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실존했던 익룡}}}에 대한 내용은 [[게오스테른베르기아]]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게오스테른베르기아#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게오스테른베르기아#|]]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실존했던 익룡: }}}[[게오스테른베르기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게오스테른베르기아#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게오스테른베르기아#|]]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람베오사우루스 오우라노사우루스 친타오사우루스 (프테라노돈) | → | 산퉁고사우루스 (세이스모사우루스)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006년 시리즈(무인편) | ||||
| | | | | |
람베오사우루스 | 오우라노사우루스 | 친타오사우루스 | 산퉁고사우루스 | 마이아사우라 | |
| | | | | |
파라사우롤로푸스 | 후쿠이사우루스 | 이구아노돈 | 프테라노돈 | 세이스모사우루스 | |
| |||||
오비랍토르 | |||||
2007년 시리즈 | |||||
| | | | | |
알티리누스 | 코리토사우루스 | 사우롤로푸스 | 무타부라사우루스 | 아나토티탄 | |
| | | |||
카로노사우루스 | 파라파라 | 수페르사우루스 | |||
격투! 쟌쟈크!! 시리즈 | |||||
| | | | | |
캄프토사우루스 | 브라킬로포사우루스 | 프로사우롤로푸스 | 애니메이티드 친타오사우루스 | 투푹수아라 | |
깨어나라! 새로운 힘!! 시리즈 | |||||
| | | | | |
람베오사우루스 마그니크리스타투스 | 란조사우루스 | 에드몬토사우루스 | 올로로티탄 | 민미 | |
| |||||
무라에노사우루스 | |||||
ㅤㅤ: 공룡 카드, ㅤㅤ: 스킬 카드 |
프테라노돈 プテラノドン|Pteranodon | |
{{{#!wiki style="margin: -5px -10px" width=150 |
정보 | ||
종 | 프테라노돈 롱기켑스(P. longiceps)[1] | |
속성 | ||
날개 편 길이 | 7m | |
사용자 | 타츠노 마루무 | |
소속 | [[D-KIDS|{{{#FFCC21 D-KIDS}}}]] | |
소환되는 스킬 카드 | 메탈 윙Metal Wing | |
[[포효|{{{#white 포효}}}]] |
1. 개요
홈페이지 |
2. 상세
우선 이 프테라노돈은 게오스테른베르기아로 재명명되었으며 게오스테른베르기아 또한 분류학적 입지는 다소 불분명한데, 비록 2010년에 별도의 속으로 재분류되어 프테라노돈과 가까운 친척 정도로 여겨지지만, 이 익룡을 다시 프테라노돈의 한 종으로 봐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볏과 주둥이는 노란색이며 갈색 줄무늬가 있지만 몸통과 날개는 하늘색이다.소환되는 스킬 카드는 메탈 윙이며 프테라노돈 3마리가 튀어나와 상대에게 돌진해 상대를 쓰러트리는 기술이다.[3]
2.1. 아케이드
|
아케이드 스킬 카드 |
소환 장면 |
- 기호 : 보
- 힘 부스트: 200(치명적이지 않음); 300(치명적)
- 기술 향상: 50
- 사용 조건: 보로 승리 할 시 발동.
2.2. DS
|
인게임 모델링 |
2.3. 만화
1권 표지에서 모습을 드러낸다.
2.4. 애니메이션
등장 고생물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불꽃 속성 | |||||
| | | | | | |
티라노사우루스 |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 아크로칸토사우루스 | 다스플레토사우루스 | 사우로파가낙스 | 마푸사우루스 | |
| | | | | ||
블랙 티라노사우루스 | 토르보사우루스 | 양추아노사우루스 | 라자사우루스 | 기가스 | ||
물 속성 | ||||||
| | | | | | |
스피노사우루스 | 살타사우루스 | 수코미무스 | 아마르가사우루스 | 후타바사우루스 | 바리오닉스 | |
| | | | | ||
암펠로사우루스 | 슈노사우루스 | 요바리아 | 오프탈모사우루스 | 티타노사우루스 콜베르티 | ||
천둥번개 속성 | ||||||
| | | | | | |
트리케라톱스 | 스티라코사우루스 | 안키케라톱스 | 토로사우루스 | 펜타케라톱스 | 디케라톱스 | |
| | | ||||
아켈로우사우루스 | 파키리노사우루스 | 막시무스 | ||||
흙 속성 | ||||||
| | | | | | |
사이카니아 | 안킬로사우루스 | 에우오플로케팔루스 | 스테고사우루스 | 에드몬토니아 | 투오지앙고사우루스 | |
| | |||||
렉소비사우루스 | 아르마투스 | |||||
풀 속성 | ||||||
| | | | | | |
파라사우롤로푸스 | 마이아사우라 | 프테라노돈 | 알티리누스 | 세이스모사우루스 | 수페르사우루스 | |
| | | | | | |
사우롤로푸스 | 이구아노돈 | 후쿠이사우루스 | 산퉁고사우루스 | 투푹수아라 | 란조사우루스 | |
바람 속성 | ||||||
| | | | | | |
카르노타우루스 | 유타랍토르 | 케라토사우루스 | 메가랍토르 | 델타드로메우스 | 알로사우루스 | |
| | | ||||
마준가사우루스 | 고지라사우루스 | 아프로베나토르 | ||||
비밀 공룡 | ||||||
| | | | | | |
무속성 | ||||||
| | | | |||
파파사우루스 | 벨로키랍토르 | 피아트니츠키사우루스 | 안항구에라 | }}}}}}}}} |
|
나고야 테레비 홈페이지 |
|
스킬 카드 발동 |
3. 작중 행적
3.1. 1기
- 1화에서 류타가 꾸는 꿈에서 짤막하게 등장한다.
