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13 11:23:13

크랙



1. 사전적 의미2. 프로그램3. 마약의 일종4. 축구용어5. 가면라이더 가이무의 용어6. 영화

1. 사전적 의미

Crack; a line on the surface of something along which it has split without breaking into separate parts.

깨다, 부수다, 균열 등의 의미를 가진 단어다.

2. 프로그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크랙(프로그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마약의 일종

파일:crack_cocaine.jpg

순수한 코카인베이킹 파우더 등의 약염기를 사용해 프리베이스(free base)[1] 형태로 전환한 후 덩어리 형태로 굳힌 것이다. 1981년 로스앤젤레스에서 처음 제조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보통 가루 자체를 코로 흡입하는 코카인과는 달리 가열해 연기를 흡입한다. 순수한 크랙은 불투명한 하얀색이나 옅은 노란색이며 거칠고 들쭉날쭉한 결정이다. 모르고 보면 감자칩 부스러기와도 닮았다.

일반적으로 판매되는 코카인은 주사액이나 비점막에 잘 녹게 하기 위해 산(acid), 주로 염산을 첨가해 염(salt)의 형태로 만든다[2]. 그러나 염 형태로 만들 경우 물에는 대단히 잘 녹지만 가열하면 증발하는 것이 아니라 타버리기 때문에 흡연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한데, 이를 해소하기 위해 약염기와 함께 물에 녹인 후 가열해 염에서 산을 떼어낸 것이 크랙이라고도 부르는 프리베이스 코카인이다. 크랙은 염산코카인 결정과는 다르게 탁한 흰색의, 물에 녹지 않는 고체이며 가열할 경우 증발하기 때문에 흡연용으로 적합하다. 흡연할 때는 미국의 일부 편의점이나 주유소에서 판매하는 러브 로즈를 이용한다. 피울 때는 딱딱거리는 소리(cracking sound)가 난다. 여기서 crack이라는 이름이 유래된 것으로 추정.

가장 "고급" 마약인 코카인을 저렴하게 접할 수 있다는 장점(?)과 코카인 특유의 강력한 고양감 때문에 엄청난 인기를 얻으며 미국 사회 전체에 널리 퍼졌다. 미국의 마약과의 전쟁의 역사는 크랙의 등장 전과 후로 나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1980년대 후반에 크랙 1병 가격이 20달러에 불과했으며 미국 전체 고교생 18명 중 1명이 크랙을 피운 경험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올 정도였다.

크랙을 피우면 (코카인이므로) 뇌의 도파민 분비가 급격히 치솟으며 안온감과 자신감 등의 고양감을 느끼게 된다. 크랙의 특징은 이 고양감이 매우 짧다는 것으로, 5분, 길어야 10분만에 고양 상태가 끝나고 우울감에 빠지게 된다. 거기다가 일반적으로 코카인을 투여하는 방식인 코 흡입의 경우 비점막에 약이 흡수되어 서서히 퍼져나가기 때문에 효과가 오는 데만 몇 분이 걸리고, 그 느낌이 상대적으로[3] 오래 지속되다가 서서히 사라지는 반면, 크랙은 증기를 바로 흡입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흡연 즉시 효과가 오고, 그것이 몇 분 안 지나 바로 끊기게 된다. 이렇다 보니 중독자는 보통 그 느낌을 놓치지 않으려고 계속해서 많은 양의 크랙을 피워대게 된다. 이런 특성 때문에 크랙의 의존성("중독성")은 극히 강하다. 게다가 가격도 타 마약류에 비하면 비교적 저렴하므로 동네 양아치들까지 팔고 있을 정도라, 구하기도 어렵지 않다. 이러니 미국 내에서 거래되는 크랙의 양은 엄청날 수밖에 없다.

