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2-08-02 13:02:57

폴첸

한웨이에서 넘어옴
폴첸/한웨이(Paul chen/Hanwei)

중국 대련에 소재한 나이프 & 도검 회사.

1. 개요2. 폴첸의 서양도검3. 관련 항목

1. 개요

대만인 첸차오포가 1997년 중국 다롄에서 설립한 도검업체. 폴첸은 그의 영어이름이며 한웨이는 정식 회사명이다. 설립 초기부터 모조일본도를 주력 상품으로 삼아 주로 미주유럽을 타깃으로 시장을 넓혀 갔으며, 이 때문에 처음에는 국내보다도 해외에서 더 유명했다. 서양사람들이 일본도를 선호하기는 했으나 진품 일본도는 매우 비쌌으므로 쉽게 접근하기 어려웠는데, 싼 가격으로 비슷하게 생긴 일본도를 생산해 판매함으로써 단시간에 크게 회사가 확장되었다. 2001년을 전후로 국내에서도 크게 알려졌으며, 현재는 거대해진 사세를 바탕으로 주력 산업인 모조일본도 생산은 물론 서양도검으로까지 라인을 확장하고 있다.

정식 회사명은 한웨이지만 국내외를 막론하고 아예 회사 자체를 폴첸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일반적이기 때문에 해외에서도 폴첸이라고 통용된다. 거기에 미국에서 파트너쉽을 맺었다가 현재는 인수한 유통사 CAS iberia가 알려져 그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는 등, 회사는 하나인데 최소 3개의 이름으로 불리는 입장이기도 하다.

폴첸이 처음 장사를 시작할 때만 해도 양키들이나 한국인들 모두 일본도에 대한 안목이 낮았기 때문에 크게 팔릴 수 있었지만 점차 사용자가 늘어나고 양키들도 공부를 하여 양덕후로 진화하면서 문제점들이 드러났는데 주로 꼽히는 폴첸 일본도의 단점은 다음과 같았다.

물론 폴첸도 이런 점을 잘 알고 있어서 현재는 구조를 일신하고, 품질편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에 공장을 세웠으며,[4] 일본도 디자인과 제작에 있어서도 많은 신경을 쓰는 편이다. 거합의 달인인 제임스 윌리암스(James Williams)[5]와 같은 전문가를 홍보대사로 내세우기도 했다. 칼날 내구성 문제를 감안하여 HWS시리즈라는 자체적인 강재를 연구개발하기도 하였을 정도. 품질은 과거에 비하면 많이 나아진 수준이지만, 이미 눈이 높아진 유저들에게는 그래도 아직 2%부족하다는 소리를 듣는 편이다.

그렇지만 일반 유저들에게는 충분할 만큼 좋아졌고, 특히 콜드 스틸이나 친니즈 커틀러리, 다이너스티 포지와 같은 하이 퍼포먼스를 위주로 하는 업체들이 성능을 이유로 일본도의 미적 요소인 하몬을 포기한 것에 비해 하몬을 포기하지 않는 방침 때문에 일본도 외형요소의 대용으로써 모조일본도를 찾는 계층[6]에게는 환영받기 때문에 다양한 경쟁업체들이 나선 지금에도 여전히 모조일본도 업계의 큰손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7]

물론 튼튼하고 강력한 하이퍼포먼스 도검을 원하는 수요층에 맞추어, 폴첸과 파트너쉽을 맺은 제임스 윌리암스의 조언으로 콜드 스틸을 다분히 의식한 스프링강 통열처리 무하몬 고성능 도검인 Raptor시리즈를 내놓기도 했다. 가격은 정가 399달러, 실 판매가는 240달러 정도로 콜드스틸 일본도들과 가격대도 같으며 성능도 동일하지만 폴첸 특유의 돼지손잡이가 여전해서 그 점이 까이는 중. 도장구 중에서 쯔바도 완전 미국 스타일의 독수리를 조각해놔서 양키센스라며 까인다.

다만 여전히 중국 공장에서 만들어지는 것으로 알려진 저가의 일반 무기류들은 별반 나아진 것이 없다는 소리를 듣는다. 또 좋아졌다고는 해도 전체적인 면에서 본다면 다이너스티 포지처럼 하몬은 포기하되 일본도의 외형에 최대한 충실하게 재현하는 것도 아니요, 콜드 스틸처럼 지존급 내구성을 가진 것도 아니며, 전통일본도처럼 품격을 가진 것도 여전히 아닌지라 결과적으론 애매한 입장이다.

