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14:32:51

폴란드 여왕 키우기

폴프메에서 넘어옴
폴란드 여왕 키우기
파일:폴란드 여왕 키우기.jpg
장르 대체역사
작가 마늘맛스낵
출판사 JHS BOOKS
연재처 문피아
네이버 시리즈
연재 기간 2024. 05. 09. ~ 연재 중

1. 개요2. 줄거리3. 연재 현황4. 등장인물5. 개변된 역사
5.1.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폴란드-리투아니아-루테니아 연방(삼중 연방)5.2. 세계
6. 기타

[clearfix]

1. 개요

한국의 대체역사물 웹소설. 작가는 고려, 신대륙에 떨어지다를 집필한 마늘맛스낵. 약칭은 폴프메[1].

2. 줄거리

남부 대공으로 폴란드 여왕 키우기
동유럽 여행을 하다 우연히 만난 여자친구 '엘라'와 함께 얀 3세 소비에스키 왕 시대의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으로 트립한 '정훈'이 명장으로 활약하며 폴리투 연방을 바꿔나가는 이야기이다.

3. 연재 현황

2024년 5월 9일 문피아에서 연재를 시작하였다.

2024 지상최대 웹소설 공모전 특선 수상작이다.

4. 등장인물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4.1. 현대

4.2. 폴란드

4.2.1. 주역

4.2.2. 소비에스키 가문

4.2.3. 슐라흐타

4.2.4. 기타

4.3. 오스만 제국

4.3.1. 몰다비아 공국

4.3.2. 크림 칸국

4.3.3. 카바르디야 대공국

4.3.4. 왈라키아 공국

4.3.5. 압하지야 공국

4.4. 루스 차르국

4.5. 신성 로마 제국

4.6. 프랑스 왕국

4.7. 잉글랜드 왕국

4.8. 스웨덴 제국

4.9. 스페인 왕국

4.10. 이메레티 왕국

4.11. 교황령

4.12. 청나라

4.13. 조선

5. 개변된 역사

5.1.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폴란드-리투아니아-루테니아 연방(삼중 연방)

폴란드 왕국과 리투아니아 대공국(1569~1697)
[Królestwo Polskie i Wielkie Księstwo Litewskie]

삼중 연방(1697~)[12]
[Rzecczpospolia Trajga Narodów]
파일:폴란드-리투아니아-루테니아 연방 국기.png
국기[13]
Si Deus Nobiscum quis contra nos
주님께서 우리와 함께 계신다면 누가 우리를 반대할 수 있겠는가[14]
(1699~)
작중 지도나 팬제작 지도 첨부
1569년 ~
국가 어머니 폴란드여, 기뻐하라
수도 크라쿠프(1569 ~ 1596[15])
바르샤바(1596~)
정치 체제 군주제[16](귀족공화제)
국가 원수 (폴란드 국왕)
대공 (리투아니아 대공 및 루테니아 대공)
주요 군주 지그문트 2세 아우구스트(1569~1572)[17]
스테판 바토리, 안나 야기엘론카(1575~1587)
지그문트 3세 바사(1587~1632)
브와디스와프 4세 바사(1632~1648)
얀 3세 소비에스키(1674~1697)
야쿠프 소비에스키(1697~1699)
엘주비에타 안나 소비에스카 & 정훈 바코비에(1699~)
인구 불명
민족 폴란드인, 리투아니아인, 루테니아인(루스인), 벨라루스인, 독일인, 아슈케나짐
언어 폴란드어
리투아니아어
루테니아어[18]
독일어[19]
라틴어
이디시어
인터슬라빅
종교 가톨릭, 정교회, 개신교, 유대교[20]
통화 즈워티
주요 사건 [ 펼치기 · 접기 ]
연방 설립 1569년
데울리노 조약 1618년
대홍수 1648년
몰다비아 원정 1691년
포돌레 원정 1692년
1693년 세임 1693년
1694년 로코슈 1694년
아치칼레 원정 1695년~1697년
볼라 조약 1697년
대북방전쟁 참전 1698년~1699년
엘라 여왕과 바코비에 공동 즉위 1699년
[clearfix]

5.2. 세계

6. 기타

폴란드-리투아니아 시대를 전면적으로 다룬 최초의 한국 대체역사물이라는 특성과, 명군이 되어보세! 3부 유럽과 동시대를 배경으로 한다는 점으로 인해 주목을 받았다. 이러다 보니 명군이 되어보세! 3부 유럽 정세와 본작이 서로 비교되는 경우가 많다.

