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 Ninjas in Pyjamas 2025 시즌 로스터 | }}}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 <colbgcolor=#000><colcolor=#d8ff00> 감독 | 뤄빈 Rashomon | ||
분석 | 신민성 Cluo | |||
로스터 | ||||
TOP | shanji ]] | |||
JGL | Aki ]] | |||
MID | Doinb ]] | |||
BOT | Leave ]] | |||
SPT | ppgod ]] | |||
LPL 참가팀 로스터 | }}}}}}}}} |
궈펑 관련 틀 | |||||||||||||||||||||||||||||||||||||||||||||||||||||||||||||||||||||||||||||||||||||||||||||||||||||||||||||||||||||||||||||||||||||||||||||||||||||||||||||||||||||||||||||||||||||||||||||||||||||||||||||||||||||||||||||||||||||||||||||||||||||||||||||||||||||||||||||||||||||||||||||||||||||||||||||||||||||||||||||||||||||||||||||||||||||||||||||||||||||||||||||||||||||||||||||||||||||||||||||||||||||||||||||||||||||||||||||||||||||||||||||||||||||||||||||||||||||||||||||||||||||||||||||||||||||||||||||||||||||||||||||||||||||||||||||||||||||||||||||||||||||||||||||||||||||||||||||||||||||||||||||||||||||||||||||||||||||||||||||||||||||||||||||||||||||||||||||||||||||||||||||||||||||||||||||||||||||||||||||||||||||||||||||||||||||||||||||||||||||||||||||||||||||||||||||||||||||||||||||||||||||||||||||||
|
| |
<colbgcolor=#000><colcolor=#d8ff00> Ninjas in Pyjamas ppgod | |
궈펑 (郭鹏[1] | Guo Peng) | |
출생 | 2000년 3월 31일 ([age(2000-03-31)]세) |
국적 |
|
ID | 칠리 맛있어요 #KR1 # |
포지션 | 서포터 |
소속 | FunPlus Phoenix (2018.09.20 ~ 2020.05.26) Victory Five (2020.05.26 ~ 2021.05.26) Bilibili Gaming Pingan Bank (2021.05.26 ~ 2021.11.24) Victory Five (2021.12.14 ~ 2022.12.14) Oh My God (2023.01.07 ~ 2024.12.09) Ninjas in Pyjamas (2024.12.14 ~ ) |
1. 개요
중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現 LPL의 Ninjas in Pyjamas 소속 서포터.2. 플레이 스타일
전형적인 LPL 스타일의 호전적인 서포터. 프로씬에 자주 나오는 이니시형 서포터들을 대부분 잘 다루면서 과감하게 싸움을 걸어줄 수 있다. 수동적인 픽보다는 오히려 바드나 쓰레쉬처럼 적극적으로 돌아다니면서 뭔가를 만들어내는 챔피언을 잘하는 편이다.우승권에 오르거나 국제전에 출전한 적은 없어서 인지도가 비교적 떨어지지만 거쳐온 팀들에서 메인오더를 줄곧 맡아온 만큼, LPL 내에서는 뇌지컬 뛰어난 오더형 서포터로 꼽을 수 있다. 거의 모든 시즌 소속팀이 시즌 전 전력 평가보다 좋은 성적을 기록하는 편인 '돌풍 제조기'인데[2], 피피갓에게 팀 짜임새를 올려주는 능력이 분명히 어느 정도 있다는 점을 증명해주는 대목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파트너를 돋보이게 해주는 서포터이기도 한데, 커리어를 돌아보면 에이밍과의 부진했던 시즌을 제외하고 원딜들이 언제나 피피갓을 만난 전후에 비해 확연히 좋은 폼을 보여주었다.
단점으로 개인기량에 한계가 다소 있다. 라인전이 그다지 돋보이지 않으며, 불안정하고 눈에 띄는 스로잉을 자주 하다보니 오프시즌 때 준수한 매물로 평가받는 것과 별개로 막상 시즌 중에는 눈에 띄게 잘한다고 고평가받는 일이 드물다. 이 때문에 꾸준히 중상위권 팀에서 일자리를 찾지만 진짜 강팀 로스터에 포함된 적은 거의 없고, 팀이 고점을 찍어 최상위권에 올라가면 본인이 약점이라는 소리를 듣게 된다.
특유의 본헤드 플레이만 아니면 좋은 평가를 받는다는 점에서 에포트와도 비교될 수 있으나 뜯어보면 정확히 정반대고, 낮은 저점과 투박함에도 불구하고 꾸준한 저력은 오히려 투신과 더 비슷할지도 모른다.