- 10화에서 처음으로 모습을 선보이며 타츠노 마루무가 도시 한목판에서 아쿠토단이 가져간 카드 폴더에서 메탈 윙 카드가 떨어지자 프테라노돈 카드를 얻는다. 그리고 티라노와 대전시 필살기로 프테라노돈을 소환시키며 그대로 티라노를 쓰러트린다.
- 21화에서 아쿠토단 3총사들을 쪼아서 공격한다.
- 22화에서 추락하려는 경비행기를 지상으로 내리는데 도와준다.
- 27화에서 공룡 유원지에서 채색된 프테라노돈 3마리가 등장한다. 당연히 복제품이며, 이후 후반부 결전에서 스피노를 상대로 소환되어 승리한다
- 34화에서 디노닉스를 제압하기 위해, D키즈 전원이 합동공격을 할 때 이들보다 빠르게 나아가 도망다니는걸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4]
- 35화에서 10화 이후로 간만에 티라노사우루스를 상대한다. 초반엔 티라노를 압도했지만, 항상 저러다가 졌다는 메타발언을 들은 젠더가 티스메시 기술카드를 사용해 최초로 패배한다. 아이러니한 건 프테라노돈이 처음으로 쓰러뜨린 것도 티라노지만, 처음으로 쓰러진 것도 티라노라는 것.
- 36화에서 류타의 꿈에서 잠시 등장한다.
- 37화에서 가부를 돕기 위해, 34화때처럼 파라파라가 에이스와 합동 공격할 때 보조로 소환될 뻔 했으나, 벨로키랍토르의 삼각 기술카드 때문에 방해를 받아 소환되지 못한다.
- 39화에서 마푸사우루스를 공격한다.
3.1.1. 최종 결전
- 49화에서 노피스에 의해 도시 한복판에 소환되었지만 블랙 티라노 처치 이후 사라졌다.
3.2. 2기
- 50화에서 야생 프테라노돈이 잠시 날아갔다.
- 51화에서 구넨코를 쫓아낸다.
- 57화에서 짐 오하라, 고다이 류타를 태우고 검은 수염 해적선으로 보내준다.
- 59화에서 재퍼가 소환한 투푹수아라와 결전을 내린다.
- 70화에서 쟌쟈크에 의해 세뇌된 이시사우루스를 공격하기 위해 소환되었지만 이시사우루스가 전부 꼬리로 공격하자 모두 카드로 되돌아온다.
- 79화에선 공룡 왕국에서 등장한다.
여담으로, 애니기준 2기에서 1기보다 대우가 나빠졌는데, 2기에서 첫 소환됐을때, 공룡을 상대하는게 아니라 고작 외계인인 구넨코(부랭크)를 상대로 쫓아갔으나 잡지도 못하였고,[5] 그 후 한국판 기준 10화에서 투푹수아라와 결전을 내렸다고 나와있지만 결과적으로는 판정패였고[6], 이후 이시 사우루스와의 전투에선 이 공룡이 코스모스톤이라는 우주의 힘을 가진 보물과, 특제 자크아머를 장착한 탓에 대진운이 너무나빠서 완전히 패배했다. 1기에 비해 등장횟수나 활약이 너무 줄었다.
4. 여담
다이나슨에서 제작된 치비 형태가 존재한다.
일본의 일러스트 구로카와 미쓰히로(黒川光広)가 발행한 책인 공룡대백과에 등장하는 게오스턴버기아[7]의 색 묘사가 극중 프테라노돈과 매우 비슷하게 그려졌다.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30px><tablebordercolor=#FFCC21> | 고대왕자 공룡킹 등장 고생물 |
6. 관련 문서
[1] 3마리마다 각각 볏 모양의 차이가 있는데 한마리는 프테라노돈의 볏모양을 지니고 있지만 나머지 두마리는 게오스테른베르기아의 볏모양을 지니고 있다.[2] 다만 이 종은 투판닥틸루스로 재명명된 종이고 애니메이션 더빙판에서 등장한 타페야라는 투푹수아라이다. 투푹수아라의 경우 더빙 시 타페야라와 헷갈려 타페야라로 한 모양.[3] 다만 애니판에서 돌진 말고 적에게 다가와 상대를 찌르거나 추락 위기에 처한 경비행기를 뒷다리로 잡아 지상으로 천천히 내려주는 경우도 있다.[4] 디노닉스는 이후, 에이스의 닌자어택과, 가부의 기가라이든으로 카드로 돌아간다.[5] 2기 중반부에 파라파라와 합을 이루어 상대공룡과 재퍼를 동시에 날린 투푹수아라와 비교된다.[6] 물론 3마리 중 리더격인 볏이 가장 긴 개채는 삼장법사를 지키느라 전투에 참여를 못하고, 도망치기만 했다는걸 감안해야한다.[7] 책에서는 '프테라노돈 스텐벨기'로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