국내에서도 제법 유명했는데 하루하루 짚단베는 기계에 불과했던 국내 도검시장에 충격을 안겨준 물건이었고, 특히 저가 라인의 대표인 프랙티컬 카타나는 싸게 사면 28만원 정도에 구할 수 있으면서도 내구성이나 모양새는 당시 국산칼보다 훨씬 오리지날 일본도에 가까웠기 때문에 가격대 성능비가 우수하다는 평을 받으며 2000년대 초중반까지 좋은 평가를 받았다. 당시 국내칼은 좀 쓸만하려면 백만원 넘기는 경우가 일반적이었고 지금보다도 품질이 나빴기 때문. 거기에 국내칼 수준의 가격으로 폴첸의 고급 라인을 손에 넣을 수 있었기 때문에 당시는 물론 지금도 국내에서 꾸준한 수요가 있다.

대련 공장에 불이 나서 완전 전소되었고 2011년에 다시 준공되었다. 덕택에 2011년 출시 예정이었던 신제품들이 2012년까지도 다 출시되지 못했다. 더 큰 문제는 재준공하고 생산하기 시작한 제품들의 강도가 이전 물건보다 떨어진다는 것. 열처리 관련 설비를 새로 들여놓았으나 기계 특성이 다르다던지 해서 경도를 제대로 못 맞추는 것으로 보인다. 좀 쓰다 보면 쉽게 휘어지는 경우가 떼로 보고되고 있다.

2. 폴첸의 서양도검

서양인들의 수요를 노리고 서양도검도 만들어 판매한다. 초창기 폴첸은 서양검의 전통적 구조까지 완전히 무시한 물건을 만들었는데 프랙티컬 롱소드 1세대의 경우 슴베가 폼멜까지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중간에서 끟어지고 본드로 접착하는 막나가는 설계를 가지고 있었다. 덕택에 서양도검계에서는 취급도 받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점차 화려한 장식의 스몰소드를 라인업에 올려 놓는가 싶더니 2005년 이후로는 진검/훈련용 레이피어 시장에서 다량의 제품들을 내놓으며 WMA계에 선전을 포고하고, 싼 가격(100달러 전후)와 적당한 탄성과 내구성, 적당한 외형으로 훈련용 레이피어 시장을 휘어잡는데 성공한다.

뒤이어 프랙티컬 시리즈 도검들의 설계 개선을 꾸준히 진행하면서 마침내 서양도검계의 이름 높은 장인인 팅커 피어스(Tinker Pearce)와 파트너쉽을 맺고 그의 설계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본격 서양검 라인인 팅커 피어스 시리즈를 출시, 역사적인 사이즈와 가볍고 적당한 무게중심, 컨트롤감을 무기로 폴첸을 백안시하던 중세 검술계에서도 당당한 메이커로 자리잡았다. 여기에 프리 플레이 시장을 노려 피더슈비어트도 출시하기까지 했다.

더불어 점차 수요가 늘어가는 근대 사브르 검술계를 감안하여 검객 앨프리드 허턴의 매뉴얼 콜드스틸(Coldsteel)에서 등장하는 허턴 세이버를 훈련용으로 출시, 판매처에 따라 80~90달러의 저가에 뛰어난 외형 재현, 양질의 품질로 근대 세이버검술을 하는 단체의 영상이라면 반드시 나올 만큼 천하통일을 이루었다. 또한 당시 이탈리안 펜싱계에서 사용되던 훈련용 사브르도 출시하여 19세기 후반 세이버 검술계의 대표적인 장비들을 모두 라인업에 올려놓는 기염을 토했다.

물론 단점도 존재한다. 팅커피어스 시리즈를 제외한 폴첸 자체브랜드로 내놓은 서양도검들은 대체적으로 끝마무리가 부실하거나 외형, 무게중심, 무게 등의 요소가 좋지 않고 고증과도 잘 맞지 않았고 내구성도 그리 뛰어나지 않았다. 팅커 피어스 시리즈는 다른 것들은 다 좋지만 너무나도 수수한 외관과 칼날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편이며 특히 가드쪽의 슴베가 잘 부러지는 경우가 자주 보고된다.[8] 폴첸의 피더슈비어트도 1세대는 선수안전을 고려한 나머지 탄성이 너무 심해 머리를 치면 칼끝이 휘어 뒤통수를 친다는 보고가 있어 2세대는 끝부분만 탄성을 많이 부여하고 다른 부분은 줄이는 개선을 하여 나오기도 했으나, ARMA같은 단체에서는 여전히 너무 심한 탄성이라는 지적을 하고 있다. 또 훈련용 레이피어의 너무 대충 만든 설계와 마무리는 소모품이라는 점을 감안해도 심하다 싶은 수준.

