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경기도 기초자치단체별 폐선된 버스 목록 | ||||
가평군 | 고양시 | 과천시 | 광명시 | 광주시 |
구리시 | 군포시 | 김포시 | 남양주시 | 동두천시 |
부천시 | 성남시 | 수원시 | 시흥시 | 안산시 |
안성시 | 안양시 | 양주시 | 양평군 | 여주시 |
연천군 | 오산시 | 용인시 | 의왕시 | 의정부시 |
이천시 | 파주시 | 평택시 | 포천시 | 하남시 |
화성시 |
1. 개요2. 시내일반버스
2.1. 포천 버스 52.2. 포천 버스 62.3. 포천 버스 9-12.4. 포천 버스 9-22.5. 포천 버스 11 (★)2.6. 포천 버스 152.7. 포천 버스 202.8. 포천 버스 20-12.9. 포천 버스 33-12.10. 포천 버스 382.11. 포천 버스 38-2, 32.12. 포천 버스 55-12.13. 포천 버스 56-1 (1기 노선)2.14. 포천 버스 56-22.15. 포천 버스 57-12.16. 포천 버스 582.17. 포천 버스 59 (1기 노선), 59-12.18. 포천 버스 59 (2기 노선)2.19. 포천 버스 60-32.20. 포천 버스 60-62.21. 포천 버스 612.22. 포천 버스 642.23. 포천 버스 652.24. 포천 버스 66-22.25. 포천 버스 702.26. 포천 버스 712.27. 포천 버스 742.28. 포천 버스 86-12.29. 포천 버스 87-22.30. 포천 버스 87-62.31. 포천 버스 87-72.32. 포천 버스 88-12.33. 포천 버스 89-12.34. 포천 버스 89-2
3. 일반좌석버스3.1. 포천 버스 138-1 (1기 노선)3.2. 포천 버스 138-1 (2기 노선)3.3. 포천 버스 138-1 (3기 노선)3.4. 포천 버스 138-23.5. 포천 버스 138-33.6. 포천 버스 138-63.7. 포천 버스 138-7 (1기 노선)3.8. 포천 버스 138-7 (2기 노선)3.9. 포천 버스 138-83.10. 포천 버스 138-93.11. 포천 버스 1713.12. 포천 버스 660, 660-1
4. 직행좌석버스1. 개요
포천시 버스 목록 중 폐선되거나 지역면허가 변경된 버스 노선, 그리고 계획이 취소된 노선들을 기재했다. 운행경로는 일부 노선을 제외하고는 폐선 직전 노선이며 형간전환되었던 노선의 경우 폐선 직전의 노선 형태 기준으로 작성한다.지역면허가 변경된 노선에는 뒤에 (★)을 표기한다.
2. 시내일반버스
2.1. 포천 버스 5
2.2. 포천 버스 6
포천상운 노선. 송우리와 신북면 신포천아파트를 오갔다.
2.3. 포천 버스 9-1
2.4. 포천 버스 9-2
2.5. 포천 버스 11 (★)
2.6. 포천 버스 15
소학리차고지 ↔ 의정부역 흥선지하차도.포천교통 노선. 2005년 언저리까지 다녔으나, 33번에 통합되었고, 여기서 다니던 글로벌900은 모두 660, 660-1번에 투입되었다.
2.7. 포천 버스 20
포천시 시내일반버스 20번 | |||||
기점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송우리(대경중학교앞) | 종점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금현리(너베기입구) | ||
종점행 | 첫차 | 05:30 | 기점행 | 첫차 | 06:40 |
막차 | 19:10 | 막차 | 21:00 | ||
배차간격 | 1일 11회 | ||||
운수사명 | 선진시내버스 | 인가대수 | 1대 | ||
노선 | 대경중학교 - 송우리 - 이가팔리 -고모리 - 금현리 - 가산면사무소 - 마산리 - 너배기입구 |
2014년 12월 경 폐선.
