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9 15:15:05
1. 개요2. 유래3. 국악4. 힙합5. 그 외 중간에 음악에 변화를 주거나 음악에 호응을 얻게 만들기 위해서 넣는 소리.
특히 국악의 판소리와 풍물놀이계, 힙합 음악에서 많이 사용되는 음악효과 중 하나다.
가장 먼저 사용된 기록은 없지만 아마 초기부터 존재했던 일종의 쇼맨쉽이 최초라고 추측된다.
추임새의 어원은 '추어주다'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는데 '추어주다'는 '정도 이상으로 칭찬해주다'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국악 중 민속악을 듣다 보면 중간에 어허이, 얼쑤!, 좋다! 라고 하는 부분이 있다.3.1. 주로 사용되는 음
- 얼쑤
- 아이
- 그렇지
- 아~
- 뿌득
- 음~
- 좋다!
- 얼씨구
- 절씨구
- 뿌
- 지화자
- 이야, 허이야
- 에헤라 디야
- 에루화
- 에헤애
- 에헤라
- 으이
- 니나노
- 이럇
- 이랴차
- 뿌드득
- 뿌직
국악과 비슷하게, 혹은 더 많이 사용된다. 일반인들도 잘 아는 것으로는 Skrr, Yo 등이 있다.
옆에서 호응하고 장단 맞추는 리액션이라는 의미로도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