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2-04-13 10:25:33

키노세마 해전

1. 개요2. 대재앙 이후3. 민다로스의 도전4. 키노세마 해전
4.1. 양군의 구성과 전열, 계획4.2. 교전4.3. 결과
5. 기타

1. 개요

키노세마[1] 해전(Battle of Cynossema, 411 BC)은 펠로폰네소스 전쟁 후반기에 일어난 주요 해전 중 하나로, 시칠리아에서 재앙을 맞이하여 크게 사기가 떨어졌던 아테네 함대가 펠로폰네소스 동맹군 함대와의 교전에서 우위를 점한 해전이다. 이 해전은 아비도스 해전키지코스 해전으로 이어지는 마르마라 해의 제해권을 다툰 일련의 교전들의 시작이라 할 수 있다.

2. 대재앙 이후

이 소식(시칠리아 원정의 실패)이 아테네에 전해지자, 사람들은 현장에서 직접 도주해온 병사들에게 정확한 보고를 받고도 한동안 믿으려 하지 않았다. 그들은 자신들의 군대가 전멸했다는 것을 믿을 수 없었던 것이다. 그 뒤 그것이 사실임을 알게 되자 그들은 마치 자기들은 거기에 찬성표를 던지지 않은 양 원정을 촉구한 정치가들을 원망했으며, 예언자들과 점쟁이들과 그 밖에 그때 여러 가지 방법으로 신탁을 풀이하며 자신들에게 시켈리아(시칠리아)를 정복할 수 있으리라는 희망을 불어넣었던 모든 사람에게 격분했다.

어느 쪽을 보아도 고통밖에 없어서, 이번 사건으로 그들은 두려움에 떨었고 유례없이 경악했다. 그 많던 중무장보병과 기병과 젊은이를 잃은 데다 이들을 대체할 인력이 없다는 생각이 들자 개인도 국가도 마음이 무거웠다. 그리고 보아하니 조선소에는 함선이 충분히 없고, 국고에는 돈이 충분히 없으며, 함선들에는 선원을 충분히 공급할 수 없어, 그러한 상황에서 그들이 살아남을 가능성은 없어 보였다. 그들은 시켈리아(시칠리아)에 있는 적군이 벌써 큰 승리를 거둔 터라 지체 없이 페이라이에우스 항(피레이우스 항)으로 함대를 파견할 것이고, 헬라스에 있는 적군도 이제 자원이 배로 늘어나 있는 힘을 다해 육로와 바닷길로 자신들을 공격할 것이며, 자신들의 동맹국들도 반기를 들고 적군 편이 되리라고 생각했던 것이다.

투키디데스,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8.1.1~2

시칠리아 원정은 아테네가 상상할 수 있는 최악의 대재앙이었다. 전염병에도 불구하고 기세등등하게 전쟁을 주도하던 아테네의 힘은 단 2년만에 끝장나다시피 하였다. 213척에 달하는 함선들, 병사들과 승무원을 합해 거의 4~5만의 인력, 4,500탈렌트 이상의 돈, 그 모든것이 사라졌다. 데모스테네스, 라마코스, 니키아스, 에우리메돈이 사망했고 알키비아데스가 망명하면서 아테네는 지도자, 장군 대부분도 상실하고 말았다. 전쟁은 곧 끝날 것 같았다.

그러나 아테네는 여기서 놀라운 근성을 발휘한다. 우선 각각의 데모스에서 40세 이상의 남자 1명씩 총 10명의 프로불로이(probouloi)를 선발, 특별회계감사원으로 남은 재정 지출을 감시하기로 하였다.[2] 그리고 남은 함대를 최대한으로 끌어모아 100여 척에 달하는 함대를 사모스로 파견해 동맹국들의 반란을 저지하고자 하였다. 비록 키오스와 밀레토스의 반란은 저지하지 못 했지만 레스보스와 사모스의 반란을 막고 이쪽에서 충동질하던 스파르타의 시도를 저지하는 데는 성공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테네의 위기는 계속되어, 페르시아의 재정지원을 받은 스파르타 및 아테네 제국에서의 이탈을 꿈꾸는 종속국들은 곳곳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헬레스폰토스 해협의 도시국가들이 대거 스파르타 편에 가담하여 식량공급로를 차단하고, 아테네 시민들이 대부분의 재산을 옮겨놓았던 에우보이아까지 스파르타에 가담하면서 아테네는 멸망의 위기에 몰렸다.(BC 413~BC 411)