2.8. 포천 버스 20-1
대경중학교 ↔ 가산면사무소. 선진시내버스 노선. 2014년 12월 경 폐선.2.9. 포천 버스 33-1
일동 ↔ 의정부역. 선진시내버스 노선. 2010년에 33번의 일동 연장 지선으로 신설되었고, 1일 4회 다녔지만, 수요가 부족했던데다가 시외버스에게 밀려서 폐지되었다.2.10. 포천 버스 38
2.11. 포천 버스 38-2, 3
2.12. 포천 버스 55-1
포천상운에서 운행했으며, 포천시청과 송우리를 오갔다. 관련 게시물2.13. 포천 버스 56-1 (1기 노선)
2.14. 포천 버스 56-2
포천시 시내일반버스 56-2번 | |||||
기점 | 경기도 포천시 포천동(포천시청) | 종점 |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전곡리(전곡터미널) | ||
종점행 | 첫차 | ? | 기점행 | 첫차 | ? |
막차 | ? | 막차 | ? | ||
배차간격 | 1일 ?회 | ||||
운수사명 | 포천상운 | 인가대수 | -대 | ||
노선 | 포천시청 - 포천의료원 - 하심곡사거리 - 장승삼거리 - (→ 가양리 → 창수면사무소 →/← 추동리 ← 창수초등학교 ←) - 주원리 - 오가삼거리 - 고소성리 - 백의리 - 궁평리 - 장탄1리 - 전곡중.고교입구 - 전곡터미널 |
포천 방향에 한해서 추동리와 창수초등학교를 경유하는 노선이었다.
2.15. 포천 버스 57-1
포천상운에서 운행했던 노선[1]으로, 경복대-포천시청-자이아파트-주내역-복지리 구간이었다. 현재 운행중인 같은 번호의 노선과는 연관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2.16. 포천 버스 58
2.17. 포천 버스 59 (1기 노선), 59-1
포천시 시내일반버스 59번 | |||||
기점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영화마을) | 종점 |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관인버스터미널) | ||
종점행 | 첫차 | 05:30 | 기점행 | 첫차 | 06:40 |
막차 | 19:10 | 막차 | 21:00 | ||
배차간격 | 1일 8회 | ||||
운수사명 | 포천상운 | 인가대수 | -대 | ||
노선 | 영화마을 - 홈플러스 - 송우리시장사거리 - 송우리터미널 - 하송우리 - 선단1통.대진대학교 - 어룡1~3통 - 포천시청 - 골든아파트 - 가채2리 - 신북면사무소 - 신포천아파트 - 만세교 - 양문터미널 - 영중면사무소 - 양문공단입구 - 신장삼거리 - 영송리 - 영평리 - 오가리 - 운산리 - 중2리·늘거리 - 중3리 - 중1리 - 삼율리 - 관인면문화체육센터 - 관인면사무소 - 관인버스터미널 |
포천시 시내일반버스 59-1번 | |||||
기점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영화마을) | 종점 |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관인버스터미널) | ||
종점행 | 첫차 | 06:20 | 기점행 | 첫차 | 07:45 |
막차 | 06:20 | 막차 | 07:45 | ||
배차간격 | 1일 1회 | ||||
운수사명 | 포천상운 | 인가대수 | -대 | ||
노선 | 영화마을 - 홈플러스 - 송우리시장사거리 - 송우리터미널 - 하송우리 - 선단1통.대진대학교 - 어룡1~3통 - 포천시청 - 골든아파트 - 가채2리 - 신북면사무소 - 신포천아파트 - 만세교 - 양문터미널 - 영중면사무소 - 양문공단입구 - 신장삼거리 - 영송리 - 영평리 - 오가리 - 운산리 - 중2리·늘거리 - 중3리 - 중1리 - 삼율리 - 관인면문화체육센터 - 관인면사무소 - 관인버스터미널 → 냉정2리마을회관 → 냉정리회관 → 냉정1리.신흥동 → 봉우재 → 관인버스터미널 → 이후 역순 |
59-1은 빨간색 글씨 표시, 60-1은 녹색 글씨 표시.
