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1-11 23:24:26

피아노 협주곡(스크랴빈)


스크랴빈의 작품
{{{#!folding [ 펼치기 · 접기 ] Op.1
왈츠
Op.2
3개의 소품
Op.3
10개의 마주르카
Op.4
알레그로 아파시오나토
Op.5
2개의 녹턴
Op.6
피아노 소나타 1번
Op.7
2개의 마주르카 풍의 즉흥곡
Op.8
12개의 에튀드
Op.9
왼손을 위한 전주곡과 녹턴
Op.10
2개의 즉흥곡
Op.11
24개의 전주곡
Op.12
2개의 즉흥곡
Op.13
6개의 전주곡
Op.14
2개의 즉흥곡
Op.15
5개의 전주곡
Op.16
5개의 전주곡
Op.17
7개의 전주곡
Op.18 콘서트 알레그로
Op.19
소나타-환상곡
Op.20
피아노 협주곡
Op.21
폴로네이즈
Op.22
4개의 전주곡
Op.23
피아노 소나타 3번
Op.24
Op.25
9개의 마주르카
Op.26
교향곡 1번
Op.27
2개의 전주곡
Op.28
환상곡
Op.29
교향곡 2번
Op.30
피아노 소나타 4번
Op.31
4개의 전주곡
Op.32
2개의 시곡
Op.33
4개의 전주곡
Op.34
비극적인 시
Op.35
3개의 전주곡
Op.36
악마적인 시
Op.37
4개의 전주곡
Op.38
왈츠
Op.39
4개의 전주곡
Op.40
2개의 마주르카
Op.41
시곡
Op.42
8개의 에튀드
Op.43 신성한 시 Op.44
2개의 시곡
Op.45
3개의 소품
Op.46
스케르초
Op.47
왈츠같이
Op.48
4개의 전주곡
Op.49
3개의 소품
Op.51
4개의 소품
Op.52
3개의 소품
Op.53
피아노 소나타 5번
Op.54
법열의 시
Op.56
4개의 소품
Op.57
2개의 소품
Op.58
알붐블라트
Op.59
2개의 소품
Op.60
프로메테우스
Op.61
녹턴풍의 시곡
Op.62
피아노 소나타 6번
Op.63
2개의 시
Op.64
피아노 소나타 7번
"하얀 미사"
Op.65
3개의 에튀드
Op.66
피아노 소나타 8번
Op.67
2개의 전주곡
Op.68
피아노 소나타 9번
"검은 미사"
Op.69
2개의 시곡
Op.70
피아노 소나타 10번
Op.71
2개의 시곡
Op.72
불꽃을 향하여
Op.73
2개의 춤
Op.74
5개의 전주곡
WoO 1
캐논
WoO 2
로망스
WoO 3
녹턴
WoO 4
스케르초
WoO 5
스케르초
WoO 6
환상곡풍의 소나타
WoO 7
왈츠
WoO 8
왈츠
WoO 9
에고로프 변주곡
WoO 10
듀엣
WoO 11
마주르카
WoO 12
푸가
WoO 13
푸가
WoO 14
마주르카
WoO 15
마주르카
WoO 16
마주르카
WoO 17
알붐블라트
WoO 18
환상곡
WoO 19
소나타
WoO 20
푸가
WoO 21
로망스
WoO 22
에튀드
WoO 23
러시아 주제에 의한 변주곡
WoO 24
교향적 알레그로
WoO 25
알붐블라트
전주곡 론도 헝가리 광시곡 A8
에튀드 Db장조
A9
에튀드 F#장조
A11
소나타
A13
왈츠-즉흥곡
A14
발라드
A16
피아노 곡
A18
스케르초
케이스툿과 비루스타
A20
안단테
미스테리움 }}}

1. 개요2. 역사3. 구조
3.1. 1악장 Allegro F#단조3.2. 2악장 Andante F#장조3.3. 3악장 Allegro Moderato F#단조

1. 개요


2. 역사

스크랴빈이 24세일때(1896) 이 곡을 작곡하였으며, 피아노 파트는 며칠만에 완성하였지만, 오케스트라 파트의 작곡이 늦어져서 1년 뒤에 초연하고, 2년 뒤에 출판하게 되었다.

