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1-09-10 16:44:01

호류파 전투

1. 개요2. 배경3. 전투 경과4. 결과

1. 개요

오대십국시대 시기인 918년 12월 진왕 이존욱후량을 멸망시키기 위해 공세를 벌이다가 호류파(지금의 산동성 견성현 서북쪽)에서 왕언장 등이 이끄는 후량군에게 고전한 전투이다. 이 전투에서 명장 주덕위가 전사했다.

2. 배경

이존욱은 908년 이극용의 뒤를 이어 진왕이 된 이래 후량군과 맞붙을 때마다 모두 승리했다. 게다가 후량의 초대 황제 주전충은 친자식 및 양자들의 부인들과 간음하길 일삼다가, 가장 총애하는 왕씨의 남편이자 자신의 양자인 주우문을 후계자로 세우려다 셋째 아들인 주우규에게 살해당했다.

새 황제가 된 주우규 역시 부친처럼 사치를 심하게 하고 난행을 일삼다가 1년 만에 주우정에게 피살되었다. 세 번째 황제가 된 주우정은 취침하려다가 동생에게 칼로 베일 뻔한 일을 겪은 뒤 의심이 부쩍 많아져 형제들과 신하들을 대거 숙청하였다. 이렇듯 정치적 혼란이 극에 달하면서, 후량은 날이 갈수록 쇠약해졌다.

918년 7월, 이존욱은 후량을 정복하기 위해 대대적인 침공을 가하기로 결심했다. 주덕위는 유주의 보병과 기병 3만을 거느렸고, 이존심은 창경의 보병과 기병 1만 명을 거느렸으며, 이사원은 형명의 보병과 기병 1만명을, 왕처직은 역정의 보병과 기병 1만 명을 거느렸다. 여기에 인, 승, 운, 울, 신, 무 등 주에 있는 여러 부락인 해, 거란, 실위, 토욕혼 등지에서 모두 군사를 보내줬다. 이존욱은 8월에 하동과 위박의 군사를 합세시킨 뒤 위주에서 열병식을 거행했다.

이존욱은 위주에서부터 양주로 진군하여 운, 복을 경략하고 돌아와서 황하를 따라 올라가 마가도에 진을 쳤다. 이에 하괴와 사언장이 양나라군을 거느리고 복주 북쪽의 행대촌에 주둔하여 서로 대치했지만 싸우지는 않았다. 이존욱은 스스로 경무장한 기병을 거느리고 적의 진영을 압박하여 싸움을 도발케 하는 것을 좋아하다가 위태로워 군색하진 것이 몇 차례나 되었다. 이때 이소영이 힘써 싸우며 그를 날개로 호위하는 것에 의지하여 벗어날 수 있었다. 이에 조왕 왕용과 왕처직이 모두 사자를 파견하여 이존욱에게 간했다.
"원원(元元, 백성)의 목숨은 왕에게 달려 있고, 본 조정(당)의 중흥도 왕께 달려 있는데, 어찌하여 스스로 가볍게 이와 같이 하십니까?"

이존욱은 웃으며 사자에게 말했다.
"천하를 평정하는 사람이 백번 싸우지 않고서 어느 곳으로부터 그것을 얻겠는가? 어떻게 깊은 유방[1]에 살면서 스스로 살을 찌우겠는가?"

어느 날 아침 이존욱이 장차 군영을 나가려고 하는데, 도영사 이존심이 말고삐를 당기며 울면서 간했다.
"대왕께서는 마땅히 천하를 위하여 자중해야 합니다. 먼저 올라가서 진을 함락시키는 것은 장수와 사졸들의 직분이니, 저 이존심의 무리가 의당 그것을 해야지 대왕께서 할 일이 아닙니다."

이존욱은 고삐를 잡고 돌아갔지만, 내심 이존심을 마음에 들어하지 않았다. 다른 날에 이존심이 있지 않은 기회를 틈타 말을 채찍질하며 급히 나가며 좌우에 있는 사람들에게 말했다.
"늙은이는 다른 사람의 놀이를 방해한다!"

이는 이존욱이 전투를 놀이로 여기고 있었다는 걸 알 수 있는 대목으로, 당시 그의 교만함이 심해졌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그는 이로 인해 위태로운 지경에 처했다. 수백 기를 이끌고 양나라 군영에 도달하자, 후량의 장군 사언장이 정에 갑병 5천으로 제방 아래에 매복해 뒀다가 이존욱이 10여 기를 이끌고 제방을 건널 때 들이쳐서 수십 겹으로 포위한 것이다. 이존욱이 힘을 다해 싸우는 동안, 뒤따라온 기병들이 구원해 겨우 탈출할 수 있었다. 마침 이존심의 구원병이 도착하자 양의 군사는 마침내 물러갔고, 이존욱은 그제서야 이존심의 말을 충성스럽게 여겼다.

