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카드군}}}에 대한 내용은 [[파이어월(유희왕)]]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파이어월(유희왕)#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파이어월(유희왕)#|]]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카드군: }}}[[파이어월(유희왕)]]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파이어월(유희왕)#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파이어월(유희왕)#|]]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아래 두 가지 모두 표기는 'fire wall'이라 쓰지만, 의미는 조금 다르다.
1. 불의 벽
간단히 말해 불로 만들어진 벽을 의미하며, 게임 등에서 마법형태로 자주 등장한다. 좀 더 의미를 명확하게 하려면 'wall of fire' 라고 쓰면 된다. 해당 개념의 기원이 된 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에서도 월 오브 파이어로 불린다.
엄밀히 말하면 불은 고체가 아니라 현상이기에 불로 된 벽 따위는 세상에 없다. 건축적 의미의 벽이 아니라 '난관'을 비유하는 벽을 쓰기 때문에 발생한 오류.
더 엄밀히 말하면 불은 물질이 산화되는 순간 발생한 플라즈마 상태와 열, 빛 등의 에너지의 집합체로, 흔히 SF에서 말하는 플라즈마 역장 등이 해당된다고 할 수도 있다.
디아블로 1에서 파이어 월 덕분에, 죽은 플레이어가 산 디아블로를 쓰러뜨릴 수 있다. 플레이어가 죽기 전에 설치한 파이어 월에 디아블로가 사망하여 게임이 끝나기도 한다.
디아블로 2의 소서리스가 쓰는 파이어 월은 스킬레벨에 비해 말도 안 되는 데미지를 주던 기술이었다. 구석에 걸려 이동하지 않는 메피스토 아래에다 깔면 5초도 안 돼서 녹아버릴 정도. 라그나로크 온라인에선 일명 세로깔기(적의 접근 경로를 이용해 자기 바로 옆 셀에 파이어 월을 세로로 깔아 적이 파이어 월 3개 셀을 전부 소비하도록, 못 다가오면서 데미지를 입게 만드는 컨트롤)로 애용되는 마법이기도 하다.
온라인 게임 사이퍼즈의 캐릭터 재앙의 나이오비와 잿더미의 티모시도 불의 벽을 만들 수 있다.
충무공전2: 난세영웅편에서 일본의 법사는 '화벽술'로 불타는 벽을 세운다.
그리고 군대에서는 대규모 포병, 공군, 공격헬기, 다연장로켓, 순항미사일 등으로 몰려오는 대규모의 적들을 저지하는 것도 불의 벽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대표적 예시는 6.25 당시 미군이 중국 인민지원군의 인해전술을 막기 위해 썼던 벤 플리트 탄약량, 중공군 1인당 포탄 1발이라는 포격으로 중공군의 남진을 저지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2. 방화벽(防火壁)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방화벽#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방화벽#|]][[방화벽#|]]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유희왕의 지속 함정 카드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 명칭=파이어 월,
일어판 명칭=ファイヤー・ウォール,
영어판 명칭=Firewall,
효과외1=이 카드의 컨트롤러는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마다\, 500 LP를 지불하거나 이 카드를 파괴한다.,
효과1=①: 상대 몬스터의 직접 공격 선언시\, 자신 묘지에서 화염족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공격을 무효로 한다.)]
유희왕 GX에서 오스틴 오브라이언이 사용. 불의 장벽이라는 뜻을 갖고 있으며, 그 뜻에 걸맞게 묘지의 화염족을 제외해 공격을 막는다. 오브라이언은 볼캐닉 덱에 채용하여 볼캐닉 몬스터를 제외하고 공격을 방어하는 데에 사용되었다. 이후 다크니스 편에서 오브라이언과 듀얼에서 오브라이언의 아버지로 의태한 미스터 T가 이 카드와 함께 플레임 월, 볼캐닉 월과 연계 콤보로 사용하는 것으로 등장했다.
대상 비지정 효과이며, 밸류어블 북 10에 실린 샘플 덱 페이지에서는 '묘지의 화염족 몬스터를 이용해서 상대에게 데미지를 준다.'라 적혀있었지만, 실제로는 전혀 관련이 없다.
화염족을 묘지로 보내기 쉬운 덱을 들자면 볼캐닉 번덱과 라바르 덱 등이 있겠다. 하지만 전자는 브레이즈 캐논 매거진의 활용을 위해 화염족 몬스터를 덱으로 되돌리고, 후자는 진염의 폭발로 소생시키는 것이 기본 전술이므로, 제외 효과는 상성이 나쁘다.
직접 공격에만 발동할 수 있으므로 발동 기회 자체도 많지 않은 편이다. 묘지 자원만 있으면 공격은 몇 번이고 무효로 할 수 있는 카드는 귀중하지만, 활용하기 적합한 이렇다 할 만한 덱이 없다는 것이 현실. 더군다나 해피의 깃털, 트윈트위스터 등이 현역으로 돌아가는 현환경에서는 지속 마법 / 함정은 필드에 오래 버티고 있기가 힘들다.
또다른 공격 방지용 함정 카드인 몬스터 BOX와는 지속 함정이라는 점, 공격 선언시 반응하는 효과라는 점, 매 턴 유지 코스트로 500 LP를 요구하는 점 등의 공통 요소가 존재한다. 유지 코스트를 상쇄할 만한 카드로는 영혼 흡수나 신의 은총 정도 되겠다.
파이어월 카드군과는 의미가 다를 뿐더러, 지정하는 종족과 카드군이 달라 전혀 관련이 없다.
[1] 아래 두 가지 의미 다 포함한다. 인공지능이 자신을 열추적하는 것을 방해하기 위해(프로그램 방화벽) 불을 지른(불의 벽) 상황(...).[2] 디지몬 중에서 메라몬의 디자인은 이것의 중의적 표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