포천 버스 59, 60-1번 운행시간표 2015년 5월 14일 기준 / # | |||||||||
순서 | 노선 | 송우리 출발 | 종점 | ||||||
1 | 59 | 05:30 | 관인터미널 | ||||||
2 | 60-1 | 06:00 | 중2리 | ||||||
3 | 59-1 | 06:20 | 냉정리 | ||||||
4 | 59 | 08:10 | 관인터미널 | ||||||
5 | 60-1 | 08:45 | 중2리 | ||||||
6 | 59 | 10:20 | 관인터미널 | ||||||
7 | 60-1 | 12:10 | 중2리 | ||||||
8 | 59 | 12:40 | 관인터미널 | ||||||
9 | 59 | 15:00 | 관인터미널 | ||||||
10 | 60-1 | 15:10 | 중2리 | ||||||
11 | 59 | 18:00 | 관인터미널 | ||||||
12 | 60-1 | 18:25 | 중2리 | ||||||
13 | 59 | 19:10 | 관인터미널 |
59번 중리 출발 예상 시각은 괄호 표시.
포천 버스 59, 60-1번 운행시간표 2015년 5월 14일 기준 / # | |||||||||
순서 | 노선 | 출발지 | 출발 | ||||||
1 | 59 | 관인터미널 | 06:40 (06:45) | ||||||
2 | 60-1 | 중2리 | 07:16 | ||||||
3 | 59-1 | 냉정리 | 07:45 (08:10) | ||||||
4 | 60-1 | 중2리 | 10:00 | ||||||
5 | 59 | 관인터미널 | 10:10 (10:20) | ||||||
6 | 59 | 관인터미널 | 12:25 (12:35) | ||||||
7 | 60-1 | 중2리 | 13:40 | ||||||
8 | 59 | 관인터미널 | 14:45 (14:55) | ||||||
9 | 60-1 | 중2리 | 16:20 | ||||||
10 | 59 | 관인터미널 | 17:30 (17:35) | ||||||
11 | 59 | 관인터미널 | 19:20 (19:25) | ||||||
12 | 60-1 | 중2리 | 19:45 | ||||||
13 | 59 | 관인터미널 | 21:00 (21:10) |
2.18. 포천 버스 59 (2기 노선)
2.19. 포천 버스 60-3
포천시청에서 출발해, 대진대와 송우리를 거쳐 고모리까지 갔다. 관련 게시물2.20. 포천 버스 60-6
포천시청과 어룡2통을 오가는 단거리 노선이었다. 관련 게시물2.21. 포천 버스 61
2.22. 포천 버스 64
포천상운에서 운행했던 노선.2.23. 포천 버스 65
포천상운에서 운행했던 노선으로 포천 버스 65(폐선) 참조.2.24. 포천 버스 66-2
2.25. 포천 버스 70
2.26. 포천 버스 71
2.27. 포천 버스 74
2.28. 포천 버스 86-1
| |||||
주말에만 운행 | |||||
기점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송우리(태봉초교) | 종점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직동리(직동1리.새말) | ||
종점행 | 첫차 | 06:50 | 기점행 | 첫차 | 07:40 |
막차 | 19:40 | 막차 | 20:30 | ||
운수사명 | 포천상운 | 배차간격 | 1일 7회 | ||
노선 | 태봉초교 - 포천세무서 - 송우시장 - 이가팔리 - 정교리 - 고모리 - 욕쟁이할머니 - 직동리 - 직동1리.새말 |
- 2017년 5월 1일부터 4일까지 신설안에 대해 의견조회를 받았다. (포천시 공고 제2017-726호)
- 안건이 확정되어 2017년 9월 22일에 신설되었다.
- 일자미상으로 86-1번이 폐선되면서 86번이 주말 및 공휴일에도 운행을 시작한다.