상황이 너무 열악해지자 정변까지 발생했다. 오랫동안 민주파에 눌려있던 과두정파가 400인 회를 통해 아테네의 민주주의를 폐지하려 시도한 것이다. 이것은 비록 민주주의를 옹호한 사모스 섬의 아테네 함대에 의해 저지되었지만 5,000인 회라고 불리는 준과두적 정부를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5,000인 회는 우선 알키비아데스와 그를 추종하는 추방자 집단의 귀환을 결정했다. 이는 당시 아테네에는 알키비아데스처럼 뛰어난 능력을 갖춘 지휘관이 드물었기 때문이다. 비록 정변과 그 진압 과정에서 사모스 섬의 아테네 함대를 이끌 지도자로 트라실로스(Thrasylus), 트라시불로스(Thrasybulus) 등이 새롭게 급부상했지만 알키비아데스의 명성에 비하면 약한 편이었다. 그러나 알키비아데스에게 아직 완전한 사면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단지 사모스 섬의 아테네 함대가 그를 장군으로 임명한 선거를 인정한 데에 그쳤다. 그렇기에 그는 아테네인들을 납득시키고, 자신에게 환호할만한 뚜렷한 전공이 필요했다. 그는 빈손으로 아무것도 이룬 것 없이 대중들의 동정과 은혜 덕분에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영광이 가득하게 가야 한다고 생각했다.[3]

3. 민다로스의 도전

당시 밀레토스에 정박해 있던, 스파르타를 필두로 하는 펠로폰네소스 동맹국 함대 주력의 총지휘관은 만다로스(Mindarus)라는 인물이었다. 그는 페니키아 함대를 에게 해로 데려오겠다는 페르시아 제국 소아시아 남부의 사트라프였던 티사페르네스의 약속을 믿고 한 달 가까이 기다렸다.

그러나 티사페르네스는 스파르타를 속였다. 당시 페르시아의 대 그리스 전략은 아테네와 스파르타의 전쟁을 최대한 오랫동안 끌고 가면서 그 사이에서 이득을 챙기겠다는 것이었고, 이에 따라 페네키아 함대는 소아시아 남부 해안에서 더 올라오지 않았던 것이다. 이에 스파르타는 티사페르네스와의 상호조약을 포기했다.

이때 소아시아 북부의 총독이자 티사페르네스의 경쟁자였던 파르나바조스가 스파르타에 접근한다. 당시 소규모 펠로폰네소스 함대가 보스포로스 해협의 핵심 도시인 비잔티움에 도착, 아테네에 대한 반란을 유발한 상태였는데 이를 이용해 마르마라 해 전역을 장악하라는 권유였다. 이에 민다로스는 펠로폰네소스 함대를 이끌고 북상하는데, 에게 해와 마르마라 해를 가르는 다르다넬스 해협을 지나가기 위해서는 사모스에 주둔한 아테네 주력 함대를 피해야 했다. 때마침 사모스, 레스보스 등에서 반아테네 과두파 반란이 일어나면서 트라시불로스와 트라실로스가 자리를 비워 함대가 흩어졌고, 민다로스는 교묘하게 레스보스와 소아시아 본토 사이의 좁은 해협을 통과, 20시간만에 177km를 항해하여 다르다넬스 해협 입구에 도착한다. 이로서 아테네는 식량수송선이 절단될 위기에 처한다.[4]

아테네 함대는 펠로폰네소스 함대를 뒤늦게 추격했지만 해협의 주요 기지인 아비도스와 펠로폰네소스 함대가 합류하는 것을 막지는 못했다. 아비도스 근처인 세스토스 시에도 18척의 아테네 함대가 주둔하고 있었는데, 이들은 아비도스의 펠로폰네소스 함대를 피해 빠져나가는 데는 성공했고, 민다로스 함대에게 포착당해 4척을 상실했지만 북상해온 아테네 함대와 합류하는 데에는 성공하였다. 이후 트라시불로스는 5일동안 함대를 재정비한 후 다르다넬스 해협으로 진입한다. 이에 민다로스는 자신의 배들을 아비도스와 다르다노스 사이에 길게 늘여세우고, 아테네 함대의 중앙이 해협이 가장 좁아지는 키노세마(Cynossema, '개의 무덤')에 이르렀을때 공격을 시작한다.

4. 키노세마 해전

4.1. 양군의 구성과 전열, 계획

이 시기 펠로폰네소스 함대는 다국적 함대에 가까웠고, 리산드로스가 활약한 시기처럼 스파르타의 함대가 대부분을 차지하지 못했다. 함대의 우익은 시라쿠사 함대가 맡았고, 민다로스 자신은 가장 빠른 함선들과 함께 좌익을 맡아 해협의 출구에 가까운 곳에 포진했다. 그외에 키오스, 코린토스, 암프라키아, 보이오이타, 레우카스, 펠레네에서 보내온 배들로 함대가 구성되었다.
펠로폰네소스 함대를 이끌던 민다로스는 아테네 함대를 완전히 전멸시킬 생각이었다고 투키디데스는 전한다.[5] 즉 그는 자신이 직접 해협의 출구를 막아서고, 해협의 가장 좁은 곳인 키노세마에서 함대의 중앙이 아테네군을 둘로 가른 후 하나하나 포위섬멸할 생각이었던 것이다. 그렇기에 가장 어려운 퇴로 차단을 자신이 맡고, 자신의 지휘가 미치기 힘든 우익은 자체적인 지휘체계 하에서 아테네와 대등하게 싸울 수 있다고 평가된 시칠리아 함대에게 맡겼다.

