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2 03:50:09

통제영학당


파일:강화 통제영학당 사진.jpg
강화 통제영학당의 모습
統制營學堂

1. 개요2. 배경3. 역사4. 대한민국 해군사관학교와의 관계

1. 개요

조선 말기(개화기)의 해군 장교수병을 양성하던 해군사관학교. 조선수사해방학당(朝鮮水師海防學堂)[1], 총제영학당(總制營學堂)이라 부르기도 했다.

현재 지번주소로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갑곶리 1061번지이다.[2] 통제영학당지라고 인천광역시에서 지방기념물로 지정했다.

이 문서의 표제어는 통제영학당이나 당시에는 수사해방학당이나 총제영학당이란 말이 쓰였다. 자세한 관련 기사

2. 배경

조선 후기에 등장한 이양선들 때문에 조정은 해양전력을 양성하는데 관심을 가졌다. 이에 따라 1883년에 연안해군 부대인 기연해방영(畿沿海防營)이 신설되었다. 기연(畿沿)은 경기도를 말한다. 지휘관은 기연해방사무라고 불렸는데 민영목(閔泳穆)이 보임되었다. 그러나 이듬해인 1884년갑신정변이 실패하고 청나라의 간섭으로 군제 개편이 진행되면서 기연해방영은 통위영으로 흡수당하고 조선의 연해는 청나라 북양해군이 사실상 방비하게 된다. 이후 1893년 고종은 삼도수군통어영[3]을 해연총제영(海沿總制營)으로 바꾸고 민응식(閔應植)을 지휘관인 해연총제사로 임명하였다. 해연총제영의 지위는 1품 아문으로 이는 당시 조선 조정이 해연총제영을 단순한 군영이 아닌 전국의 수군을 관할하게 하려는 속뜻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해연총제사는 강화유수를 겸임했다. 강화부에 해군동영(海軍東營)을 설치하고 해군 장교와 수병을 양성하기 위해 수사해방학당을 설치했는데 통제영학당을 말한다. 허나 해연총제영은 설립 1년만인 1894년 6월 일본군의 경복궁 점령 이후 해체되고 만다.

3. 역사

1893년에 설립되었다. 위치는 강화도 갑곶진이었으며 설립예산은 청나라로부터 들여온 1천원이었다. 양반 자제를 대상으로 18세에서 26세의 사관생도[4]와 수병을 모집했다. 근데 단순히 사관학교라고만 부를 수가 없는 게 최초 모집 인원이 사관 50명에 수병 300명으로 해군사관학교에 해군기초군사교육단을 합친 모양새였다. 처음에는 장교 50명에 수병 500명을 모으려고 했지만 충원이 쉽지 않았다. 아무래도 수군이라는 일이 신량역천[5]에 해당될 정도로 힘든 일이다보니 기피현상이 있었기 때문이다.

일단 군사교육에 들어가기 전에 영어교육부터 먼저 시켰다. 1893년 9월부터 영어교육이 이뤄졌고 이듬해인 1894년 4월에 영국군 해군 출신인 콜웰(W. H. Callwell) 대위와 커티스(J. W. Curtis) 하사가 왔다. 교육 시작 후 3개월 뒤인 1894년 7월에 청일전쟁이 발발하고 해군총제영이 부대 해체되면서 그 휘하 기관이었던 통제영학당도 운영이 불투명해진다. 결국 1894년 10월에 폐지되었다.

파일:external/ganghwado.co.kr/i1590.jpg
영어, 군사학, 항해학, 포술학 등을 가르쳤다. 서 있는 사람 중에 제일 오른쪽이 콜웰 대위이며 왼쪽으로 차례대로 조선인 장교, 조교인 커티스, 영국 총영사 힐러(Hiller), 영어교사 허치슨이다.

4. 대한민국 해군사관학교와의 관계

현재 대한민국 해군의 경우 해군사관학교의 전신을 통제영학당으로 삼지 않고 있다.[6] 육군사관학교 역시 육군무관학교를 전신으로 삼지 않는다.

2009년 4월 13일 정옥근 해군참모총장은 통제영학당 옛터에 표지석을 세웠다.
개화〉와 〈쇄국〉의 혼란스런 시대 상황을 겪으며
오로지 조국의 바다를 지킬 구국의 인재를 양성하고자
최초의 근대식 해군사관학교인 〈통제영학당〉이
이터에 뿌리내렸다.
바야흐로 빛나는 대한민국해군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자긍심을 고취하고자 여기 표지석을 세운다.
2009년 4월 13일
대한민국 해군참모총장

[1] 수사(水師)는 수군을 뜻하고 해방(海防)은 해상방어를 뜻한다.[2] 도로명주소가 할당되어 있지 않다![3] 경기, 황해, 충청 삼도의 수군을 통솔하는 군영으로 교동도에 본영을 두고 있었다.[4] 사관생도는 15세에서 20세 사이로 모으려고 했다.[5] 양인 신분이지만 천역, 즉 고되고 힘든 일에 종사하는 부류를 일컫는 말[6] 그렇기에 아예 무관한 조직이라고 볼 수 있으며, 대한민국 해군 또한 손원일 제독의 해사대, 해방병단, 조선해안경비대를 전신으로 삼지 대한제국 해군과의 관계성을 주장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