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20:39:11
유희왕 의 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타임 이터라는 이름답게 원작에서나 OCG에서나 시간=턴에 간섭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타임 이터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タイム・イーター, 영어판명칭=Timeater, 레벨=6, 속성=어둠, 종족=구신족, 공격력=1900, 수비력=1700, 효과1=생태: 앞면 수비 표시인 동안\, 턴 카운트를 실행하는 효과 / 주박은\, 배의 속도로 카운트!, 효과2=사망: 배틀로 파괴되면\, 1칸 범위 내를 바이러스 지형으로 변화!)] 본 게임의 오리지널 카드로 처음 등장한 구신족 몬스터 중 하나.턴 카운트를 두 배로 배속시키는 효과가 특징. 모델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이 몬스터의 전체적인 형상은 마치 프랑켄슈타인 의 괴물을 연상시키는 모습을 하고있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타임 이터, 일어판명칭=タイム・イーター, 영어판명칭=Timeater, 레벨=6, 속성=어둠, 종족=기계족, 공격력=1900, 수비력=1700, 효과1=①: 이 카드가 전투로 상대 몬스터를 파괴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다음 상대 턴의 메인 페이즈 1을 스킵한다.)] 상대 몬스터를 전투로 파괴했을 경우 메인 페이즈 1을 스킵하는 유발 효과 를 가진 상급 효과 몬스터. 매우 희소한 효과지만, 전투로 파괴해야 하기 때문에 방해꾼 트리오 나 미라클 플리퍼 같이 상대 필드에 몬스터를 뱉어내는 전략을 써야한다. 등장 당시에는 잡카드 취급을 받았으나 지박신 Chacu Challhua , 미라클 플리퍼 가 나오면서 주가가 상승한 케이스. 이 3장의 카드로 페이즈 스킵형 락을 짤수 있는데,지박신 Chacu Challhua 를 수비 표시, 미러클 플리퍼 는 상대의 필드로 보낸다.타임 이터로 미러클 플리퍼를 공격해서 파괴. 미라클 플리퍼는 다시 상대 필드 위에 특수 소환. 타임 이터의 효과로 메인 페이즈 1 스킵. 수비 표시의 Chacu Challhua의 효과로 배틀 페이즈 스킵. 배틀 페이즈가 스킵되었으므로, 메인 페이즈 2도 스킵. 다시 2로 상대는 메인 페이즈, 배틀 페이즈가 완전히 스킵되어 전투도 소환도 할 수 없게 된다. 제거계 카드가 문제지만 성공만 한다면 아무것도 못한다. 또한, 야타 까마귀까지 같이 사용하게 되면 상대가 할 수 있는 건 없다. 이 녀석 을 쓰는게 더 편하다. 지박신 챠크 챠루아의 소환이 부담된다면 스톰 오브 라그나로크 에서 나온 터미널 월드 와 연계하면 상대는 배틀페이즈 밖에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빛의 봉인검 같은 락 계열 카드가 한장이라도 있으면 할 수 있는 건 속공마법뿐. 그럼 싸이크론 써서 터미널 월드 터뜨리면 되겠네. 레벨 6인게 걸리긴 하지만 타임 이터의 소환이야 미라클 플리퍼를 투입하면서 리크루트 계 몬스터를 투입하는 것으로 마련할 수 있고 저 레벨6, 어둠속성 기계족이란 스테이터스 덕분에 몇장 안 되는 사이코 쇼크웨이브 에 대응 가능한 몇 안 되는 카드라 덱에서 소환하는 것도 가능. 이후 서킷 브레이크 에서 이것과 같은 효과를 가진 불타는 죽도 가 등장했다. 지속 마법인 대신 다른 죽도 카드들과의 연계가 필수인지라 효과 발동 조건이 더 쉽다면 쉽고, 더 어렵다면 어렵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도마 편 에서는 다츠 가 어둠의 유우기 & 카이바 세토 와의 최종전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등장. 딱히 소환을 한 것은 아니고, 의식 마법 오리컬코스 미러 의 코스트로 릴리스하는 데에 사용되었다. 여담으로 첫 방영 당시엔 다츠가 사용한 카드 중에서는 오리컬코스 슈노로스 가 OCG화되기 이전까지 유일하게 실제로 발매된 카드이기도 했다. 수록 시리즈 2002-03-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H-10 | Pharaonic Guardian - 王家の守護者 - 2007-04-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P01-JP004 | トーナメントパック2007 Vol.1 2010-12-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T11-JP013 | デュエルターミナル 「オメガの裁き!!」 2003-07-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GD-004 | PHARAONIC GUARDIAN 2012-02-0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T06-EN013 | DUEL TERMINAL 6A 2004-12-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GD-KR004 | 왕가의 수호자 2008-03-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P01-KR004 | 토너먼트 팩 2008 Vol.1
3. 관련 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