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한용섭은 대한민국의 게임 개발자이며 마비노기 영웅전의 5대 디렉터이다.닉네임은 알라논
2. 평가
2.1. 긍정적 평가
- 피드백을 수용하긴 하는 태도
말도 많고 탈도 많지만 어찌됐든 유저들이 불평한 내용은 조금이나마 수용하고 개선하는 모습이 보이고 있긴 하다. 기간 격차가 크긴 하지만 뇌절을 매번 경신하는 보스에 대응할 수 있도록 유틸 개선 패치를 하고 있으며, 여름 골든타임 때 11강 쿠폰을 빼버려 그간 욕을 많이 먹었는지, 겨울에는 출석만 해도 10강 이상[1] 오르나 무기를 지급하는 등 미약하게나마 개선은 하고 있다는 것이다.
2.2. 부정적 평가
- 치밀하지 않은 패치 내용
예를 들면 진행하려는 순회모드에서 가장 높은 전투 기준으로 입장 전투력 제한이 설정 되는 패치를 진행하자, 델리아의 로즈크러시같은 나중에 디버프가 생기는 스킬을 써 스팩저하가 일어날 시 진행이 안 되는 문제가 터진다든지 하며, 차마 이 곳에 다 적지 못할 정도로 조금 과장해서 정말 게임 내 활동에 대해 건드리는 것마다 문제가 터져나왔고[2] 그에 대한 개선책이 뾰족하지는 않고 개선까지도 조금 시간이 걸린다.
- 캐시 아이템 결제 유도
2024년 들어 인장으로 무료로 손 쉽게 얻을 수 있던 인챈트의 룬, 게브네의 강화석등과 같은 아이템을 인장 상점에서 삭제하였다.
게브네의 강화석은 제작이 가능하지만 무료로 얻어지던 때에 비해 상당히 비싸졌으며 인챈트의 룬은 인장상점 2곳에서 구할 수 있던 것이 길드 인장 상점 1곳으로 줄어 7일에 한 번 획득으로 인룬 수급이 굉장히 힘들어졌다.
2024년 겨울에는 드랍 아이템의 갯수를 늘려주는 캐시아이템을 추가하기도.
- 클라이언트 관련 오류
한용섭 디렉터와는 무관한 것일 수도 있으나, 시기가 미묘하게도 한용섭이 디렉터로 부임할 때 즈음부터 서버렉이 굉장히 심해졌다.
- 중요도를 경시한 패치 순서
2024년 여름 밸런스 패치, 겨울 골든타임+신캐등 굵직한 업데이트를 비시즌기로 연기하는 일이 잦다.
개발 인원이 부족한 것은 유저들도 인지 하고 있으며 이해하는 상황이지만 문제는 저런 굵직한 패치들을 연기한 뒤 한다는 것이
댓글 한 두개가 달리고 끝인 SNS홍보와 게임의 흥행과는 별로 영향력이 없는 아인라허, 전문기술과 좌판같은[3] 굳이 급할 것 없는 패치들을 우선시하며 다른 게임들은 방학시즌을 맞아 축제를 벌이고 있는 12월~1월 시즌을 보릿고개 시즌으로 만들어버리는 등 인력이 없는 상황에서 어떤 패치를 먼저 할 것인지에 대한 기본적인 방향성조차 제시를 하지 못한다.
3. 사건사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마비노기 영웅전/사건 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마비노기 영웅전/사건 사고#|]][[마비노기 영웅전/사건 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행보
4.1. 긍정적 행보
- 현금거래 사기로 인한 유저들의 피해를 조금이라도 막고자 에르겟이라는 인게임 내 재화를 도입하였다. 이마저도 수수료 11퍼센트라는 말도 안 되는 수치를 유지중이라 정말 유저를 위한 패치였는지도 의문이다
4.2. 부정적 행보
*
- 여러 문제점[4]으로 원성을 듣는 아인라허 컨텐츠에 대해 조작이 미숙할 때 좌절감도 줬지만 클리어 했을 때의 쾌감도 같이 주는 컨텐츠라는 이유로 개선·삭제 의견을 묵살하고 있다. 마영전 개발톡 ep.6
24년 7월 3일엔 '아인라허 개편'이라는 제목으로 개발자 노트가 올라왔으나 근본적인 문제점 개선은커녕 접근성과 동기를 부여한다는 명목 하에 랭킹 시스템 추가 및 난이도 표시 추가로 끝나 게임을 하기는 하는 거냐는 비판을 받았다. 9월에는 운영진이 아인라허를 플레이하는 영상이 올라왔는데 클리어의 쾌감 운운한 것이 무색하게도 난이도 1개로 책정된 과욕의 결말 전투에서 사망 후 포기하는 내용이라 유저들의 분노를 더더욱 키웠다. 결국 해당 영상이 삭제되고 사과문이 올라왔다.
5. 관련 문서
[1] 10강은 거래가능, 11강부터 거래불가[2] 2024년 12월 19일에 진행한 패치는 16시~19시 45분경, 07시~09시를 제외하면 하루종일 패치를 진행하며 사실상 게임을 이용 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르르며 넥슨이라는 대기업의 사원이 맞는 지 의심이 되는 수준의 능력을 보여주었다.[3] 심지어 이런 시스템들은 유저들의 반대가 극심하자 강요하는 형식으로 밀어붙이며 디오엘을 연상케 하는 행보를 보였다.[4] 캐릭터 성능에 따라 금메달 달성 난이도가 하늘과 땅만큼 차이가 나는데다가 계정 공유가 되지 않아 캐릭터별로 클리어해야 하는 점, 그리고 무엇보다도 필수 스탯인 크리티컬과 밸런스 스탯을 보상으로 넣어 억지로 돌아야 한다는 점이 주된 비판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