2.29. 포천 버스 87-2
| |||||
주말, 공휴일에만 운행 | |||||
기점 | 경기도 포천시 신읍동(포천고등학교) | 종점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금동리(어메이징파크.치유의숲) | ||
종점행 | 첫차 | 06:30 | 기점행 | 첫차 | 07:10 |
막차 | 20:00 | 막차 | 20:35 | ||
운수사명 | 포천상운 | 배차간격 | 1일 8회 | ||
노선 | 포천고등학교 - 포천시청 - 포천의료원 - 상심곡.깊이울유원지 - 맹호부대 - 하심곡사거리 - 계류1리 - 갈월리 - 삼정리 - 덕둔2리 - 금동2리 - 금동1리 - 어메이징파크.치유의숲 |
*
2015년 9월 1일에 87-2번이 신설됨에 따라 66-2번은 더 이상 '양문 - 수입리 - 일동' 구간을 운행하지 않게 되었다.
- 2020년 6월 13일에 87-2번이 폐선되었고 87-1번이 주말에도 운행하게 되었다.
2.30. 포천 버스 87-6
포천시 공영버스 따복87-6번 | |||||
주말에만 운행 | |||||
기점 | 경기도 포천시 신읍동(포천시청) | 종점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삼정리(허브아일랜드) | ||
종점행 | 첫차 | 19:00 | 기점행 | 첫차 | 19:45 |
막차 | 20:20 | 막차 | 21:10 | ||
운수사명 | 포천상운 | 배차간격 | 1일 2회 | ||
노선 | 포천아트밸리 - 신북체육문화센터.신북면사무소 - 신북초교 - 동고개 - 하심곡.우신아파트 - 칠월리고개 - 허브아일랜드 |
- 2016년 10월 22일에 신설되었다. 포천시 공지사항
* 2017년 1월 27일에 '포천시청 → 포천아트밸리' 구간과 '하심곡사거리 → 포천시청' 구간이 연장되었다. 그리고 1일 1회에서 2회 운행으로 늘어났다. 관련 게시물 87-6번의 추가된 운행시간대와 87-7번의 시간대가 겹치면서 87-7번은 폐선되었다.
- 2017년 11월 1일에 폐선되었다.
2.31. 포천 버스 87-7
포천시 공영버스 따복87-7번 | |||||
주말에만 운행 | |||||
기점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기지리(포천아트밸리) | 종점 | 경기도 포천시 선단동(선단4통.장승거리) | ||
종점행 | 첫차 | 20:30 | 기점행 | 첫차 | - |
막차 | 20:30 | 막차 | - | ||
운수사명 | 포천상운 | 배차간격 | 1일 1회 | ||
노선 | 포천아트밸리 → 신북체육문화센터.신북면사무소 → 신북초교 → 동고개 → 하심곡.우신아파트 → 칠월리고개 → 허브아일랜드 → 칠월리고개 → 하심곡.우신아파트 → 상심곡 → 포천의료원 → 신읍7통 → 포천시청 → 포천고 → 선단1통.대진대학교 → 선단4통.장승거리 |
- 2016년 10월 22일에 신설되었다. 포천시 공지사항
- 2017년 1월 27일에 87-6번이 1일 1회에서 2회 운행으로 늘어났다. 관련 게시물 87-6번의 추가된 운행시간대와 87-7번의 시간대가 겹치면서 87-7번은 폐선되었다.