당대 폴란드-리투아니아가 전근대 동아시아식 중앙집권에 익숙한 한국인들에게 이해가 안 갈 정도의 '황금의 자유'의 실상이 적나라하게 밝혀지면서 독자들의 얼을 빠지게 했다. 이 때문에 고려 광종홍무제의 숙청은 옳았다, 스탈린대숙청이 필요하다는 드립이 흥했다.

폴란드-리투아니아뿐만 아니라 독자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던 당대 유럽 내륙의 각국 정치 구도가 더 자세히 밝혀지기도 했는데, 그동안 '신성하지도 로마이지도 제국이지도 않다'는 밈으로 알려진 신성로마제국이 한때는 그래도 잘나갔다는 것과, 표트르 1세의 답이 안 보이는 여성 편력과 그로 인한 알렉세이 페트로비치 황태자와의 갈등 등으로 인해 표트르 1세의 평이 내려가기도 했다.[25]


[1] '여왕 키우기' → 프린세스 메이커[2] 게임 플레이 묘사와 국내 유저층이 적다는 서술을 보아 토탈 워 시리즈로 추정.[3] 여기서 전작의 주인공인 김상민이 언급되어, 독자들은 "불멸의 용에게 선택받아 트립했다"는 드립을 쳤다(...).[4] 가끔 독자들 중엔 온달평강공주 희망편 아니겠냐는 반응도 있다.[5] 심지어는 우연에 가깝다고 하나 날아오는 총탄을 베어버리는 묘기까지 보여준다.[6] 그녀가 낀 소비에스키 가문의 반지가 동반 트립의 트리거인 듯한 묘사가 있으며 17화에 엘라가 얀 3세를 먼 선조라 묘사한다.[7] 원역사에선 1674년에 태어나서 얼마 안가 죽은 딸이다. 베네치아 여행 중에 추측하기로는 정훈만큼은 아니어도 이쪽도 빙환트 과정에서 건강상으로 보정을 받은 것 같다고 언급된다.[8] 신라와 고려 초기 계승권과 왕통 확립을 위해 족내혼 및 근친혼이 잦았음을 생각하면 된다. 또 소비에스키는 이때까지 근친혼을 안 했기 때문에 당대 합스부르크 가문처럼 근친혼 누적으로 인한 장애가 바로 일어나지는 않는다.[9] 언급되지는 않으나 엘주비에타와 사촌이다. 얀 3세의 여동생의 아들.[10] 독살 시도에 가담한 이들은 설마 일국의 왕자가 이처럼 조잡한 요리를 먹을까 싶어서 독을 타지 않았는데, 이것이 요제프의 목숨을 구했다. 이전부터 이모부인 정훈을 동경한 요제프는 이모부가 가르쳐준 체조와 식이요법 등을 따라하고 있었는데, 이 일을 계기로 더더욱 정훈을 동경하게 된다.[11] 다른 대체역사소설 명군이 되어보세!에서도 이 인물이 스페인 국왕이 된다.[12] 작중 1697년 볼라조약으로 루테니아 대공국 신설과 함께 재편되었다.[13] 엘라가 즉위하면서 바뀐 국기[14] 로마서 8:31, 원역사에서도 구호였으나 엘라가 먼저 사용함.[15] 명목상 1569~[16] 세습군주제(1569년 ~ 1572년)→선거군주제(1573년 ~)[17] 폴란드의 왕으로서는 1548년부터 재위.[18] 우크라이나어벨라루스어의 전신[19] 단치히, 프로이센 공국, 쿠를란트-젬갈렌 공국에서 사용[20] 원역사와 마찬가지로 여러 인종과 함께 종교가 혼재되어있다.[21] 다만 비벤테 레게에 대한 철회를 요구한 1694년 로코슈로 인해, 로코슈 이후에 완전히 통과된다.[22] 여기에는 이익의 최소 경작지 개념(한전론)과 박지원의 최대 경작지(한전론) 개념을 차용했다.[23] 작중 소비에스키 가문의 몰다비아 공국과 유사하지만, 몰다비아 공국은 작위를 넘겨받은 타국이라면 루테니아는 탈환한 폴리투의 영토라는 차이가 있다.[24] 현대 우크라이나어벨라루스어의 조상 언어.[25] 이 때문에 명군이 되어보세! 3부 유럽 정세가 다시 보니 선녀 같다는 재평가를 받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