보통 길거리에서 크랙을 매매하는 사람들은 위화제[4]를 사용해 양을 늘린다. 영어에서 마약을 "컷(cut)"[5]한다고 하는게 바로 위화제를 섞어 양을 불리는 것을 뜻한다. 미국/캐나다에서 제조하는 크랙 코카인은 레바미솔[6]을 많이 사용한다(2008~2009년 미 마약단속국의 조사시 69%로 밝혀졌다). 레바미솔은 과량 사용하면 백혈구 감소증이나 무과립구증을 일으켜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한다. 특히 혈관염과도 관계가 있으며 실제로 혈관염성 피부 괴사증을 일으킨 환자 2명이 이 레바미솔을 사용한 크랙을 사용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이처럼 가장 중독성이 강한 마약중 하나이면서도 불순물을 섞어 양을 뻥튀기하기 쉬운 덕에 가격이 저렴해서 문제가 크다. 이러한 점 때문에 서양에서는 일할 능력이 없는 청년들이 애용하는 마약 중 하나이며, 이들이 크랙을 할 돈을 조달하기 위해 범죄행위(주로 소매치기, 매춘)를 저지르고 있어 큰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 일례로 크랙 값을 조달하기 위해 매춘을 하는 사람인 크랙 매춘부(crack whore)라는 신조어가 생겼을 정도다.

브라질에서도 이 크랙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고 중독자들이 거리에 모여 살기 시작하면서 크라콜란지아라는 이름까지 붙을 정도로 중독자들에게 점령이 되어 버린 길과 공원들이 있다고 한다.#

4. 축구용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크랙(축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가면라이더 가이무의 용어

헬헤임의 숲과 지구를 오갈 수 있는 통로. 대개 자연적으로 발생하고 지퍼의 모양을 한다.[7]스티키 핑거즈! 그 발생 빈도는 자와메 시가 가장 높아 이그드라실 코퍼레이션이 자와메 시에 머물 수 있는 이유를 제공했다.

이그드라실 쪽에서도 이걸 들키면 상당히 골치아파지니 일반인들에게 들키는 순간 이걸로 자와메 시 자체를 깡그리 태워버릴 생각을 하고 있다. 이는 카즈라바 코우타가 시스템 자체를 파괴해서 무산됐지만….

센고쿠 드라이버게네시스 드라이버로 변신 시에 인공적으로 크랙을 생성하며 여기서 각 암즈에 맞는 과일모양의 갑옷이 나온다.[8] 그 외에 록 비클로도 갈수 있는 모양. 다만 이는 드라이버의 기능이 아니라 록시드의 기능으로, 비트 라이더즈들이 인베스 게임을 할때 록시드만 써서 크랙을 열고 인베스를 꺼내는 장면이 그 예다.

본편 외의 극장판에서 다른 크랙이 등장하는데 무신 가이무가 여는 크랙은 금색이며 센고쿠 시대로 가는게 가능하다.[9]피프틴이 여는 크랙이 있는데 이쪽은 보라색에 뼈를 연상시키는 섬뜩한 모양. 어디로 가는지는 불명이다.

6. 영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크랙(영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코카인 같은 아민 화합물은 수소 이온이 결합하지 않은 염기 형태와 수소 이온이 결합한 짝산 형태를 오갈 수 있는데, 수소 이온이 결합하지 않은 염기 형태를 프리베이스라고 한다.[2] 알칼로이드 계열 약물은 흔히 이런 식으로 가공해 물에 잘 녹게 한다.[3] 어디까지나 상대적으로. 코카인은 마약 중에서도 특히 지속 효과가 짧기로 악명이 높다.[4] Adulterant; 식품의 중량이나 용량을 늘리기 위해 사용하는 비영양성 물질을 칭한다. 여기서는 크랙의 양을 늘리기 위해 섞는 다른 불순물[5] 신용카드나 면도칼 등으로 위화제와 마약을 바닥에 깔아놓고 썰듯이 섞기 때문에 그렇다.[6] levamisole, 인간/가축의 합성 구충제로 사용되던 물질. 현재는 주로 소/돼지/양의 구충제로 사용[7] 심지어 열리는 소리 조차도 지퍼소리다.[8] 숲에서 변신하면 그냥 공중에 갑옷만 생성된다.[9] 우리가 아는 그 센고쿠 시대가 아니다. 이 항목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