3. 구조

3악장의 구조로 되어 있다.

3.1. 1악장 Allegro F#단조

소나타 형식으로, 차분한 오케스트라의 서주로 시작한다. 그리고, 피아노의 독주로 메인 테마가 제시되고, 오케스트라가 곧 이어받는다. 이어지는 두번째 주제는 조금 더 평온한 분위기의 주제이다. 발전부는 처음과 마찬가지로, 오케스트라의 서주로 시작되고, 곧 조금 더 화려해진 제1주제로 시작한다. 이어지는 부분도 평온하고 공중에 떠있는 듯한 분위기를 준다. 그러다가 조금 더 우울한 섹션으로 넘어가는데, 이것이 끝나면 재현부가 시작하면서 클라이막스로 넘어가게 된다. 총 2개의 클라이막스가 존재하는데, 제1주제가 주가 되는 서정적인 클라이막스이다. 그리고 다시 제2주제가 등장하고, 코다로 넘어가는데, 제1주제가 주가 되고, 약간 힘이 빠진 듯한 느낌이 들다가, 점점 고조되면서 마지막에는 F#단조의 팡파르와 함께 끝난다.

3.2. 2악장 Andante F#장조

F#의 조성은 스크랴빈 자신에 따르면 하늘색의 신비로운 색이라고 한다. 어쨌든, 변주곡의 형태인 이 악장은 오케스트라에 의해 주제가 제시되며 시작한다. 이 주제는 매우 차분하고 우아하다. 이어서 피아노가 아르페지오로 가득 찬 변주를 제시하는데, 이 변주는 오케스트라의 테마 아래에 피아노의 아르페지오가 더해져 있다. 두번째 변주는 더 빠르고, 피아노가 주가 되며 활기차고 밝은 분위기이다. 하지만, 세번째 변주는 장송곡과도 같은 무거운 변주이다. 하지만, 슬픔도 잠시. 4번째 변주가 등장하면서 첫 변주와 같은 밝고 가벼운 아르페지오들로 가득 찬 분위기로 바뀐다. 다섯번째 변주는 첫번째와 거의 비슷하지만, 폴리리듬이 더해진 변주이다. 그리고, 이 차분한 분위기를 계속 유지해 나가다가 조용히 끝나게 된다.

3.3. 3악장 Allegro Moderato F#단조

세 악장 중 가장 길며, 소나타 형식이다. 피아노의 비르투오소적인 독주가 첫번째 테마이다. 곧 이 테마는 두번째 테마에게 자리를 내주는데, 이 두번째 테마는 A장조로, 피아노의 독주로 처음 제시되게 되는데, 매우 우아하고 이 곡까지 스크랴빈이 작성한 주제들 중 가장 아름답다고도 할 수 있을 정도로 아름다운 주제이다. 2악장이 생각나는 연결부를 지나면, 제시부가 시작되는데, 다시 제1주제가 등장하며 시작한다. 이 1주제는 계속 변형되며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는데, 그러면서 점점 고조되다가 클라이막스에 도달하게 되는데, 이 클라이막스는 D장조로, 두번째 주제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오케스트라가 주제를 연주하면서 피아노가 옥타브로 밑에서 받쳐주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이것이 끝나면 제1주제가 등장하면서 재현부가 시작한다. 재현부는 제시부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지만, 2주제가 등장할 때 F#장조로 바뀐다. 아까의 2악장 같은 연결부를 지나면, 코다가 시작되며 제1주제의 변형된 형태가 등장한다. 그리고, 잠시 A단조로 바뀌며 묘한 분위기를 주지만, 곧 다시 F#장조로 돌아오며 매우 밝고 힘차게 곡을 마무리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