2.32. 포천 버스 88-1
차의과학대 ↔ 의정부역2.33. 포천 버스 89-1
| |||||
상시 운행 | |||||
기점 | [출발]경기도 포천시 설운동(설운3통.여단앞) | 종점 |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 냉정리(냉정1리) | ||
종점행 | 첫차 | 06:10 | 기점행 | 첫차 | 07:30 |
막차 | 06:10 | 막차 | 07:30 | ||
운수사명 | 포천상운 | 배차간격 | 1일 1회 | ||
노선 | 설운3통.여단앞 - 대진대학교 - 군단앞 - 어룡2통 - 포천고 - 포천시청 - 골든아파트 - 가채2리마을회관 - 신북대교 - 신북면사무소 - 신포천아파트 - 만세교 - 양문터미널 - (이후 89번 경로) - 관인면사무소 - 관인문화체육센터 - 삼율리 - 중2리.늘거리 - 운산리 - 오가리 - 오가삼거리 - 영평리 - 영송리 - 신장삼거리 - 성동1리.광명휴게소 - 양문터미널 - 금주리 - 만세교 - 신평리 - 신포천아파트 - 신북면사무소 - 가채리 - 골든아파트 - 포천시청앞 - 포천고등학교 |
- 2020년 9월 15일부터 89-1번과 89-2번이 폐선되고 89번의 기점이 포천고등학교로 연장되며 1일 4회 운행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실제 노선 변경은 2021년 5월 1일에 이루어졌다.
2.34. 포천 버스 89-2
| |||||
상시 운행 | |||||
기점 | 경기도 포천시 신읍동(포천고) | 종점 |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양문리(양문터미널) | ||
종점행 | 첫차 | 09:10 | 기점행 | 첫차 | 20:00 |
막차 | 09:10 | 막차 | 20:00 | ||
운수사명 | 포천상운 | 배차간격 | 1일 1회 | ||
노선 | 포천고 - 포천시청 - 골든아파트 - 가채2리마을회관 - 신북대교 - 신북면사무소 - 신포천아파트 - 만세교 - 양문터미널 |
- 2020년 9월 15일부터 89-1번과 89-2번이 폐선되고 89번의 기점이 포천고등학교로 연장되며 1일 4회 운행될 예정이었으나 실제 노선 변경은 2021년 5월 1일에 이루어졌다.
3. 일반좌석버스
3.1. 포천 버스 138-1 (1기 노선)
| |||||
기점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신평리(경복대입구) | 종점 |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부동(의정부역.흥선지하차도입구) | ||
종점행 | 첫차 | - | 기점행 | 첫차 | - |
막차 | - |
평일배차 | 15~25분 | 주말배차 | 25~35분 | ||
운수사명 | 포천교통 | 인가대수 | - | ||
노선 | 경복대학교 - _신포천아파트_ - 신북면사무소 - 가채2리(구.신북대교) - 아트교사거리(사회복지관) - 골든A - 포천시청 - 포천고 - 어룡1~3통 - 자작2통 - 선단1통(대진대입구) - 송우리터미널 - 소흘읍사무소 - 부인터사거리 - 이동교5리, 축석검문소 - 의정부성모병원 - 경기북부광역행정타운 - 의정부버스터미널 → 의정부부대찌개거리, 의정부중앙역 → 의정부경찰서 → 의정부역. 흥선지하차도입구 → 한화생명 → 시장앞 → 구.터미널 → 의정부시외버스터미널 → 이후 역순 |
138번과 같은 노선이었으나, 기점 부분 운행구간이 달라서 이 쪽은 신포천아파트를 경유했다. 이 때는 138번이 신북초교를 경유했다.
3.2. 포천 버스 138-1 (2기 노선)
| |||||
기점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신평리(경복대입구) | 종점 |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부동(의정부역.흥선지하차도입구) | ||
종점행 | 첫차 | - | 기점행 | 첫차 | - |
막차 | - |
평일배차 | 25~30분 | 주말배차 | 35~40분 | ||
운수사명 | 포천교통 | 인가대수 | - | ||
노선 | 경복대학교 - 신포천아파트 - 신북면사무소 - 가채2리(구.신북대교) - 아트교사거리(사회복지관) - _포천중 - 보건소_ - 포천고 - 어룡1~3통 - 자작2통 - 선단1통(대진대입구) - 송우리터미널 - 소흘읍사무소 - 부인터사거리 - 이동교5리, 축석검문소 - 의정부성모병원 - 경기북부광역행정타운 - 의정부버스터미널 → 의정부부대찌개거리, 의정부중앙역 → 의정부경찰서 → 의정부역. 흥선지하차도입구 → 한화생명 → 시장앞 → 구.터미널 → 의정부시외버스터미널 → 이후 역순 |
138번과 대진대까지는 같이 가다가 포천동 지역에 들어서면 포천고, 보건소, 포천중을 경유하고 138번 노선으로 합류하여 경복대학까지 똑같이 들어갔다. 다만 3200번과 겹쳐서 그런지 인기가 없었고 얼마 못 가서 없어졌다.
