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산업 특성화대학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반도체 | 수도권 | <colbgcolor=#fff,#191919> 단독형 | <colbgcolor=#fff,#191919> |
동반 성장형 | < | |||
비수도권 | 단독형 | |||
동반 성장형 | < | |||
이차전지 | ||||
바이오 |
1. 개요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주관하며, 대학이 산업계 수요에 기반한 첨단산업 인재를 키울 수 있도록 정부가 교원 확충, 실험·실습 기반 시설 조성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2022년 7월 정부가 발표한 '반도체 관련 인재 양성 방안'의 후속 조치로 2023년부터 시작되었다. 2023년 서울대, 성균관대 등 8곳을 선정하였고 2024년에는 기존 반도체에 이차 전지 분야를 추가해 반도체 분야 9개, 이차 전지 분야 3개 대학 및 연합체를 새로 선정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사업명인 '반도체 특성화대학'에서 '첨단산업 특성화대학'으로 사업명도 바뀌었다.
2025년에는 반도체, 이차전지 분야 추가 선정과 함께 바이오 분야를 추가하여 신규 대학을 선정하였다.
구체적인 사항은 기사를 참조바란다.
2. 계획
2.1. 반도체
- 수도권
- 단독형
가천대학교 : 반도체대학 반도체공학과
광운대학교 : 전자정보공과대학 반도체시스템공학부 반도체시스템공학전공
서강대학교 : 공과대학 반도체공학과
서울대학교 : 첨단융합학부 차세대지능형반도체전공
성균관대학교 : 정보통신대학 반도체융합공학과
연세대학교 : 인공지능융합대학 첨단융합공학부 지능형반도체공학전공
중앙대학교 : 창의ICT공과대학 지능형반도체공학과
- 동반 성장형
- 비수도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