아테네 함대는 76척의 함선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트라시불로스와 트라실로스가 이를 이끌었다. 트라실로스는 아테네 함대의 맨 앞, 교전상황에서는 좌익의 위치에 포진했고 트라시불로스는 함대의 맨 후열에 위치, 교전시에는 중앙과 우익을 지휘하였다.

함대 지휘의 주도권을 잡은 트라시불로스는 민다로스의 계획을 어느 정도 예측하고 있었다. 그는 직접 이에 대응할 생각으로 중앙과 우익을 지휘하였다 할 수 있다.[6]

두 함대의 승무원들의 질은 대등하였다. 역사가 디오도로스 시켈로스에 따르면 수병들의 전투력은 펠로폰네소스 함대가 더 좋았지만 아테네 함대에는 좋은 베테랑 키잡이들이 많았다고한다.

4.2. 교전

초기에는 민다로스의 계획대로 진행되었다. 좁은 해협에서 아테네 함대는 뛰어난 항해술을 발휘할 여력이 없었고, 아테네 함대 중앙은 민다로스의 예상대로 해얀선으로 몰려났다. 펠로폰네소스 함대의 성공적인 공격에 숫적으로 열세였던 아테네 함대는 분단되었다. 이에 펠로폰네소스 함대 중앙은 배에서 내려 해안선으로 몰린 아테네 함선들을 포획하려 하였다.

그러나 이는 트라시불로스에게 역전의 기회였다. 만약 중앙 전열이 아테네군 중앙을 해안선으로 밀어넣은 다음 곧바로 아테네군 우익을 쳤다면 우익도 패주했겠지만, 해안선으로 몰려간 것이 기회였다. 그는 아테네군 중앙이 공격받을때 일부러 중앙의 함선을 자신이 지휘하는 우익으로 빼내 약화시켰는데, 그 결과 양 함대의 중앙 전열이 해얀선으로 이동하여 전선을 이탈했을때 아테네군 우익과 펠로폰네소스군 좌익은 서로 비슷하거나 아테네군이 약간 우위에 있었다. 트라시불로스는 이를 이용하여 아테네 우익의 전열을 최대한 길게 하여 민다로스의 좌익을 공격, 패주시켰다. 디오도로스 시켈로스의 기록에 따르면 아테네 함대의 숙련된 키잡이들은 펠로폰네소스 함대가 충각공격을 해올때마다 적절하게 배를 움직여 같이 충각으로 부딪처 방어하였고, 반대로 아테네 함대가 충각공격을 할 때에는 적절한 위치에 공격이 들어갈 수 있도록 배를 조정하였다고 한다.

아테네 우익 전열이 만다로스 함대를 격퇴한 후에는 중앙으로 돌아가 펠로폰네소스 함대의 중앙도 격퇴하였다. 좌익, 중앙이 무너지자 자연스럽게 펠로폰네소스 함대의 우익도 숫적 열세에 몰렸고, 도주하였다.[7]

4.3. 결과

아테네 함대는 15척을 상실했고, 펠로폰네소스 함대는 21척을 상실했다. 그러나 교전은 아테네의 우세승으로 이야기할 수 있고, 키노세마 곶에 승전비를 세웠다. 아테네 함대는 숫적 열세와 지리적 불리함에도 불구하고 펠로폰네소스 함대를 격퇴하였으며, 시칠리아 원정 이후 펠로폰네소스 함대에 지니고 있던 두려움을 극복하였다.[8]

그러나 여전히 펠로폰네소스 함대는 아테네 함대보다 강대했다. 숫적으로도 우세했으며, 소아시아 북부와 트라키아 일대의 사트라프인 파르나바조스의 지원은 계속되었다. 만다로스는 엘라이우스로 나아가 함선 일부를 나포했으며, 로도스 섬에서 교전중이던 시칠리아 함대 지휘관 도리에오스에게 함대를 이끌고 자신에게 오라고 명령했다. 아테네 또한 이에 대응하여 키치코스를 탈환하고 펠로폰네소스 함대와 교전을 벌이면서 알키비아데스가 지원군을 이끌고 오기를 기다렸다.

두 지원군이 도착했을때 마르마라 해의 제해권을 다투는 두번째 교전인 아비도스 해전이 일어난다.

5. 기타

이 해전, 그리고 이후의 상황 전개는 투키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 전쟁> 마지막 부분이다. 그의 기록은 여기서 갑자기 끝난다.

[1] Κυνὸς σῆμα[2] 이 10명 중 이름이 알려진 것은 하그논과 소포클레스의 둘인데, 둘 다 페리클레스와 가까운 사이로 경력과 명성이 대단했다고 한다. 또한 나이가 매우 많았다.[3] 플루타르코스, <플루타르코스 영웅전>(알키비아데스) 27.1, 도널드 케이건 저, 허승일, 박재욱 역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p467에서 재인용[4] 도널드 케이건 저, 허승일, 박재욱 역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p470[5]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8.104.1~2[6] 도널드 케이건 저, 허승일, 박재욱 역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p471~472[7] 도널드 케이건 저, 허승일, 박재욱 역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p472~473[8] 투키디데스,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8.106.2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