3.3. 포천 버스 138-1 (3기 노선)
| |||||
| |||||
기점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신평리(경복대학입구) | 종점 |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부동(의정부역.흥선지하차도입구) | ||
종점행 | 첫차 | 05:00 | 기점행 | 첫차 | 06:40 |
막차 | 22:00 | 막차 | 23:40 | ||
배차간격 | 60분(1일 18회) | ||||
운수사명 | 포천교통 | 인가대수 | 5대 | ||
노선 | 경복대학교 - 윤중, 신포천A - 가채2리 - 가채2리, 승방동 - 아트교사거리 - 골든아파트 - 포천시청 - 포천아이파크 - 포천행복주택.용정산업단지입구 - 어룡1통 - 자작2통, 군단앞 - 선단3통 - 대진대, 학사마을입구 - 선단5통 - 동심어린이집 - 설운1통 - 서희아파트 - 송우주공3단지 - 영화마을 - 소흘읍사무소 - 이동교1리, 용상골 - 이동교4리, 대방아파트 - 부인터사거리 - 이동교2리, 부인터 - 이동교3리, 무란마을 - 이동교5리, 축석검문소 - 의정부성모병원 - 경기북부광역행정타운 - 의정부버스터미널 → 의정부부대찌개거리, 의정부중앙역 → 의정부경찰서 → 의정부역.흥선지하차도입구 → 한화생명 → 시장앞 → 구.터미널 → 의정부버스터미널 → 이후 역순 |
2024년 7월 공공관리제 편입과 동시에 137번으로 형간전환되었다.
3.4. 포천 버스 138-2
| |||||
기점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신평리(경복대입구) | 종점 |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부동(의정부역.흥선지하차도입구) | ||
종점행 | 첫차 | - | 기점행 | 첫차 | - |
막차 | - |
평일배차 | 15~25분 | 주말배차 | 25~35분 | ||
운수사명 | 포천교통 | 인가대수 | 2 | ||
노선 | 경복대학교 - 신북초교 - 신북면사무소 - 가채2리(구.신북대교) - 아트교사거리(사회복지관) - 골든A - 포천시청 - 포천고 - 어룡1~3통 - 자작2통 - 선단1통(대진대입구) - _송우주공아파트_ - 소흘읍사무소 - 부인터사거리 - 이동교5리, 축석검문소 - 의정부성모병원 - 경기북부광역행정타운 - 의정부버스터미널 → 의정부부대찌개거리, 의정부중앙역 → 의정부경찰서 → 의정부역. 흥선지하차도입구 → 한화생명 → 시장앞 → 구.터미널 → 의정부시외버스터미널 → 이후 역순 |
138번과 같은 노선이었으나, 송우주공아파트를 경유했다.
