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0 22:36:35

짧은코가시두더지

짧은코가시두더지
澳洲针鼹 | Short-beaked echidna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Tachyglossus_aculeatus_side_on.jpg
학명 Tachyglossus aculeatus
Shaw, 1792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 Animalia
척삭동물문 Chordata
포유강 Mammalia
단공목 Monotremata
가시두더지과 Tachyglossidae
짧은코가시두더지속 Tachyglossus
짧은코가시두더지 T. aculeatus
아종
[ 펼치기 · 접기 ]
* 짧은코가시두더지(T. a. aculeatus)
  • 타키글로수스 아쿨레아투스 아칸티온(T. a. acanthion)
  • 타키글로수스 아쿨레아투스 라웨시(T. a. lawesii)
  • 타키글로수스 아쿨레아투스 물티아쿨레아투스(T. a. multiaculeatus)
  • 타키글로수스 아쿨레아투스 세토수스(T. a. setosus)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최소관심.svg

1. 개요2. 상세3. 국내 보유 현황

[clearfix]

1. 개요

가시두더지의 일종으로, 알을 낳고 젖을 먹이는 단공류 동물이다. 짧은코가시두더지의 단일종이다.

2. 상세

이름에 두더지가 들어가는 반면 두더지가 아니다. 두더지의 일종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원수아강인 짧은코가시두더지와 수아강인 두더지는 그 거리가 매우 멀다. 가시가 있어 비슷하게 생긴 고슴도치와도 다르며, 오히려 두더지와 고슴도치는 같은 수아강인 인간이랑 더 가깝다. 번식기를 빼면 단독생활을 하며 호주파푸아뉴기니, 인도네시아 일부에 분포한다.

개미핥기와 같이 발달된 혀로 개미나 흰개미 같은 작은 벌레를 핥아먹는다.

3. 국내 보유 현황

서울대공원의 남미관의 모래 사육장에 보유 중인데[1] 야행성인데다가 모래 속에 있어서 사육사와 자원봉사자 이외에는 본 사람이 거의 없다고 한다. 또한 개체수 확인 역시 거의 불가능하다.[2] 남미관 입구의 보유 동물표시와 공식 홈페이지, 공유하는 문서를 보면 있기는 하다. 분류상 정리종이다.


[1] 방사거북, 나무늘보가 있는 사육장에 있다.[2] 잠깐 동안 2마리가 있었는데, 한 마리가 폐사해 2020년 기준 암컷 한 마리가 생활하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