그래서 다른 메이커처럼 다방면의 조언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제품의 개선을 꾀하고 있다. ARMA의 존 클레멘츠에게 조언을 구해서 제품 개선에 반영[9]하고 있으며 그 결과로 밸런스나 고증에서 괄목할 만한 개선을 이루었다. 프랙티컬 바스타드, 프랙티컬 핸드앤어 하프 소드는 밸런스가 적당하고 매우 싼 가격에 적당한 품질로 대량으로 팔린다. 여러 차례의 모델 체인지를 통해 기존의 좋지 않은 평가를 받던 진검들도 점차 평가가 나아지는 중. 그러나 2011년 전소된 공장 재건 이후 생산되는 제품들은 강도가 좀 떨어진다는 보고가 있다. 또 일부 디자인에서 세세한 결함을 보여주기도 한다.[10]

중국 메이커이니만큼 중국도검도 판매하고 있으나, 라인 대부분이 고가의 장식성이 강한 제품들이다. 특히 중국 역대 왕조의 이름을 붙인 도검들은 장식성을 중시하여 매우 화려한 방식으로 만들었다. 실제 베기에 쓸 물건은 아니다.

그 외에는 인도의 리인액트용품업체인 GDFB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또 파이팅 나이프나 지팡이칼, 창이나 보위 나이프 같은 종류도 만들어 팔고 있다. 도검 장식대 같은 것도 판매중. 2010년에는 하이퀄리티의 일본군도를 출시했고, 2011년에는 무려 택티컬 카타나[11]항일대도를 출시하기도 했다.

하지만 2011년 공장 전소의 영향이 컸는지, 품질 저하를 떠나 생산 자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일본도 라인업은 큰 문제는 없으나 서양도검 계통은 생산이 잘 안되는지 생산량이 소비량을 따라가지 못해 재고없음 상태가 지속되고 있으며 몇몇 제품은 단종에 이르기까지 했다. 2012년에 출시된 라인란더나 노우드 같은 신제품은 2013년을 못 넘기고 단종되었으며, 훈련용 그로스메서는 생산조차 잘 이루어지지 않아 극소수만 풀리고 단종되었다. 호평일색이었던 폴첸의 레이피어 시리즈와 사이드소드 시리즈도 마찬가지로 단종. 점점 미래가 어두워지고 있다.

그러다 2017년 11월경부터 라인랜더나 팅커피어스 시리즈 같은 중세라인이 컬트 오브 아테나같은 벤더 중심으로 다시 풀리기 시작했다. 레이피어 시리즈도 재고가 들어온것으로 보아 아마도 생산라인이 다시 정상화 된 듯하다.

3. 관련 항목



[1] 전통일본도의 손잡이는 대략 25~33cm정도를 넘나들지만, 폴첸 제품은 기본으로 30cm를 넘기는 손잡이를 탑재했다. 프랙티컬 프로 라인의 경우 손잡이가 38cm(!)에 달한다![2] 일본도 손잡이 끈 사이에 끼우는 작은 장식.[3] 흔히 알고 있는 X자 감기는 히네리마키라고 하며, 끈이 위로 올라오는 부분이 번갈아가며 오는 것이 원칙이다.[4] 미국 공장은 2012년에 채산성 문제로 폐쇄[5] 셀프 디펜스 전문가이자 거합도 관련업체인 부게이를 운영하는 사장이기도 하다. 간혹 특선품으로 직접 디자인한 하이그레이드 모조일본도를 판매하기도 한다. 직접 거합 유파인 나미류를 창시하기도 했다.[6] 오히려 이쪽이 서양 일본도 유저의 대다수이다. 서양은 베기용으로 모조일본도를 찾는 경향은 아니다.[7] 사실 강도만을 생각한다면 튼튼한 칼날의 제조는 별로 어려운 일이 아니다. 하몬을 포기하고 스프링강으로 통열처리를 하면 되기 때문이다. 하몬은 부분열처리를 통해 고의적으로 칼등과 칼날의 내구력 불균형을 감수하기 때문에 스프링강이 일반화된 현재에서는 오히려 내구성의 저하를 불러일으키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한웨이가 굳이 HWS시리즈 강재를 개발하는 것도 하몬의 표현과 강도를 어떻게든 타협하려는 시도이다.[8] 다행히도 칼날만 따로 판매하며 개개인의 커스텀이나 손상된 칼날교체에 대응할 수 있게 되어 있다.[9] ARMA는 정식으로 어딘가와 제휴를 맺지는 않는다. 퍼플하트 아머리와 제휴를 맺었다가 뒤통수를 맞은 전력 때문이다. 또 비영리 단체인 ARMA가 공식적으로 제휴를 맺음으로써 생기는 중립적 입장의 변화를 우려하고 있기도 하다.[10] Rhinelander라는 제품은 혈조를 슴베 깊숙히까지 파놓아 강도가 좋지 않고, 프랙티컬 메서는 가드를 좀 빈약하게 만들어놨고 무게가 한손으로 다루기에 좀 무겁다는 평이다.[11] 칼집에는 파라코드를 감고, 슴베는 풀탱구조에 크레이튼 고무를 사출하여 만든 물건이다. 말 그대로 현대사회의 택티컬 경향에 걸맞게 카타나를 재해석한 물건. 처음에는 택티컬 와키자시만 나왔으나 반응이 좋자 카타나까지 등장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