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1 03:27:54

한성외국어학교

한성영어학교에서 넘어옴
1. 개요2. 상세3. 각 외국어학교
3.1. 한성일어학교3.2. 한성영어학교3.3. 한성법어학교3.4. 한성아어학교3.5. 한성한어학교3.6. 한성덕어학교

1. 개요

漢城外國語學校

구한말 설립된 관립 외국어학교.

일어학교를 시작으로, 영어학교 등 각 외국어별 학교가 차례로 개별 설립되었으며 나중에 한성외국어학교로 통합되었다.

2. 상세

개화기에 외국과의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통역관 양성기관이 필요해짐에 따라 1891년 한성일어학교, 1894년 한성영어학교가 세워졌고 1895년 '외국어학교관제'가 공포되었다. 이에 따라 1895년 한성법어학교, 1896년 한성아어학교, 1897년 한성한어학교, 1898년 한성덕어학교가 설립되었다.

수업연한은 일어학교와 한어학교는 3년, 다른 학교들은 5년이었다. 인원수는 필요에 따라 정해졌는데 1906년 기준으로 재학생 수는 일어학교 88명, 영어학교 127명, 법어학교 44명, 한어학교 54명, 덕어학교 20명이었다.

국가 경비를 줄이고 한 나라의 문물에만 통하여 외국의존적 파당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각국의 문화를 골고루 흡수하자는 차원에서 통합 논의가 생겼고 1906년 '외국어학교령'에 따라 각 외국어별 학교를 한성외국어학교로 통합하였다. 일어, 영어, 한어, 불어, 독어, 노어의 학과가 설치되고 수업연한은 본과 3년, 연구과 2년, 속성과 2년으로 정하였다.

경술국치 후 1911년 '조선교육령'에 따라 폐교되었다.

3. 각 외국어학교

3.1. 한성일어학교

1891년 6월 한성부 주자동에 설립되었고 이후 운현궁 맞은편으로 이전했다. 1895년 '외국어학교관제'에 따라 지방에 분교를 설치할 수 있게 되어 1895년 인천일어학교, 1907년 평양일어학교가 설립되었다. 다른 외국어학교는 분교가 설립되지 않았는데 일본의 정치적 영향력이 강화되면서 일본어 수요가 많았기 때문이다.

1906년 한성일어학교에 야간부가 설치되었고 1907년 한성외국어학교로 통합되었다. 1910년까지 한성일어학교는 본과 190명, 속성과 71명, 합계 261명, 인천일어학교는 63명, 평양일어학교는 25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대한민국 초대 검찰총장을 지냈던 권승렬법무부장관이 한성외국어학교의 일어부 출신이었다.

3.2. 한성영어학교

1883년 동문학(同文學), 1884년 육영공원이 설립되어 영어 교육을 실시했으나 큰 성과를 보지 못함에 따라 1894년 한성부 박동(육영공원 자리)에 설립되었고 이후 지금의 세종문화회관 뒤쪽으로 이전했다.

영어독해·문법·번역·작문·지리·산수, 한국 지리·역사, 논어, 체조 등의 교과목을 가르쳤으며 교장은 윤태헌이었다. 1907년 한성외국어학교로 통합되었고 1910년까지 79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3.3. 한성법어학교

프랑스어 교육을 위해 1895년 5월 10일 설립됐다. 처음엔 건물이 없이, 묄렌도르프 밑에서 근무했던 프랑스인 마르텔의 집 식당에서 18명의 학생으로 시작하여 이후 육영공원 자리로 이전했다. 1910년까지 총6회에 걸쳐 26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법란서는 프랑스의 중국어식 표기이며 흔히 쓰는 불란서는 일본어식 표기이다.

3.4. 한성아어학교

러시아어 교육을 위해 1896년 2월 한성부 수하동에 설립됐다. 1904년 러일전쟁이 발발하자 일본군이 학교 건물을 점령하였고 교관으로 활동한 러시아 포병대위 비루코프가 귀국함에 따라 문을 닫았다.

아라사는 러시아의 중국어식 표기이며 일본어식으로는 노서아라고 한다.

3.5. 한성한어학교

중국어 교육을 위해 1897년 한성부에 설립됐다. 견지동 우정국 자리에 위치했으며 1910년까지 9회에 걸쳐 59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3.6. 한성덕어학교

독일어 교육을 위해 1898년 한성부 소안동(현 안국동)에 설립됐다. 다른 외국어학교에 비해 가장 학생 수가 적었다. 1910년까지 3회에 걸쳐 5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덕국은 독일의 중국어식 표기이며 우리가 흔히 쓰는 독일이 바로 도이칠란드의 일본어식 표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