3.5. 포천 버스 138-3
| |||||
기점 | 경기도 포천시 선단동(대진대.학생회관) | 종점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전농동(청량리역환승센터 4번) | ||
종점행 | 첫차 | - | 기점행 | 첫차 | - |
막차 | - | 막차 | - | ||
평일배차 | 15~20분 | 주말배차 | 20~30분 | ||
운수사명 | 선진시내버스 | 인가대수 | 16대 | ||
노선 | 대진대.학생회관 - 선단1통.대진대학교 - 송우리터미널 - 이동교4리.대방아파트 - 이동교5리. 축석검문소 - 의정부성모병원 - 홈플러스 - 경기도청북부청사 - 드림밸리아파트.새말역 - 의정부터미널 - 추동아파트 - 장암주공5단지 - 수락산역 - 마들역 - 도봉면허시험장(노원역) - 노원구청 - 동부간선도로 - 중랑교 - 삼육서울병원 - 청량리역 → 제기동역 → 동대문중앙새마을금고 → 현대코아 → 청량리역환승센터(4번) → 이후 역순 |
대진대 ↔ 창동역. 선진시내버스 노선. 2012년 4월 23일 직행좌석버스 3200번으로 형간전환.
3.6. 포천 버스 138-6
| |
| |||||
기점 |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산정호수.상동주차장) | 종점 |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부동(의정부역. 흥선지하차도입구) | ||
종점행 | 첫차 | 05:00 | 기점행 | 첫차 | 06:25 |
막차 | 21:40 | 막차 | 23:20 | ||
평일배차 | 50~90분 | 주말배차 | 50~90분 | ||
운수사명 | 포천교통 | 인가대수 | 4대 | ||
노선 | 산정호수.상동주차장 - 하동주차장 - 산정리 - 문암삼거리 - 영북면사무소 - 야미리 - 성동5리 - 광명휴게소 - 영중면사무소 - 양문리터미널 - 만세교 - 신포천아파트 - 신북면사무소 - 골든아파트 - 포천시청 - 포천고 - 어룡2통 - 자작2통 - 선단1통(대진대입구) - 송우리터미널 - 송우6리시장 - 대방아파트 - 의정부성모병원 - 경기지방경찰청제2청사 - 의정부버스터미널 → 의정부중앙역 → 의정부경찰서 → 의정부역. 흥선지하차도입구 → 한화생명 → 시장앞 → 구.터미널 → 의정부시외버스터미널 → 이후 역순 |
산정호수 ↔ 의정부역. 포천교통 노선. 2019년 7월 11일 직행좌석버스 1386번으로 형간전환되었다.
3.7. 포천 버스 138-7 (1기 노선)
| |||||
기점 |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자일1리) | 종점 |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부동(의정부역. 흥선지하차도입구) | ||
종점행 | 첫차 | 05:00 | 기점행 | 첫차 | 06:25 |
막차 | 21:50 | 막차 | 23:40 | ||
평일배차 | 1일 4회 | 주말배차 | 1일 4회 | ||
운수사명 | 선진시내버스 | 인가대수 | 1대 | ||
노선 | 자일1리 - 자일3리 - 문암삼거리 - 영북면사무소 - 야미리 - 성동5리 - 광명휴게소 - 영중면사무소 - 양문리터미널 - 만세교 - 신포천아파트 - 신북면사무소 - 골든아파트 - 포천시청 - 포천고 - 어룡2통 - 자작2통 - 선단1통(대진대입구) - 송우리터미널 - 송우6리시장 - 대방아파트 - 의정부성모병원 - 경기지방경찰청제2청사 - 의정부버스터미널 → 의정부중앙역 → 의정부경찰서 → 의정부역. 흥선지하차도입구 → 한화생명 → 시장앞 → 구.터미널 → 의정부시외버스터미널 → 이후 역순 |
2008년 12월에 폐선된 노선으로, 지금은 시내버스가 다니지 않는 자일1리 입구에서 회차했다. 자일1리 입구에서 다리 하나 건너면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이었다는 점이 흠좀무. 그러다가 폐지되고 138-6번이 1일 4회 자일리를 들어가도록 조정되었다가 5번이 들어가게 되면서 지원운행이 사라졌으며 지금은 5번이 폐선되며 자일1리에 시내버스가 들어가지 않는다.[2]