이존욱은 이후에도 양나라의 수도 대량으로 가려 했지만, 양나라군이 그 앞을 가로막고 성벽을 견고하게 하면서 싸우지 않아서 100여 일이 되도록 결판이 나지 않았다. 그러던 중 양군에 변고가 발생했다. 당초에 북면행영초토사 하괴는 보병을 거느렸고, 배진사 사언장은 기병을 거느렸다. 하괴는 사언장이 자기와 명성을 나란히 하는 걸 싫어했다. 그러던 어느 날 아침, 하괴는 사언장과 더불어 들판에서 군사를 훈련시키면서 한 고지를 가리키며 말했다.
"저 곳은 목책을 세울 만 하다."

그런데 얼마 후 진나라군이 바로 그 고지에 목책을 설치했다. 이에 하괴는 사언장이 진나라군과 내통했다고 의심했다. 그는 한 번 마음을 떠보기로 하고, 사언장에게 권유했다.
"주상께서 나라의 군사를 모두 우리 두 사람에게 주셨으니, 사직이 의뢰하고 있소. 지금 강력히 침구하는 것이 우리의 문을 압박하는데, 두류하면서 싸우지 않으면 안 되겠소?"

사언장이 답했다.
"강력히 침구하는 것은 능욕하는 것을 빙자하니, 이로운 것은 빠른 전투에 달려 있는 것이오. 지금 해자를 깊이 파고 보루를 높여서, 그 나루의 요충지를 점거하면 저들이 어찌 감히 깊숙이 들어오겠소? 만약 그들과 더불어 가볍게 싸우다가 만의 하나라도 차질이 생기면 대사는 사라지는 것이오."

하괴는 그를 더욱 의심하여 비밀리에 황제에게 참소하고, 행영마보 도우후인 조주자서 주규와 더불어 모의했다. 그들은 군사들에게 향응하는 것을 이용하여 갑사를 매복시켰다가 사언장과 복주자사 맹심장, 별장 후온유를 참수한 뒤 세 사람이 모반하였다고 보고했다. 사언장은 지난날 이존욱을 죽일 뻔한 후량의 맹장이었으며, 맹심장과 후온유도 역시 기병대 지휘관 중 뛰어난 인물들이었다. 이 소식을 접한 이존욱은 크게 기뻐했다.
"저들의 장수가 스스로 어육이 되었으니, 망하는 데는 몇 날이 안 남았다. 하괴는 잔인하고 포악하여 사졸들의 마음을 잃었으니, 우리가 군사를 이끌고 그들의 국도(수도)로 곧바로 향한다면 저들이 어찌 견고한 성벽을 움직이지 않을 수 있겠는가? 다행히 한 차례 그들과 더불어 싸운다 해도 승리하지 못할 것이 없다."

그는 스스로 1만 명의 기병을 거느리고 대량으로 향했다. 이에 주덕위가 "양인들은 비록 상장이 도륙되었으나 그들의 군사는 여전히 온전하니, 경솔히 행동하여 이익을 구하려면 아직 그 복이 보이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진언했으나 듣지 않았다. 12월 21일에 군영을 거두고 진격하니, 호왈 10만 이라 하였다. 하괴는 이존욱이 이미 서쪽으로 갔다는 소식을 듣고 역시 군영을 버리고 이들을 추격했다. 이리하여 호류파 전투의 막이 올랐다.

3. 전투 경과

12월 23일 호류파에 도착한 이존욱은 목책을 세우고 위박의 백정 3만을 징발해 목책 만드는 일에 쓰이도록 하였다. 다음날 아침, 척후를 보는 사람이 양의 군사들이 뒤에서 도착하였다고 보고했다. 이에 주덕위가 진언했다.
"적이 두 배나 빠르게 왔고, 아직 거처할 곳이 없으며, 우리 군영의 목책은 이미 견고하니, 지키고 준비하는 데 여유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미 적의 경계로 깊이 들어왔으니, 행동에는 반드시 만전을 기하고 가볍게 출동해서는 안 됩니다. 이곳은 대량과의 거리가 지극히 가까워서 양의 군사들이 각기 가족을 생각하고 마음 속으로 분노를 품고 격노하면, 방략을 가지고서 그들을 제압하지 못하면 뜻을 얻기가 어려울까 두렵습니다.

