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01 00:50:34

한밤중 하트튠/애니메이션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한밤중 하트튠
한밤중 하트튠 (2026)
真夜中ハートチューン
<nopad> 파일:한밤중 하트튠 키 비주얼.jpg
{{{#212529,#e0e0e0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dddddd,#2d2f34><colcolor=#212529,#e0e0e0> 장르 학원, 러브 코미디, 하렘
원작 이가라시 마사쿠니
감독 타카하시 마사유키(高橋雅之)[1]
시리즈 구성 스가와라 유키에(菅原雪絵)
각본
캐릭터 디자인 시타야 토모유키
서브 캐릭터 디자인 호무라 미노리(保村 成)
소메야 유리카(染谷友梨花)
키쿠치 아키히로(菊池明紘)
미키오(みき尾)
색채 설계 사사키 아즈사(佐々木 梓)
미술 감독 미야케 마사카즈(三宅昌和)
미술 설정 카미가키 유키코(上垣裕起子)
촬영 감독 히로시마 후타(廣島颯太)
오프라인 편집 탄 아야코(丹 彩子)
온라인 편집 쿠프(クープ)
3DCG 노모토 츠토무(野元 力)
3DCG 레이아웃 하야시 아미(林 亜美)
2D 디자인 유메타 컴퍼니
UI 웍스
음악 타카하시 쿠니유키(高橋邦幸)
음향 감독 모리타 유이치(森田祐一)
음향 제작 겟코
인스피온 엣지
기획
프로듀스 NBC유니버설 엔터테인먼트 재팬
프로듀서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애니메이션 제작 겟코
제작 한밤중 하트튠 제작위원회
방영 기간 2026. 01. 06. ~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간사이 테레비, 후지 테레비 (카아니발!!)
파일:투명.png (화) 23: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정
스트리밍 (스트리밍 서비스사 이름) [2][3]
편당 러닝타임 ○○분
화수 ○○화
시청 등급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

1. 개요2. 공개 정보
2.1. PV2.2. 키 비주얼
3. 줄거리4. 등장인물5. 주제가
5.1. OP5.2. ED
6. 회차 목록7. 평가
7.1. 방영 전7.2. 방영 후
8. 기타

1. 개요

일본의 만화 한밤중 하트튠을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타카하시 마사유키, 방영 시기는 2026년 1월.

2. 공개 정보

2.1. PV

PV 제1탄
PV 제1탄 (풀보이스 ver.)
PV 제2탄

2.2. 키 비주얼

파일:한밤중 하트튠 티저 비주얼.jpg 파일:한밤중 하트튠 키 비주얼.jpg
티저 비주얼 키 비주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논텔롭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한밤중 하트튠 티저 비주얼.webp }}}}}}}}}}}}

3. 줄거리

4.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밤중 하트튠/등장인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밤중 하트튠/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밤중 하트튠/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주제가

5.1. OP

OP
月に向かって撃て
(번역명)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2d2f34><colcolor=#212529,#e0e0e0> 노래 호시마치 스이세이
작사 나나호시 관현악단
편곡
작곡 이와미 타카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2d2f34><colcolor=#212529,#e0e0e0>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 작화감독 -
}}}}}}}}} ||

5.2. ED

ED
声の軌跡
(번역명)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2d2f34><colcolor=#212529,#e0e0e0> 노래 Soala
작사
작곡 Soala
타마키 치히로(玉木千尋)
편곡 타마키 치히로(玉木千尋)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2d2f34><colcolor=#212529,#e0e0e0>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 작화감독 -
}}}}}}}}} ||

6. 회차 목록

<rowcolor=#212529,#e0e0e0> 회차 제목[4]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총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선행: 2026.01.04.
정규: 2026.01.06.
제2화 선행: 2026.01.04.
정규: 2026.01.
제3화 日: 2026.01.

7. 평가

7.1. 방영 전

스태프진이 공개되면서 우려의 반응이 커졌다. 감독 타카하시 마사유키는 전작 돼지의 간은 가열해라에서 낮은 작화 퀄리티로 빈축을 샀고 제작사인 겟코 또한 필모작 중 퀄리티로 좋은 평가를 받은 작품이 거의 없다. 게다가 캐릭터 디자인 담당은 수려한 화풍을 보여주어 호평을 받지만 애니메이터들이 그리기 어렵게 선을 많이 넣어 디자인하기로 유명한 시타야 토모유키로 배정되면서 퀄리티에 더욱 빨간불이 켜진 상황이다. 결국 우려한 대로 2차 PV에서 어색하고 미흡한 퀄리티의 작화가 공개되어 또 다시 빈축을 사게 됐다.

7.2. 방영 후

8. 기타


[1] 감독의 대표작: 돼지의 간은 가열해라[2] '▶'가 링크된 주소는 해당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작품이 방송되고 있는 주소로 기입합니다.[3] 해당 작품이 특정 스트리밍에서만 독점 공개될 경우 주소 뒷부분에 윗첨자로 '독점'을 삽입합니다.[4]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