3.8. 포천 버스 138-7 (2기 노선)
3.9. 포천 버스 138-8
3.10. 포천 버스 138-9
| |||||
기점 |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산정호수.상동주차장) | 종점 |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부동(의정부역. 흥선지하차도입구) | ||
종점행 | 첫차 | 05:00 | 기점행 | 첫차 | 06:25 |
막차 | 21:40 | 막차 | 23:20 | ||
평일배차 | 1일 4회 | 주말배차 | 1일 4회 | ||
운수사명 | 포천교통 | 인가대수 | 1대 | ||
노선 | 산정호수.상동주차장 - 하동주차장 - 산정리 - 문암삼거리 - 영북면사무소 - 야미리 - 성동5리 - 광명휴게소 - 양문산단 - 영중면사무소 - 양문리터미널 - 만세교 - 신포천아파트 - 신북면사무소 - 골든아파트 - 포천시청 - 포천고 - 어룡2통 - 자작2통 - 선단1통(대진대입구) - 송우리터미널 - 송우6리시장 - 대방아파트 - 의정부성모병원 - 경기지방경찰청제2청사 - 의정부버스터미널 → 의정부중앙역 → 의정부경찰서 → 의정부역. 흥선지하차도입구 → 한화생명 → 시장앞 → 구.터미널 → 의정부시외버스터미널 → 이후 역순 |
산정호수 ↔ 의정부역. 선진시내버스 노선. 원래 138-6번에서 1대를 빼서 양문공단 통근노선이랍시고 만들었다가 138-6번 연선배차간격이 문제가 되자 조용히 산정호수로 연장해서 굴리더니 어느 순간부터 138-6번과 통합되어 사라졌다.
舊 138-6번이 양문공단을 들어갔었던 것이 그 흔적이다.
3.11. 포천 버스 171
산정호수 ↔ 포천. 2000년대 초중반 폐선.3.12. 포천 버스 660, 660-1
| |||||
기점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도평리터미널) | 종점 | 경기도 포천시 신읍동(포천고) | ||
종점행 | 첫차 | - | 기점행 | 첫차 | - |
막차 | - | 막차 | - | ||
배차간격 | - | ||||
운수사명 | 선진시내버스 | 인가대수 | 3대 | ||
노선 | 도평리터미널 - 이동 - 노곡리 - 수입2리 - 운담사거리 - 일동버스터미널 - 기산1리 - 길명리 - 만세교 - 신포천아파트 - 신북면사무소 - 가채2리 - 골든아파트 - 포천시청 - 포천고 |
| |||||
기점 |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도평리터미널) | 종점 | 경기도 포천시 신읍동(포천고) | ||
종점행 | 첫차 | - | 기점행 | 첫차 | - |
막차 | - | 막차 | - | ||
배차간격 | - | ||||
운수사명 | 선진시내버스 | 인가대수 | 2대 | ||
노선 | 도평리터미널 - 이동 - 이동초교 - 원평마을 - 사직1리 - 운담사거리 - 일동버스터미널 - 기산1리 - 길명리 - 만세교 - 신포천아파트 - 신북면사무소 - 가채2리 - 골든아파트 - 포천시청 - 포천고 |
선진시내버스가 운행하던 노선.
둘 다 도평리에서 포천을 잇는 노선이었지만, 660번은 138-5번과 동일하게 운행했고, 660-1번은 원평마을을 경유했다. 660번은 2010년 10월에 폐선되었고, 660-1번은 2011년 4월에 의정부로 연장되면서 138-7(2기노선)으로 변경되었다.
4. 직행좌석버스
4.1. 포천 버스 1001 (★)
4.2. 포천 버스 3100-1 (1기, 2기 노선)
1기: 2013년 2월에 포천시청에서 출발하는 노선을 따로 만들었다. 번호상으론 3100-1번이나 실제로는 별도 표시없이 운행했다. 그러다 2014년 2월 폐선.
2기: 2016년 3월 2일 차의과학대학교에서 출발하는 노선을 따로 만들었다. 그러다 이용승객 저조로 2017년 4월 소리소문 없이 폐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