왕께서는 의당 군사들을 억눌러서 싸우지 말게 하고, 저 주덕위가 청컨대 기병을 데리고 그들을 어지럽게 하여 저들로 하여금 휴식을 하지 못하게 하고, 저물 때까지 군영과 보루를 아직 세워지지 못하게 하고, 땔나무와 불 땔 준비가 갖추어지지 않게 하여, 그 들이 피곤하고 지친 것을 이용하면 한 번에 멸망시킬 수 있습니다."

이존욱이 꾸짖었다.
"이전에는 하(황하)에서 적이 나타나지 않은 것을 원통해 하였는데, 지금 적이 도착하였는데도 공격하지 않으면서 오히려 다시 무엇을 기다리겠소. 공은 어찌 겁을 내시오?"

뒤이어 이존심을 돌아보며 말했다.
"칙서를 내려 치중을 먼저 출발시켜라. 나는 너를 위하여 후위를 맡아서 적을 깨뜨리고 가겠다."

그렇게 이존욱이 먼저 출발하자, 주덕위는 마지못해 유주의 군사를 이끌고 뒤를 쫓으면서 아들에게 말했다.
"나는 죽을 곳을 알 수 없다."

한편, 하괴는 양나라군 진지를 결성하면서 도착했는데, 가로로 수십 리를 뻗어 있었다. 이존욱은 은창도(근위대)를 인솔하여 적군의 진지를 함락하고 부딪치며 목을 베면서 수십 리를 갔다가 돌아왔다. 행영좌상 마군도지휘사 겸 정주방어사인 왕언장의 군사가 먼저 패배하여 서쪽으로 도주하여 복양으로 이동했다. 이때 진나라군의 치중이 진지의 서쪽에 있었는데, 왕언장 군의 깃발이 보이자 놀라서 유주 진영으로 도주했다. 유주의 장병들 역시 아군이 도망치자 소란스러워하며 서로 짓밟고 유린했다.

주덕위는 이를 수습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뒤이은 전투에서 아들과 함께 싸우다가 전사했다. 위박절도부사 왕함도 치중과 함께 가다가 역시 죽었다. 진나라군은 한 번 혼란에 빠지자 수습하지 못하였고, 양나라군은 사방에서 집결하니 기세가 심히 강렬했다. 이존욱은 높은 언덕을 점거하고 흩어진 군사를 수습하였는데, 한낮이 되어서야 군사들이 다시 모였다. 비탈 중에 토산이 있었는데, 하괴는 군사를 이끌고 그곳을 점령했다. 이에 이존욱이 장사들에게 말했다.
"오늘 이 산을 얻는 사람이 승리할 것이니, 나는 너희와 더불어 이곳을 빼앗을 것이다."

그는 즉시 기병을 이끌고 앞서서 올라갔고, 이종가는 은창대장 왕건급과 더불어 보졸을 데리고 뒤를 이어주니, 양의 군사들이 어지러이 흩어졌고, 이존욱 등은 토산을 빼앗았다. 이윽고 해가 신시(오후 3시~5시)를 향하자, 하괴가 산의 서쪽에 진을 쳤다. 진의 군사들은 적의 군세가 많은 걸 보고 두려워했다. 제장은 여러 군영이 아직 집결하지 않았으니 군사를 거두어 군영으로 돌아가서 다음날 아침에 다시 싸워야 한다고 여겼다. 이때 천평절도사 겸 동남면초토사 염보가 진언했다.
"왕언장의 기병은 이미 복양으로 들어갔으며, 산 아래는 오직 보졸 뿐이고 해질 무렵이 되면 모두 돌아갈 생각을 할 것이니, 우리는 높은 곳을 타고서 아래를 향하여 그들을 공격하면 이길 것이 분명합니다. 지금 왕께서 적의 경계에 깊이 들어가 있으니, 한쪽의 군사로는 이롭지 못할 것인데, 만약 다시 이끌고 물러난다면 반드시 틈타게 될 것입니다. 여러 군대 가운데 아직 집결하지 못한 사람들은 양이 재차 이겼다는 소식을 듣게 되면 반드시 싸우지도 않고 스스로 무너질 것입니다.

