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입자 | |
메손 | 파이온 · 케이온 |
바리온 | 양성자 · 중성자 · 펜타쿼크 |
주요 성질 | |
아이소스핀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Meson-Baryon-molecule-generic.svg.png |
[clearfix]
1. 개요
펜타쿼크(pentaquark)는 쿼크 다섯 개로 이뤄진 입자이다. 두 가지 이론적 모델이 존재한다. 다르게 보면 일반적인 바리온과 메손이 융합된 형태라고 볼 수도 있다.2. 발견
1997년에 러시아의 댜코노프(D. Diakonov)[1]에 의해 펜타쿼크에 대한 이론적인 토대가 마련되었으나, 이를 증명하기 위한 실험이 마련되는 데에는 더 많은 시간이 더 필요했다. 2003년 나카노(T. Nakano) 교수를 위시한 일본의 LEPS 그룹에서 이를 발견했다고 했으나 오차가 너무 컸기 때문에 실험의 신뢰도가 낮았으며, 또한 다른 가속기 실험에서도 신뢰도 높은 실험결과를 획득하지 못했다.이 때문에 펜타쿼크의 존재는, 결국 검증되지 않은 몇몇 입자들처럼 관심 밖으로 밀려나는 듯 했으나 2015년 7월 14일, CERN에서 LHC실험을 통해 펜타쿼크 발견에 성공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다시 뜨거운 감자가 되었다.
CERN의 LHCb 실험 그룹은 가속기 충돌 시험 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바텀 람다 바리온이 붕괴하는 과정에서 아주 짧은 시간 동안 펜타쿼크 상태를 가진다는 것을 관측했으며, 이 연구 결과를 '피지컬 리뷰 레터(Physical Review Letters)'에 제출했다. 이로써 펜타쿼크의 존재가 확인됐다.
다만 CERN의 LHCb에서 발견된 펜타쿼크는 댜코노프나 일본의 LEPS 그룹에서 주장한 것과는 다른 종류이므로 댜코노프의 이론을 증명하는 실험결과는 아니다. 일본 LEPS의 펜타쿼크는 uudds (양성자 + 중성 케이온 K0)으로 추측되는 반면 CERN LHCb의 펜타쿼크는 참 쿼크를 포함하는 uudcc (양성자에 차모늄 계열 메손)의 구성일 것으로 추측된다.
관련 내용은 동아 사이언스의 이 기사를 참고.
[1] 출생 1949년 3월 30일 · 2012년 12월 26일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