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틀제왕 | |||||
{{{#!folding ▼ | 둘러보기 틀 모음 | ||||
1~10대 | |||||
1대 | 2대 | 3대 | 4대 | 5대 | |
★ | ★ | ★★ | ★★ | ★★ | |
6대 | 7대 | 8대 | 9대 | 10대 | |
★★ | ★★★★ | ★ | ★ | ★ | |
11~20대 | |||||
11대 | 12대 | 13대 | 14대 | 15대 | |
★ | ★★ | ★ | ★★ | ★ | |
16대 | 17대 | 18대 | 19대 | 20대 | |
★ | ★★★ | ★ | ★ | ★★★★★ | |
21~30대 | |||||
21대 | 22대 | 23대 | 24대 | 25대 | |
★ | ★★★ | ★ | ★★ | ★★★★★ | |
26대 | 27대 | 28대 | 29대 | 30대 | |
★ | ★★★★★ | ★ | ★★★★★ | ★★★ | |
31~40대 | |||||
31대 | 32대 | 33대 | 34대 | 35대 | |
★★★ | ★★★★★ | ★ | ★★ | ★★ | |
36대 | 37대 | 38대 | 39대 | 40대 | |
★ | ★★★ | ★★★ | ★ | ★★★★ | |
41~50대 | |||||
41대 | 42대 | 43대 | 44대 | 45대 | |
★ | ★★★ | ★★ | ★★ | ★ | |
46대 | 47대 | 48대 | 49대 | 50대 | |
★★ | ★★★ | ★ | ★★ | ★★ | |
51~60대 | |||||
51대 | 52대 | 53대 | 54대 | 55대 | |
★★★★★ | ★★ | ★★ | ★ | ★★★★ | |
56대 | 57대 | 58대 | 59대 | 60대 | |
★★★★ | ★ | ★★ | ★ | ★★ | |
61~68대 | |||||
61대 | 62대 | 63대 | 64대 | 65대 | |
★★★ | ★ | ★★★ | ★★★★ | ★★★ | |
66대 | 67대 | 68대 | |||
★ | ★ | ★★ | |||
특별회차 배틀제왕 | |||||
1호 | 2호 | 3호 | 4호 | ||
| | | | }}} |
| ||
<colbgcolor=#eeeeee,#191919> 이름 | 카니지 | |
구호 | 영파워는 멈추지 않는다! | |
파일럿 | 박주일 | |
소속 | 인천기계공고 메카트로닉스 | |
차체 형태 | 수평회전 블레이드형 | |
배틀제왕 재임/최대 연승 | 제 60대 / 2연승 | |
승률 | 12전 7승 5패 0.583 | |
출전 | <colbgcolor=#eeeeee,#191919> 배틀제왕전 | 제 176회-제 177회,제 179회 / 제 60대 배틀제왕 |
기타 | 제 6회 대한민국 로봇대전 제 7회 대한민국 로봇대전 제 2회 고교로봇대전 |
[clearfix]
1. 역사
제2회 고교 로봇대전에서 첫 선을 보였다. 베놈과의 경기에서 단 두 타 만에 베놈의 블레이드를 빼버리는 위력을 보였지만 카니지에게도 반동이 심했던 나머지[1] 작동중지로 패배하는 아쉬운 모습을 보였다.이후 소식이 없다가 176회에서 블레이드의 재질을 알루미늄에서 탄소강으로 변경하고 중앙 부분을 비워 무게를 줄여서 원심력을 극대화한 형태로 재등장했으며, 휴이2와의 대결에서는 휴이2를 단 2방만에 ko시키고,캡틴[2]과의 대결에서는 캡틴의 상판을 뜯어내고 연결 케이블을 다 뜯어버리는 무지막지한 공격력을 보여주면서 2경기 다 1분 이내에 끝나는 모습을 보여줌과 동시에 배틀제왕전에 진출했다.
배틀제왕전이 시작되자 그 당시 배틀제왕이었던 REX2가 돌출물에 끼인 틈을 타 REX2의 좌측 바퀴를 손상시켰고, 계속 좌측 바퀴만 집요하게 노려서 REX2를 작동중지 상태로 만들며 로열로더 배틀제왕에 입성했다. 그 후 인빅투스의 모터를 단 한 번에 박살내며 가볍게 2연승에 성공했다.
다만, 탄소강 특유의 연성으로 인해 블레이드로 만들기에는 다소 문제가 있었는데, 경기가 너무 빨리 끝나다 보니 단점이 부각되지 않았지만 다음 도전자와의 경기에서 결정적인 패인이 되고 만다.
3연승 때 도전자인 트라이앵글에게 맹공을 가해 상판을 깨트렸지만, 트라이앵글의 강력한 맷집으로 인해 블레이드가 휘어버리면서 구동 벨트를 끊어버렸고, 공격능력이 상실된 것을 노린 트라이앵글의 역습으로 이어져 꿀장군에게 타격을 받으면서 판정패로 배틀제왕에서 내려오게 되었다.[3]
이후 다시 로봇파워에 출전해서 등록금9을 상대로 팽팽하게 싸우다 등록금9의 무기 구동벨트 1개를 끊어낸 직후 화재가 발생하면서 실격패했고, 제6회 대한민국 로봇대전에서 리뉴얼을 거치면서 T-wing을 연상케 하는 형태로 바뀌었지만 예선에서 탈락했다. 이후 고고씽2를 닮은 원래 차체로 복귀해 제7회 대한민국 로봇대전에도 출전했지만 포스와의 대결에서 바퀴가 빠져버리고 화재까지 발생하면서 예선탈락했다.
2. 여담
- 이름은 스파이더맨의 카니지에서 따온 것이다. 색깔이 빨간색인 것을 보면 이미 확실하다.
- 고고씽2를 위시한 형태[4]로 신조된 마지막 로봇이다.[5] 경사진 바퀴의 효과가 미미하다는 것이 밝혀져 리뉴얼되며 수직 바퀴로 바뀌는 시기에 등장했는데도 말이다.
- 신베놈의 초기 모습과 상당히 비슷하게 생겼는데, 설계가 같을 수도 있다.
[1] 첫 타격 후 블레이드의 속도가 눈에 띄게 느려지는 등 정상적인 상태는 아니었다.[2] 176회 대회 당시 캡틴의 마지막 출전임을 밝혔다.[3] 참고로 이것이 인천기계공고의 마지막 배틀제왕이고, 결국 마지막까지 3연승은 물 건너갔다.[4] 런지와 런지 블레이드의 형태 두대의 로봇을 합친 기반으로 무기는 런지블레이드, 바퀴를 런지처럼 경사지게 부착한 형태를 말한다.[5] 정규전 등장이 더 늦은 햇귀의 경우 첫 출전이 제 5회 대한민국 로봇대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