무릇 승부를 결정지으면서 적을 헤아리는 것은 오직 정세만을 관망하여야 하는데, 정세가 이미 얻어진다면 결단코 의심하지 않는데 있습니다. 왕의 성패는 이 한 번의 전투에 달려 있으니, 만약 결심하고 힘써서 승리를 빼앗지 아니하면 나머지 무리를 마음대로 거두어 북쪽으로 돌아간들 하삭(河朔, 화북 대평원)은 왕의 소유가 아닙니다."

소의절도사 이사소가 진언했다.
"적에게는 군영과 보루가 없고, 해가 지면 돌아갈 것을 생각할 것이니, 단지 정예의 기병을 데리고 그들을 어지럽게 하고, 저녁밥을 먹을 수 없게 하며, 그들이 이끌고 물러나기를 기다렸다가 뒤쫓아 가서 공격하면 깨뜨릴 수 있습니다. 우리가 만약 군사를 거두어 군영으로 돌아가면 저들은 돌아가서 무리를 정돈하고 다시 올 것이니, 이기고 지는 것은 아직 알지 못합니다."

왕건급이 갑옷을 걸치고 창을 휘두르면서 말했다.
"적의 대장(왕언장)이 이미 숨었으며, 왕의 기병은 하나도 잃은 것이 없으니, 지금 이 피로에 지친 무리를 공격하는 것은 썩은 나무를 끄는 것과 같을 뿐입니다. 왕께서는 다만 산에 올라가서 신이 왕을 위하여 적을 깨뜨리는 것을 관망하십시오."

이존욱이 놀란듯이 말했다.
"공들의 말이 아니었으면 내가 거의 잘못 계산할 뻔하였다."

이사소와 왕건급은 기병을 데리고 크게 소리지르면서 진지를 함락시키니, 여러 군대가 이를 이어줬고, 양의 군사가 대패했다. 원성 현경 오경과 귀향 현령 호장은 각기 백정 1만 명씩을 인솔하고 산 아래에서 땔감을 끌어서 먼지를 일으키며 북을 치고 함성을 지르면서 그 기세를 도왔다.

양의 군사들이 스스로 서로 밟고 죽이니, 버려진 갑옷은 산 같이 쌓였으며, 죽거나 도망한 사람이 거의 3만 명이었다. 하지만 진나라군 역시 호류파 전투에서 막대한 손실을 입어서, 더이상 싸울 수 없었다. 이리하여 호류파 전투는 양쪽 모두 큰 손실을 입은 채 막을 내렸다.

4. 결과

이존욱은 후량이 스스로 무너지는 걸 보고 손쉽게 이길 수 있다고 과신하여 섣불리 공격했다가 그 대가를 톡톡히 치렀다. 특히 부친 이극용 때부터 지금까지 종횡무진 활약했던 명장 주덕위를 잃은 건 실로 큰 타격이었다. 이존욱은 주덕위가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통곡하며 말했다.
"훌륭한 장수를 잃었으니, 이는 내 죄다."

이후 이존욱의 아들인 유주 중군병마사 주광보를 남주지사로 삼으며 명복을 빌었다. 한편 양나라군 역시 큰 손실을 입었지만, 이존욱이 대량으로 들어오는 것을 가까스로 저지할 수 있었다. 이후 이존욱은 왕언장 등의 선방으로 인해 5년간 후량을 공략하지 못했다.

한편, 이사원은 양자 이종가와 서로 헤어지고, 진나라군이 꺾이고 패배한 것을 보고 이존욱이 간 곳을 알지 못했다. 그때 어떤 사람이 "왕께서 북쪽으로 가서 이미 하(황하)를 건넜습니다."라고 알리자, 이사원은 얼음을 타고서 북쪽으로 가 강을 건너 장차 상주로 가려고 했다. 그런데 얼마 후 진나라군이 승리했다는 소식이 들려오자, 이사원은 다시 복양으로 가서 이존욱을 알현했다. 그러나 이존욱은 기뻐하지 않았다.
"공은 나를 죽은 것으로 생각한 것이오? 하를 건너서 어디로 가겠다는 것이오?"

이사원은 머리를 조아리고 사죄했고, 이존욱은 이종가가 토산을 공략하는 데 공을 세운 점을 감안하여 이사원에게 벌주를 내리는 처분을 내리는 것으로 끝냈다. 하지만 이로부터 이사원에 대한 예우가 조금씩 박해지면서, 나중에 이사원이 반기를 드는 복선으로 작용한다.


[1] 휘장을 늘어뜨린 방. 곧 침실을 말한다.