rp><rt>じゅうきおう</rt><rp>)</rp></ruby>ドボク・ザーク,
영어판 명칭=Digvorzhak\, King of Heavy Industry,
레벨=5, 속성=땅, 종족=기계족, 공격력=3200, 수비력=2000,
소재=레벨 5 몬스터 × 3,
효과1=①: 1턴에 1번\,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상대의 덱 위에서 카드를 3장 묘지로 보낸다. 이 효과로 묘지로 보낸 카드 중에 몬스터 카드가 있을 경우\, 그 수까지 상대 필드의 카드를 파괴한다.)]
레벨 5 몬스터 3장을 손쉽게 뽑을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사이버 드래곤이나 인스턴트 퓨전, 암흑계때문에 아주 어렵지는 않다. 바이스 드래곤이나 태양의 신관지옥의 폭주소환을 사용하면 나름대로 쉽게 엑시즈 소환할 수 있다.

효과는 일단 몬스터만 파괴할 수 있었던 원작과는 달리 카드의 종류를 가리지 않고 파괴할 수 있게 되었지만 애매하다. 상대 덱 3장을 까기 위해서 소환하기는 아까우니 파괴 효과를 노려야 하는데, 알다시피 이런 건 운에 상당히 의존하는데다가, 묘지에서 발동하는 효과의 카드들이 늘어난 탓에 괜히 상대의 덱을 덤핑하는 건 자살행위가 될 수 있다. 일단 파괴 효과가 대상을 지정하지 않는 것과, 공격력은 3200이니 고타점 몬스터를 잡기 위해 투입할 가치는 있을지도 모른다.

2015년 여름 들어서 100엔도 안 되던 이 카드가 1천엔 이상으로 가격이 뛰었는데, 랭크 5 엑시즈 몬스터라서 테라나이트 프톨레마이오스를 거치면 소환이 어렵지 않고 마술사가 티어 권으로 올라왔으며 또한 이 카드는 3000을 능가하는 준수한 타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채용률이 올랐기 때문이다. 실제로 마술사 덱은 몬스터의 비중이 높으며, 펜듈럼 몬스터라 묘지에서의 활용이 제한되기 때문에 상대의 덱을 까는 디메리트도 의미가 크다. 허나 이렇게 주목을 받기 시작하려는 순간 테라나이트 프톨레마이오스가 금지를 먹어 다시 나락에 떨어졌다(...).

컨셉도 겹치고 속성과 종족이 일치하는데다 덱 특성 상 고랭크 엑시즈가 손쉬운 무한기동이라는 카드군이 등장하면서 함께 써볼 만해졌다.

국내에서는 프리미엄 팩 13에 등장했다.

2.2.1.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2011-10-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VE06-JP003 | V JUMP EDITION 6
2012-09-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YCSW-EN005 | Yu-Gi-Oh! CHAMPIONSHIP SERIES 2012
2016-03-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GL3-EN064 | PREMIUM GOLD: INFINITE GOLD
2019-03-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NCH-EN050 | THE INFINITY CHASERS
2018-08-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P13-KR021 | 프리미엄 팩 Vol.13

[1] 고고고 골렘, 고블린드버그.[2] 이 때 함정 카드를 발동하라는 아스트랄의 목소리가 공사장 중장비의 소음에 막히는 바람에 듣지 못한 유마는 자기가 뒤집어 놓은 카드도 못쓰고 그대로 패배할 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