3. 주요 경력
LPL All-Pro Team 선정 |
2020 LPL SUMMER 3RD TEAM |
2025 LPL SPLIT 1 2ND TEAM |
4. 선수 경력
FunPlus Phoenix 2팀 출신의 서포터. 2020시즌 스프링 후 V5로 이적했다.단순히 닉네임만 특이한 것이 아니라 쌈디와 봇듀오를 이루어 이게 신인이 맞나 싶은 경기력으로 스프링 전패팀을 캐리하고 있다. 중국 케리아라는 이야기가 나올 정도로 체급이 높고 똑똑하고 두루두루 잘한다. 예전 1팀 서포터인 크리스프가 무력은 최고지만 도인비 의존도가 높은 것과 비교했을 때 더욱 부각되는 장점이며 특히 서머시즌 LPL 대부분 팀들의 서포터들이 계속 기복있는 경기력을 보여주는 와중에 꾸준한 폼을 보여주는 몇 안 되는 서포터라서 징동 게이밍의 LvMao와 중체폿 경쟁을 할 수 있는 레벨로 평가받는다.
하지만 2021년에는 폼이 많이 떨어졌고, 여전히 괜찮은 평가를 받으며 BLG로 이적했으나 서머에도 별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지 못하다. 심지어 WE와의 대결에서는 WE 3.0 멤버들 중에 썩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는 미싱보다 훨씬 못했다. 중후반 쓰로잉 측면에서 독보적인 역캐리력으로 기존의 역캐리 담당 비우비우 에이밍과 함께 난형난제라 아니할 수 없었다.
사실 중국에서 에이밍에 대한 여론이 의외로 한국만큼 박하지 않은 것이 스프링 마크 미티어와 서머 피피갓의 부진 때문이기도 하다. 어쨌든 에이밍은 메카닉 자체는 뛰어나지만 스스로 모험을 해서 판을 깔거나 한타에서 남들 못 보는 리스크 있는 각을 보는 원딜러는 아니기 때문에, 전성기 뱅이나 유럽의 코비처럼 타 포지션에서 메카닉이 떨어질지언정 팀적으로 해야 할 일은 해서 딜링의 근거를 제공해줘야 본인의 무력도 빛이 나는 유형이다. 그런데 피피갓이 데뷔시즌 폼을 다 어디 팔아먹고 자폭을 하고 있으면 에이밍과 같은 유형의 원딜러는 심히 애매한 모습을 보이기가 쉽다.
2021년 11월 24일, BLG와의 계약이 종료되었다.#
2022년 다시 V5로 복귀하였다. 2022 스프링 시즌 초반엔 좋지 않은 폼을 보이며 부진하였으나 팀의 계속된 연승과 함께 폼이 올라오며 팀은 정규시즌 1위를 차지하였고, 마침 경쟁자들의 폼이 저하되며 얼떨결에 올프로 자리도 노려볼 수 있는 위치까지 왔으나, 아쉽게도 팀원 중 유일하게 올프로 입성에 실패하였다. 이후 플레이오프에도 패배한 경기에서 범인급으로 부진하면서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2022 서머 시즌 초반부터 2020년으로 돌아온 듯한 좋은 폼을 보여주며 순항중이다.
2022 서머 정규 시즌 종료후, 올프로팀에 들어올 것으로 예상 되었으나 예상외로 올프로 진입은 불발되었으며 이후 팀은 플레이오프 - 선발전 모두 LNG에 패배하면서 롤드컵 진출에는 실패하였다.
2022년 12월 14일, V5와의 계약이 종료되었다. 이후 특별한 소식이 들리지 않다가, OMG 유니폼을 입은 사진이 나오면서 OMG행이 유력해졌고, 1월 7일 OMG로 이적하였다.
시즌 초반 OMG 합류 이후 팀 폼이 서서히 우상향하였고, 6위로 정규시즌을 마감한 뒤 플레이오프에서 TES, LNG라는 거함들에게 일격을 먹이면서 더블 엘리미네이션 단계까지 진출시켰다.
2024 시즌 종료 이후에는 OMG를 나왔고, 동시에 NIP으로 이적하면서 23 OMG를 함께했던 샨지, 아키와 다시 한 번 함께하게 되었다. 사실 NIP의 전신이 V5이므로 어찌보면 친정팀으로 돌아왔다고도 볼 수 있기도 하다.
5. 여담
비인기팀인 V5 소속임에도 묘하게 닉네임의 영향[3]으로 서양권 LPL팬들에게 높은 인기를 자랑하고있다.[4]한국한정 별명으로는 황포강이 있다. BLG 시절에 플레이오프에서 끝장나는 경기력을 보여주자 현지 BLG팬이 '드럼통에 넣어서 황포강에 던져버려야 한다'라는 톡식한 글을 남긴것에서 유래했으며 이외에 위의 서양권 밈에서 따와 오줌신, 요실금 등으로도 불린다.
한국에서는 쌈디와 함께 하던 20서머에도 에이밍과 함께 망해버린 21년에도 이런 해당사항이 없어서 주목도가 매우 낮은 편이었다. 하지만 V5에서 루키, 리치와 함께 정규시즌 1위를 질주하면서 전에 없던 화제의 중심이 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