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2 17:32:11

최병호(1957)

파일:지방의회 휘장_White.svg
울릉군의회의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제1대 의회 제2대 의회 제3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제3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이상인 최수일 이중철 정규화
제4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제4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제5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제5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최수일 황중구 신봉석 이용진
제6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제6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제7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제7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김병수 최병호 이철우 정성환
제8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제8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제9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제9대 의회{{{#FFF {{{#!wiki style="padding: .5px 1.5px; border: 1px solid #FFF;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 font-size: .8em"
정성환 최경환 공경식
}}}}}}}}} ||

<colbgcolor=#404a9e><colcolor=#fff> 제6대 후반기 울릉군의회의장
최병호
崔炳浩
파일:최병호(1957).jpg
출생 1957년 2월 8일 ([age(1957-02-08)]세)
경상북도 울릉군 북면 현포리
학력 울릉종합고등학교[1] (졸업)
현직 제9대 울릉군의회의원
병역 육군 제1중건설공병단 병장 만기전역
(1978년 8월 17일 ~ 1981년 5월 21일)[2]
소속 정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3]
지역구 경상북도 울릉군 나선거구 (·북면)
군의원 선수 4
군의원 대수 4, 5, 6, 9
소속 위원회 -[4]
약력 제4·5·6대 울릉군의회의원 (울릉군 나)
울릉경찰서 행정발전위원회 위원
제4·5대 울릉군의회 전·후반기 부의장
제6대 울릉군의회 후반기 의장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생애3. 선거 이력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정치인, 기초의원.

경상북도 울릉군의회 의원으로, 선거구는 울릉군 나선거구(서면·북면)이며 무소속이다.

2. 생애

1957년 2월 8일 경상북도 울릉군 북면 현포리에서 태어났다. 울릉종합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1978년 8월 17일 육군에 입대하여 제1중건설공병단에서 차량정비병으로 복무했고, 1981년 5월 21일 병장으로 만기전역하였다. 이후 토건업 및 농업에 종사하였고, 현포리 어촌계장, 현포1리 이장을 지냈다.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제4대 경상북도 울릉군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무소속 이철우 후보를 단 65표(6.61%p) 차이로 꺾고 당선되었다.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경상북도 울릉군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한나라당 신봉석 후보에 이어 2위로 당선되었다.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경상북도 울릉군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1위로 당선되었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경상북도 울릉군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박인도 후보, 새누리당 이철우 후보에 밀려 3위로 낙선하였다.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자유한국당 후보로 경상북도 울릉군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자유한국당 박인도 후보, 무소속 이상식 후보에 밀려 3위로 낙선하였다.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경상북도 울릉군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1위로 당선되었다.

3. 선거 이력

<rowcolor=#fff>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2002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북 울릉 북면

[[무소속(정치)|
무소속
]]
524 (53.30%) 당선 (1위) 초선
2006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북 울릉 나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623 (27.67%) 당선 (2위) 재선
2010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896 (39.43%) 당선 (1위) 3선
2014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649 (27.38%) 낙선 (3위)
2018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722 (30.67%)
2022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무소속(정치)|
무소속
]]
799 (37.95%) 당선 (1위) 4선
역대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최병호 3회 지선.jpg
파일:최병호 4회 지선.jpg
3회 지선 (경북 울릉군 북면) 4회 지선 (경북 울릉군 나선거구)
파일:최병호 5회 지선.jpg
파일:최병호 6회 지선.jpg
5회 지선 (경북 울릉군 나선거구) 6회 지선 (경북 울릉군 나선거구)
파일:최병호 7회 지선.jpg
파일:최병호 8회 지선.jpg
7회 지선 (경북 울릉군 나선거구) 8회 지선 (경북 울릉군 나선거구) }}}}}}
3회 지방선거 때부터 줄곧 울릉군의회의원 선거에 한번도 빠짐없이 참여해오고 있다. 무소속으로 당선되 군의원 활동을 시작한 이후 한나라당에 입당해 출마했을 때는 전승하였으나, 이후 새누리당자유한국당 시절에는 이 지역 초강세 정당의 후보였음에도 연거푸 낙선했다.[5] 8회 지방선거 이전에 탈당하여 무소속 후보로 재도전한 끝에 1위로 당선되며 4선 군의원으로 복귀했다. 선거 여정 면에서 여러모로 가선거구의 정인식 군의원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1]울릉고등학교[2] 병무청 공직자등의 병역사항열람 참조.[3]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소속이었으나 탈당.
[4] 울릉군의회는 전국에서 의원 재적수가 가장 적은 기초의회로, 별도의 상임위원회를 운영하지 않는다.[5] 울릉군 나선거구가 2명을 선출하는 선거구였는데, 같은 당 후보와 무소속 후보에 이어 두 번 연속 3위를 기록하며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