넓적사슴벌레(Dorcus titanus)의 아종 목록 | |||
베트남넓적사슴벌레 | 중국넓적사슴벌레 | ||
필리핀왕넓적사슴벌레 | |
| |
학명 | Dorcus titanus imperialis |
<colbgcolor=#fc6> 분류 | |
계 | 동물계(Animalia) |
문 | 절지동물문(Arthropoda) |
강 | 곤충강(Insecta) |
목 | 딱정벌레목(Coleoptera) |
과 | 사슴벌레과(Lucanidae) |
속 | 왕사슴벌레속(Dorcus) |
종 | 넓적사슴벌레(D.titanus) |
아종 | 필리핀왕넓적사슴벌레(D. t. imperialis) |
필리핀 카탄두아네스 산지의 필리핀왕넓적사슴벌레 한쌍
1. 개요
필리핀 팔라완왕넓적사슴벌레와 민다나오왕넓적사슴벌레를 제외한 필리핀 각지에 서식하는 넓적사슴벌레의 아종. '제왕넓적사슴벌레', '임페리알리스왕넓적사슴벌레'라고도 한다.[1]수컷은 30~109mm, 암컷은 30~50mm.
필리핀넓적사슴벌레는 루존 섬, 마린두케 섬, 시부얀 섬, 사마르 섬, 레이테 섬, 카탄두아네스 섬 등에 분포하고 있으나, 중앙부의 민도로 섬, 파나이 섬에서는 발견된 적 없다.
대략적인 생김새는 다른 대형 넓적사슴벌레 아종과 비슷하며, 큰턱의 형태가 천차만별이라 구별이 불가능에 가깝다.
2. 산지와 개체변이
필리핀왕넓적사슴벌레는 산지별로 상당히 다양한 형태와 크기차이를 보인다. 특히 인기가 많은 산지는 단연 카탄두아네스 섬 산지이지만, 그 외 마린두케 섬 산이나 사마르 섬 산지의 필리핀왕넓적사슴벌레도 인기가 있다.루존 퀴리노 산지의 필리핀왕넓적사슴벌레 (루존 북동부)
루존 바나하우산 산지의 필리핀왕넓적사슴벌레 (루존 중남부)
루존 아파야오 산지의 필리핀왕넓적사슴벌레 (루존 북부)
카탄두아네스 산지의 필리핀왕넓적사슴벌레 (루손 남부 근방 섬)
마린두케 섬 산지의 필리핀왕넓적사슴벌레. 투박하고 다부진 형태로 국내 많은 단치 넓적사슴벌레들의 모토이다. 대한민국의 표본 수집가들에게 가장 인기 많은 임페리알리스 아종의 산지.
2.1. 사육
[2]
개인적인 사육을 위한 외국 곤충의 수입이 금지된 국내에는 해당 사항이 없지만, 해외에서는 이들의 큰 덩치 덕분에 사육하는 마니아가 많다.
기존에는 길이가 팔라완 다음으로 긴 개체였으나 아체가 공식적으로 110mm를 넘기면서 3위로 밀려난 상황 그래도 여전히 두흉폭은 아체 다음으로 두꺼운 2위 이다.[3]
유명 혈통으로는 이그니스,해머헤드,타이탄이다.
[1] 본 문서의 본래 제목은 임페리알리스왕넓적사슴벌레였지만 타 아종들의 관용명이 모두 일본 BEKUWA잡지 기준으로 직역한 명칭을 사용하고 있어 이에 따라 일관성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필리핀왕넓적사슴벌레로 변경되었다.[2] 일본전문곤충잡지 Be-kuwa 기네스는 일본 브리더 woodcutter의 109mm[3] 팔라완은 112mm를 넘기는 개체들에게서 종종 흉폭 37-38정도 나오는 편이지만 임페리얼리스는 100mm중반에서도 흉폭이 아체 처럼 38-39가 나올때도 있다 특히 두꺼운 흉폭을 지닌 임페리얼리스의 포스는 아체 못지 않을 정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